KR200439740Y1 - 모카형 웰빙 신발 - Google Patents

모카형 웰빙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740Y1
KR200439740Y1 KR2020060027963U KR20060027963U KR200439740Y1 KR 200439740 Y1 KR200439740 Y1 KR 200439740Y1 KR 2020060027963 U KR2020060027963 U KR 2020060027963U KR 20060027963 U KR20060027963 U KR 20060027963U KR 200439740 Y1 KR200439740 Y1 KR 200439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outsole
shoe
ai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577U (ko
Inventor
조혜란
Original Assignee
조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혜란 filed Critical 조혜란
Priority to KR2020060027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74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 측포에 다수개의 환기공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갑피와; 그리고 내측 측면에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기수단이 구비되고, 바닥 면에 중심축이 볼록하게 형성된 중간굽으로부터 앞, 뒷굽 및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하게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아웃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아웃솔의 바닥 면이 중간굽을 중심으로 앞굽 및 뒷굽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절곡라인 및 제2 절곡라인의 신축에 의해 신발 바닥 면의 상하유동성이 조절됨에 따라 발바닥에 적절한 힘을 주어 신체의 균형감각을 유지하면서 보행이 가능하고, 그리고 아웃솔의 바닥 면이 중심이 볼록한 중간굽으로부터 좌우 측면을 향해 반복적인 굴림운동을 실시하여 발바닥 또는 종아리의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신체의 균형 감각 증진 및 스트레칭 효과를 동시에 갖을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갑피의 양측 측포에 형성시킨 다수개의 환기공과 아웃솔의 내측 측면에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땀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신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쾌적한 신발 내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모카형, 웰빙 신발, 측포, 환기공, 갑피, 통기수단, 앞굽, 중간굽, 뒷굽, 아웃솔, 절곡라인, 배출 챔버, 배출 노즐

Description

모카형 웰빙 신발{Well-being shoes for type Moccain}
도 1은 종래의 신발용 완충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건강신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종래의 건강신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용 아웃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아웃솔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아웃솔의 A-A'선의 단면도로서, 통기노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7의 아웃솔의 B-B'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보행시 웰빙 신발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운전시에 웰빙 신발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측포 11 : 환기공
20 : 통기수단 21 : 통기챔버
22 : 통기노즐 23 : 제1 공기 수용홈
24 : 제1 공기이동로 25 : 제2 공기 수용홈
26 : 제2 공기이동로 31 : 앞굽
32 : 중간굽 33 : 뒷굽
34 : 제1 절곡라인 35 : 제2 절곡라인
본 고안은 모카형 웰빙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환기공이 형성된 갑피와 그리고 측면 내부에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기수단과 그리고 바닥 면에 중심축이 볼록하게 형성된 중간굽으로부터 앞, 뒷굽 및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하게 높아지는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를 갖는 아웃솔로 이루어져 있어 신발의 내부가 쾌적하고, 보행시 발바닥의 움직임 동선을 자연스럽게 하여 발의 피로감을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역할은 보행시 발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6192호(1999. 1. 25 등록)의 신발용 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1)과 미드솔(2)의 연접면부에는 대칭형의 요입실(3,4)을 형성하여 양자를 접착시 폐쇄형의 에어챔버(5)를 형성하는 완충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완충구조는 단순히 보행시에 발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신발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375331호(2005. 1. 29 등록)에 공지된 건강신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최하층을 이루어 지면에 닿는 아웃솔(40)은 전단부터 후단부로 정해진 길이 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롤링부(42)와, 상기 롤링부(42)와 연결되어 상기 아웃솔(40)의 후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트래칭부(44)를 구비하여 상기 롤링부(42)를 사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롤링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스트래칭부(44)를 사용하여 스트래칭이 가능하고, 상기 롤링부(42)는 좌측단부터 우측단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좌·우 롤링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건강신발은 단순히 신발의 타원형 형태로 경사진 바닥 면을 이용하여 신체를 전후, 좌우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균형 운동만을 할 수 있을 뿐 발바닥의 근육운동을 할 수 없으며, 또한 바닥 면의 중심이 거의 반원형인 타원형 구의 형태로 볼록하게 솟아있어 신체의 중심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운동 중에 보행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웃솔의 바닥 면이 중심이 볼록한 중간굽으로부터 앞, 뒷굽을 향해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를 갖는 구조로서, 신발의 바닥 면이 보행 바닥 면과 접할 때 중간굽을 중심으로 앞굽 및 뒷굽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절곡라인 및 제2 절곡라인의 신축에 의해 상하유동성을 가지고, 각 굽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신발 바닥 면의 접촉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발바닥에 적절한 힘을 주어 신체의 균형감각을 유지하면서 보행이 가능하므로 발바닥 및 종아리의 근육운동을 하면서 발바닥이 쉽게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아웃솔의 바닥 면이 중심이 볼록한 중간굽으로부터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를 갖는 구조로서, 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바닥에 힘을 가하여 발바닥의 좌우면으로 반복적인 굴림운동을 실시하여 발바닥 또는 종아리의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신체의 균형 감각 증진 및 스트레칭 효과를 동시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1 절곡라인 및 제2 절곡라인의 신축에 의해 각 굽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신발 바닥 면의 접촉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땀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갑피의 양측 측포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기공과 그리고 아웃솔의 내측 측면에 구비된 통기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신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쾌적한 신발 내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발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잇을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 감각 증진 및 스트레칭 효과를 동시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이하 '웰빙 신발'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주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신을 수 있는 용도로 개발되었지만 신발 신기가 편하고, 또한 신발을 신은 후에는 착용감이 좋아 주로 장노년층의 사람들이 외출시에 신기에 적합한 신발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모카형 웰빙 신발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의 상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 아웃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 측포(10)에 다수개의 환기공(11)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갑피와;
그리고 내측 측면에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기수단(20)이 구비되고, 바닥 면에 중심축이 볼록하게 형성된 중간굽(32)으로부터 앞, 뒷굽(31, 33) 및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아웃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의 양측 측포(10)에는 다수개의 환기공(11)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 신발 내부에서 땀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 신발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웰빙 신발의 외측 측포(10)의 상단에는 지퍼를 부착시켜 웰빙 신발을 편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아웃솔은 그 바닥 면이 중심축이 볼록하게 형성된 중간굽(32)으로부터 앞, 뒷굽(31, 33) 및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아웃솔은 그 바닥 면이 앞굽(31)과 중간굽(32)의 사이에 제1 절곡라인(34), 중간굽(32)과 뒷굽(33)의 사이에 제2절곡라인(35)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 바닥 면의 제1 및 제2 절곡라인(34, 35)은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웰빙 신발의 사용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바닥 면과 접촉되는 부분의 절곡라인(34, 35)의 폭이 원래의 절곡라인폭(도 10b의 점선라인)으로부터 양측 폭의 길이가 L만큼씩 각각 축소(도 10b의 실선라인) 되면서 앞굽(31) 및 뒷굽(33)의 바닥 면이 보행 바닥 면에 완전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신체의 하중을 균등하게 보행 바닥 면에 분산시킴에 따라 신체의 하중이 발바닥의 한쪽으로만 치우치지 않기 때문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솔 바닥 면은 중심축이 볼록하게 형성된 중간굽(32)으로부터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바닥에 힘을 가하여 발바닥의 좌우면으로 반복적인 굴림운동을 실시하여 발바닥 또는 종아리의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신체의 균형 감각 증진 및 스트레칭 효과를 동시에 갖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웰빙 신발용 아웃솔의 구조를 도 7의 웰빙 신발용 아웃솔의 아웃솔의 평면도, 도 8의 웰빙 신발용 아웃솔의 A-A'선의 단면도, 도 9의 웰빙 신발용 아웃 솔의 B-B'선의 단면도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의 아웃솔은 미드솔과 접하는 상부 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및 제2 공기 수용홈(23, 25)과 그리고 제1 및 제2 공기 이동로(24, 2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의 통기수단(20)은 제1 및 제2 공기 수용홈(23, 25)에 수용된 공기가 각각 제1 및 제2 공기 이동로(24, 26)를 거쳐 수용되 는 통기챔버(21) 및 이 통기챔버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기노즐(2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신발 내부에 있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는 신발 내부의 인솔 및 미드솔의 미세한 기공이나 또는 인솔 및 미드솔의 측면을 통해 아웃솔의 제1 및 제2 공기 수용홈(23, 25)에 수용된다.
따라서, 아웃솔의 제1 및 제2 공기 수용홈(23, 25)에 수용된 공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에는 먼저 보행 바닥면에 착지되는 뒷굽(33) 부분에 발바닥의 힘이 가해지면, 제2 공기 수용홈(25)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가 발바닥의 압력에 의해 제2 공기 이동로(26)를 통해 통기챔버(21)로 이동된 후 통기노즐(22)을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되고, 중간굽(32)을 거쳐 앞굽(31)이 지면에 닿을 경우에는 제1 공기 수용홈(23)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가 제1 공기 이동로(24)를 거쳐 통기챔버(21) 및 통기노즐(24)을 거쳐 신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에서 통기노즐(22)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는 배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22a)이 압축되면서 배출핀(22b)이 스프링 방향으로 밀리면서 배출구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배출구를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신발 내부의 공기가 신발 외부로 배출되고 난 뒤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a)의 압력에 의해 배출 핀(22b)이 배출구 방향으로 원위치되면서 보행시 보행 바닥 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아웃솔은 보행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인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을 신고 보행할 때 신발의 바닥 면과 보행 바닥 면의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웰빙 신발을 신고 운전할 때 자연스럽게 페달을 밟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상세히 설명드렸지만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신발의 바닥 면이 보행 바닥 면과 접할 때 중간굽을 중심으로 앞굽 및 뒷굽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절곡라인 및 제2 절곡라인의 신축에 의해 신발 바닥 면의 상하유동성이 조절됨에 따라 발바닥에 적절한 힘을 주어 신체 의 균형감각을 유지하면서 보행이 가능하고, 그리고 아웃솔의 바닥 면이 중심이 볼록한 중간굽으로부터 좌우 측면을 향해 반복적인 굴림운동을 실시하여 발바닥 또는 종아리의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신체의 균형 감각 증진 및 스트레칭 효과를 동시에 갖을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갑피의 양측 측포에 형성시킨 다수개의 환기공과 아웃솔의 내측 측면에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땀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신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쾌적한 신발 내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Claims (5)

  1. 양측 측포에 다수개의 환기공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갑피와:
    그리고 내측 측면에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기수단이 구비되고, 바닥 면에 중심축이 볼록하게 형성된 중간굽으로부터 앞, 뒷굽 및 좌우 측면을 향해 완만하게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아웃솔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수단은 제1 및 제2 공기 수용홈에 수용된 공기가 각각 제1 및 제2 공기 이동로를 거쳐 수용되는 통기챔브 및 이 통기챔버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배출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배출핀이 스프링 방향으로 밀리면서 배출구가 개방되고 배출핀이 배출구 방향으로 원위치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기노즐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웃솔은 미드솔과 접하는 상부 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및 제2 공기 수용홈과 제1 및 제2 공기 이동로가 형성되며 그리고 아웃솔의 바닥 면이 압굽과 중간굽 사이에 제1 절곡라인, 중간굽과 뒷굽의 사이에 제2 절곡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형 웰빙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60027963U 2006-10-17 2006-10-17 모카형 웰빙 신발 KR200439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63U KR200439740Y1 (ko) 2006-10-17 2006-10-17 모카형 웰빙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63U KR200439740Y1 (ko) 2006-10-17 2006-10-17 모카형 웰빙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77U KR20080000577U (ko) 2008-04-22
KR200439740Y1 true KR200439740Y1 (ko) 2008-05-02

Family

ID=4132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963U KR200439740Y1 (ko) 2006-10-17 2006-10-17 모카형 웰빙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7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3B1 (ko) 2008-08-26 2008-11-21 김영석 쿠션신발창
KR100900156B1 (ko) 2008-08-26 2009-06-01 (주)원광제이.에프.씨 수평터널홈이 구비된 쿠션신발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62B1 (ko) * 2007-10-12 2009-04-20 윤종철 신발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3B1 (ko) 2008-08-26 2008-11-21 김영석 쿠션신발창
KR100900156B1 (ko) 2008-08-26 2009-06-01 (주)원광제이.에프.씨 수평터널홈이 구비된 쿠션신발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77U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512B2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traction
US4617745A (en) Air shoe
US8555526B2 (en)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US20080189986A1 (en) Ventilated and resilient shoe apparatus and system
JP2706909B2 (ja) 靴の中敷および靴
US20130145650A1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US20100095553A1 (en) Resilient sports shoe
US8074374B2 (en) Shoe sole with ventilation
KR101089139B1 (ko) 신발창
KR200439740Y1 (ko) 모카형 웰빙 신발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100586694B1 (ko) 신발 깔창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JP3120393U (ja) 靴底
KR200427686Y1 (ko) 신발 깔창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62400Y1 (ko) 복합 기능 건강 신발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CA2182140A1 (en) Spa slipper
KR200475665Y1 (ko) 다기능 신발
TWM586062U (zh) 彈力氣旋循環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