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719Y1 -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719Y1
KR200439719Y1 KR2020080001186U KR20080001186U KR200439719Y1 KR 200439719 Y1 KR200439719 Y1 KR 200439719Y1 KR 2020080001186 U KR2020080001186 U KR 2020080001186U KR 20080001186 U KR20080001186 U KR 20080001186U KR 200439719 Y1 KR200439719 Y1 KR 200439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kit
display device
vehicle
fragranc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구
Original Assignee
(주)테일러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일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테일러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80001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7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 또는 이동가능한 화면표시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착탈면과 상기 착탈면에 대해서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제 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쉬보드, 센타페시아, 방향제 키트, 화면표시장치

Description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DISPLAY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AROMATIC FUMIGATING KIT}
본 고안은 방향제 용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비게이션, DMB(Disital Multimedia Broadcasting)수신기, PMP(Potable Multimedia Player)등의 차량용 화면표시장치의 본체 및 방향제 키트 일측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하지 않고도 쉽게 탈착가능한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밀폐된 공간인 차량 내부는 곰팡이, 세균, 에어컨 필터에서 나오는 박테리아, 흡연 등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사람들은 이러한 냄새 또는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부착할 수 있는 방향제 키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향제 키트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주로 차량 전/후면의 대쉬보드(Dash Board), 운전보조석 차량통풍구 날개 및 전면 대시보드 중앙에서 운전석과 보조운전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보드,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을 포함하는 센타 페시아(Center Fascia)에 주로 많이 부착되는데, 차량의 진동시 또는 급정거 등으로 인한 분리를 막기 위해 방향제 키트는 본드, 접착테이프 같은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차량용 방향제 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접착부재를 사용한 방향제 키트를 교체시 접착되었던 부분에 접착제 잔존물이 발생하거나 대쉬보드의 변색이 발생하므로 차량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둘째, 운전보조석의 통풍구 날개에 방향제 키트를 부착할 경우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충돌이나 추돌사고시 운전보조석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면 대시보드 또는 센타패시아에 방향제 키트를 부착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고 또한 네비게이션, PMP, DMB수신기 등이 함께 설치되어 있는 차량일 경우, 차량 실내공간 활용도를 더욱더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에 대한 요구 이외에, 차량의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운전상황에 따른 적절한 향을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면표시장치의 본체 및 방향제 키트 일측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하지 않고도 쉽게 탈착가능한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 또는 이동가능한 화면표시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착탈면과 상기 착탈면에 대해서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제 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화면표시장치의 본체 및 방향제 키트 일측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하지 않고도 쉽게 방향제 키트를 탈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표시장치 본체 일측에 방향제 키트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장치는 네비게이션, DMB 수신기 또는 PMP와 같은 차량에 부착하거나 이동가능한 장치로서, 각종 정보를 액정표시 패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EL 패널 등의 표시수단과 접촉식 입력장치 모듈(터치스크린등)을 포함하는 화면(10), 네비게이션 기능, DMB 수신기능, 멀티미디어 재생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20), 방향제 키트(60)가 삽입되는 방향제 키트 소켓부(70), 상기한 각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화면표시장치의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방향제 키트 소켓부(70)는 방향제 키트(60)를 삽입하기 위해 방향제 키트의 크기에 대응되는 공간을 갖는다. 방향제 키트 소켓부(70)는 방향제 키트(60)를 삽입한 다음 방향제 키트(60)를 고정할 수 있는 키트덮개(50)를 구비하는데, 키트덮개(50)에는 향기분출을 위한 격자구조의 향기발산 홀(30)이 촘촘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향제 키트(60)를 방향제 키트 소켓부(70)에서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해 스프링 같은 탄성부재(72)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트덮개(50)와 상기 키트덮개가 재치되는 면에는 결합돌기(73a)와 결합홈(73b)이 형성됨으로써, 방향제 키트(60)를 고정시 킬 수 있다. 한편 방향제 키트(60)를 사용함에 있어 방향제재가 자연적으로 소정의 기간에 걸쳐 휘발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전기를 이용한 열 자극에 의해 방향제 재로부터 발생되는 방향물질이 차량 실내의 공기 중으로 확산 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방향제 키트 소켓부(70)와 방향제 키트(60)가 접촉되는 각각의 부위에 전원을 공급 및 수급을 위한 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의 위치는 어디에든 상관없지만, 화면표시장치의 공간활용을 고려하여 상기한 탄성부재(72)를 전기단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향제 키트 소켓부(70)는 방향제 키트(60)의 공급 전원으로서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차량전원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전기적 자극에 의해 작동되는 방향제 키트(60)는 차량의 운행상태에서만 작동하게 됨으로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향제 키트 소켓부(70)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삽입되는 방향제 키트(60)의 모양과 재질 또한 달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방향제 키트 소켓부(70)에 삽입되는 방향제 키트(60)는 겔(gel)형태, 고체형태 또는 방향제액이 도포된 방향종이가 여러 장 겹쳐진 형태로 제작가능하지만 비교적 소형화할 수 있는 고체재질의 카드타입 방향제 키트(6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자세히 하면, 비교적 소형의 화면표시장치에 형성된 방향제 키트 소켓부(70)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향제 키트(60)는 메모리 스틱 또는 카드형태로 제작되어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메모리스틱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겔 타입의 방향제재를 수용하기 용이하고 카드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타입의 방향제재를 수용하기 용이할 것이나 화면표시장치의 특성과 방향제 키트 소켓부(70) 형태에 적합한 어떤 형태 또는 재질이라도 제작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제 키트(60)가 전기를 이용한 열 자극에 의해 방향물질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한다면, 방향제 키트 소켓부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촉단자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표시장치 본체와 방향제 키트 일측에 각각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방향제 키트(60) 착탈면(75a)일측에는 좌우(A) 또는 상하(A')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65)가 형성되며, 화면표시장치 본체(100)의 착탈면(75b)에는 가이드 돌기(65)에 상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돌기(65)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좌우(A 방향) 또는 상하(A' 방향)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홈(68)이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제 키트(60)는 화면표시장치 본체(100)에 별도로 형성된 방향제 키트 소켓부(70)에 삽입되어져야 하는 데, 화면표시장치가 방향제 키트(6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회로기판의 집적화된 설계, 구성장치의 위치변경등이 수반되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화면표시장치의 본체(100) 및 상기 방향제 키트의 대향면에는 상기 대향면의 주연부를 따라 일측이 신장되어 단차지어진 가이드 홈(68) 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65)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및 상기 방향제 키트(60)가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는 본체(100)의 상부 또는 우측면에만 가이드 홈(68)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면표시장치의 특성(외관, 디자인, 설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어느 부위에라도 가이드 홈(68)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홈(68)을 구비함에 있어, 방향제 키트(60)에는 가이드 홈(68)이 본체(100)에는 가이드 돌기(65)가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방향제 키트가 포함된 화면표시장치가 차량의 센타페시아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방향제 키트 소켓부(70)가 화면표시장치의 화면(10)아래 쪽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자세히 하면, 방향제 키트 소켓부(70)는 화면표시장치의 특성에 맞춰 화면표시장치의 어느 위치에라도 형성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표시장치는 차량의 센타페시아(40) 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화면표시장치의 화면(10) 상부 또는 하부에 방향제 키트 소켓부(7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향제 키트(60)의 삽입 및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향제 키트 소켓부 내부에 탄성부재(72)를 두어 버튼 조작으로 방향제 키트(60)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방향제 키트가 포함된 화면표시장치가 차량의 대쉬보드상에 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65), 가이드 홈(68)이 각각 형성된 방향제 키트(60)와 화면표시장치 본체(100)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 키트가 삽입된 화면표시장치의 사용으로 운전보조석의 대쉬보드 상에 운전시야 제약 물건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전방 우측면의 시야를 확보함을 물론 비교적 정돈된 차량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일 경우 차량용 화면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행속도, 위치 등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합한 향공급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기능이 구비된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는 GPS부(210), 제어부(200), 입력부(250), 메모리부(230), 출력부(290), 향 방출 조절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부(210)는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상기 인공위성에서 제공되는 차량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250)는 화면표시장치의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키를 구비하며,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같은 접촉식 입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29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230)의 지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각종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290)는 LCD, PDP, OLED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스피커 같은 음성출력모듈을 구비한다.
메모리부(230)는 지도정보와 기타 부가정보 데이터 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화면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 각 장치의 기능 및 관련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200)는 GPS부(210)에서 수신되는 차량위치정보와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바탕으로 주행궤적정보를 작성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차량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행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좀더 정확한 속도 측정을 위해 자이로 센서 , 속도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주행궤적정보, 속도, 위치 등을 파악하여 주행상황에 적합한 향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위치가 고속도로 상이고, 평균 100Km의 속도로 장시간 주행하고 있을 때, 제어부(200)는 이를 감지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피로회복에 적합한 향을 선택하고 좀더 강한 향을 방출하도록 향 방출 조절부(270)를 제어한다.
향 방출 조절부(270)는 제어부(20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주행상황에 적합한 향 공급을 위해 다양한 향을 선택하고 방출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운전을 시작할 경우 향 방출 조절부(27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긴장완화에 도움이 되는 라벤다 향을 선택하여 은은하게 방출하고, 주행 중 소정시간 이상 속도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장시간 주행상태에 있을 경우, 향 방출 조절부(27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민트향을 선택하여 자극적으로 방출함으로써 기존에 방출되고 있던 향과 차별화를 둠과 동시 에 향 방출량을 달리하여 좀더 강렬한 향을 느끼도록 한다. 이로 인해 졸음운전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향 방출 조절부(270)는 여러가지의 향을 선택하고 방출하기 위해, 열자극에 의해 향을 방출하는 방향제 키트(60)를 구비함과 아울러 방향제 키트(60), 이에 대응되는 방향제 키트 소켓부(70) 또는 화면표시장치 본체(100)의 착탈면(75a)에 열공급을 위한 접촉단자(83, 8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향 방출 조절부(270)는 여러 개의 방향제 키트(60) 중 특정 방향제 키트(60)에만 열을 가함으로써 운전자에 적합한 향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화면표시장치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에서는 제 1 접촉단자(83)가 형성된 각기 다른 향을 지닌 복수 개의 방향제 키트(60a, 60b)가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방향제 키트 소켓부(70)의 제 2 접촉단자(83)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도 7b에서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방향제 키트(60a, 60b)에 각기 다른 방향제재가 수용되어 상기 방향제 키트(60)일면과 본체(100)의 탈착면(75a)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탈착면(75a)에는 방향제 키트(60) 하부에 형성된 제 1 접촉단자(83)에 열공급을 위한 제 2 접촉단자(85)가 형성되며, 방향제 키트(60)와 본체(100)는 제 1 접촉단자(83)와 제 2 접촉단자(85)가 서로 접촉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로써 상술한 향 방출 조절부(7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기 다른 향을 지닌 방향제 키트(60)를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한 제 2 접촉단자(85)에 전기공 급을 달리함으로써 열공급의 강약을 조절하여 향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표시장치 본체 일측에 방향제 키트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표시장치 본체와 방향제 키트 일측에 각각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방향제 키트가 포함된 화면표시장치가 차량의 센타페시아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방향제 키트가 포함된 화면표시장치가 차량의 대쉬보드상에 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기능이 구비된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럭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표시장치에 삽입되는 방향제 키트를 나타낸 예시도.

Claims (2)

  1.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 또는 이동가능한 화면표시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 측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에 구비된 착탈면과,
    상기 착탈면에 대해서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제 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착탈면 일측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방향제 키트는 상기 착탈면에 대향되는 면 일측에 가이드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홈 내부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KR2020080001186U 2008-01-25 2008-01-25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KR200439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86U KR200439719Y1 (ko) 2008-01-25 2008-01-25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86U KR200439719Y1 (ko) 2008-01-25 2008-01-25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99U Division KR200438489Y1 (ko) 2006-12-22 2006-12-22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719Y1 true KR200439719Y1 (ko) 2008-05-07

Family

ID=4164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186U KR200439719Y1 (ko) 2008-01-25 2008-01-25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7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6742A1 (en) Vehicle steering-wheel cover
EP2154479A4 (en) NAVIGATION DEVICE
WO2007002806A3 (en) Vehicle media system
AU2003288037A1 (en) Dashboard for a motor vehicle with an airbag device integrated into a ventilation device
US20090319184A1 (en) Guidance system
ES1050207U (es) Ambientador electrico regalable para automoviles.
KR200439719Y1 (ko)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KR200439720Y1 (ko)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KR200438489Y1 (ko) 방향제 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US20060193610A1 (en) Aromatic emitting apparatus for using cigarjack
DE10346182A1 (de) Beduf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zum Beduften eines Kraftfahrzeugs
US20100060445A1 (en) Vehicle multimedia terminal for displaying clock by global positioning system
ES2642103T3 (es) Sistema de gestión de instrumentos a bordo de un vehículo, en especial, para vehículos industriales o comerciales
CN104271375A (zh) 车辆有效成分产生装置
JP5935087B2 (ja) ミラー装置
CN113119695A (zh) 一种香氛系统个性化功能实现方法
US20060113687A1 (en) Remote control HVAC air freshener
JP2000355250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2013520661A (ja) 自動車の表示装置
US11034217B1 (en) Automobile air freshener
CN218054800U (zh) 香氛发生器、香氛发生系统及车辆
KR200222986Y1 (ko) 차량용 방향제
CN109747418B (zh) 用于车辆的控制面板
KR200337525Y1 (ko) 자동차용 다용도 방향제 장치
JP2009090811A (ja) 車載機器の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