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00Y1 -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00Y1
KR200438700Y1 KR2020060031969U KR20060031969U KR200438700Y1 KR 200438700 Y1 KR200438700 Y1 KR 200438700Y1 KR 2020060031969 U KR2020060031969 U KR 2020060031969U KR 20060031969 U KR20060031969 U KR 20060031969U KR 200438700 Y1 KR200438700 Y1 KR 200438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ype
connecting pin
type lighting
lev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세범
Original Assignee
엄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세범 filed Critical 엄세범
Priority to KR2020060031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한 쌍의 걸림부를 케이스의 하면에 갖는 바타입 조명기구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서로 이격된 제1, 제2 지지부(111, 112)를 갖는 고정대(110)와, 제1, 제2 연통구멍(111a, 112b)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핀(120)과, 연결핀(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핀(130)을 회전중심으로 캠면(141)을 갖는 레버(140)와, 연결핀(120)에 삽입되어 레버(140)의 캠면(141)에 그 일측이 접촉하는 링(150)과, 연결핀(120)에 삽입되어 일측이 링(150)의 타측에 접촉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부재(160)와, 레버(140)의 조작에 따라 상단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후크부(171)가 벌어지거나 원위치하는 탄성력을 갖는 체결수단(170), 및 연결핀(1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너트(180)로 구성된다. 이 고안은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바타입 조명기구의 케이스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며 회전 가능한 체결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바타입 조명기구를 임의의 구조물에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Bar Type Light}
도 1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바타입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장치 110 : 고정대
120 : 연결핀 130 : 힌지핀
140 : 레버 150 : 링
160 : 테이퍼 부재 170 : 체결수단
180 : 결합너트
이 고안은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바타입 조명기구를 임의의 구조물에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서, 인간의 문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최초 백열전구로부터 형광등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높은 조도를 요구하는 전등으로는 질소나 헬륨 가스를 장입한 서치라이트 또는 할로겐램프와 같은 다양한 전등이 개발되어 왔다.
또한, 광고용 간판이나 실내장식 조명 또는 무대장치용 조명기구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연출하기 위해,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의 수대로 다양한 색상의 전구를 설치하거나, 3색(RGB)등의 합성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근래에는 기능이 향상된 LED를 이용한 바타입 조명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바타입 조명기구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18901호에 공지된 "바타입의 조명용 엘이디 튜브"가 있다. 이 기술은 PCB 기판 위에 직접 전원 패턴을 형성하고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컨트롤 IC를 실장함으로써 다양한 색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바타입 조명기구를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함에 있어, 케이 스의 하면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타입 조명기구를 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는 있으나, 양면 접착테이프의 부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안정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바타입 조명기구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바타입 조명기구를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항상 동일 방향으로 고정할 수밖에 없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바타입 조명기구는 볼트와 너트, 또는 스크루 등을 이용하는 매우 일반적인 고정방식을 통해 원하는 구조물에 시설하고 있다. 따라서, 바타입 조명기구를 구조물에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항상 동일 방향으로 고정할 수밖에 없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바타입 조명기구의 케이스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며 회전 가능한 체결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바타입 조명기구를 임의의 구조물에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은, 한 쌍의 걸림부를 케이스의 하면에 갖는 바타입 조명기구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서로 이격된 제1, 제2 지지부를 가지며 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와, 제1, 제2 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연통구멍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핀과, 연결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 결합되며 힌지핀을 회전중심으로 캠면을 갖는 레버와, 연결핀에 삽입되어 제1 연통구멍을 거쳐 레버의 캠면에 그 일측이 접촉하는 링과, 연결핀에 삽입되어 일측이 링의 타측에 접촉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부재와, 테이퍼 부재와 제2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단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후크부가 벌어져 케이스의 한 쌍의 걸림부에 체결되거나 원위치하여 분리되는 탄성력을 갖는 체결수단, 및 연결핀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의 체결수단의 일측은 제2 지지부 중에서 제2 연통구멍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고안의 체결수단은 삽입부와 테이퍼 부재에서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아래에서, 이 고안에 따른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바타입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100)는 서로 이격된 제1, 제2 지지부(111, 112)를 가지며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110)와, 제1, 제2 지지부(111, 112)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연통구멍(111a, 112b)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핀(120)과, 연결핀(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130) 결합되며 힌지핀(130)을 회전중심으로 캠면(141)을 갖는 레버(140)를 갖는다. 또한, 고정장치(100)는 연결핀(120)에 삽입되어 제1 연통구멍(111a)을 거쳐 레버(140)의 캠면(141)에 그 일측이 접촉하는 링(150)과, 연결핀(120)에 삽입되어 일측이 링(150)의 타측에 접촉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부재(160)와, 제2 연통구멍(112a)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부(112b)와 테이퍼 부재(16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레버(140)의 조작에 따라 상단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후크부(171)가 벌어지거나 원위치하는 탄성력을 갖는 체결수단(170), 및 연결핀(1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너트(180)를 갖는다.
고정대(110)는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바타입 조명기구(200)를 구조물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하는 높이의 스템(Stem)을 갖는다. 또한, 고정대(110)의 상부에는 각각의 제1, 제2 연통구멍(111a, 112b)을 갖는 제1, 제2 지지부(111, 112)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 제1, 제2 지지부(111, 112)는 그 사이에 체결수단(170) 등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가져야 한다.
연결핀(120)은 제1, 제2 연통구멍(111a, 112b)을 가로질러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일측으로는 힌지핀(130)이 체결되는 체결구멍(1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너트(18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레버(140)는 연결핀(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13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레버(140)는 힌지핀(130)을 회전중심으로 최외측면 간에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캠면(141)을 갖는다. 이 때, 힌지핀(130)과 캠면(141) 사이의 거리는 레버(140)가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가 제일 길고, 상부쪽 수직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즉, 이 실시예는 레버(140)를 고정대(110) 쪽으로 회전시키면 체결수단(170)이 벌어지고, 레버(140)를 고정대(110) 외측방향 쪽으로 회전시키면 체결수단(170)이 원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링(150)은 연결핀(120)에 삽입 가능한 내경과 제1 연통구멍(111a)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갖는 것으로서, 제1 연통구멍(111a)의 양측으로 충분히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링(150)은 접촉하는 캠면(141)에 따라 제1 연통구멍(111a)의 양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여 테이퍼 부재(160)를 압착하거나 압착을 해제한다.
테이퍼 부재(160)는 연결핀(120)에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갖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하향 경사각의 외측면을 갖는다. 이러한 테이퍼 부재(160)는 레버(140)의 조작에 따라 체결수단(170)의 내측방향으로 점점 이동하거나 원위치하여 체결수단(170)의 한 쌍의 후크부(171)가 벌어지거나 원위치하도록 한다.
체결수단(170)은 일정 크기의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제2 지지부(112)의 삽입부(112b)와 테이퍼 부재(160)에서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절개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삽입부(112b)와 테이퍼 부재(160)에 각각 끼워질 정도의 내경과 그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체결수단(170)은 삽입부(112b)와 테이퍼 부재(160)를 양 고정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체결수단(170)은 절개부위의 양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후크부(171)를 각각 갖는다. 이 때, 후크부(171)는 체결수단(170)이 벌어질 때 체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바타입 조명기구를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체결수단(170)의 한 쌍의 후크부(171)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211)를 케이스(210)의 하면에 갖는 바타입 조명기구(2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임의의 구조물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고정한다. 그런 다음, 체결수단(170)의 한 쌍의 후크부(171)를 케이스(210)의 한 쌍의 걸림부(211)에 위치시킨다. 이 때, 체결수단(170)을 회전시켜 한 쌍의 후크부(171)가 바타입 조명기구(200)가 조명되는 원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레버(140)를 고정대(110) 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레버(140)의 캠면(141)에 의해 링(150)이 제2 연통구멍(112a) 쪽으로 점점 이동하면서 테이퍼 부재(160)를 압착하고, 그에 따라 체결수단(170)이 테이퍼 부재(160)로 인해 벌어져, 한 쌍의 후크부(171)가 한 쌍의 걸림부(211)에 체결된다. 그로 인해, 바타입 조명기구(200)가 이 실시예의 고정장치(100)에 의해 임의의 구조물에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바타입 조명기구(200)를 고정장치(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140)를 고정대(1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레버(140)의 캠면(141)이 링(150)을 강압적으로 밀착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수단(170)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 있던 한 쌍의 후크부(171)가 원위치하여 한 쌍의 걸림부(211)와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 고안의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바타입 조명기구의 케이스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며 회전 가능한 체결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바타입 조명기구를 임의의 구조물에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한 쌍의 걸림부를 케이스의 하면에 갖는 바타입 조명기구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서로 이격된 제1, 제2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구조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와,
    상기 제1, 제2 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연통구멍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을 회전중심으로 캠면을 갖는 레버와,
    상기 연결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통구멍을 거쳐 상기 레버의 캠면에 그 일측이 접촉하는 링과,
    상기 연결핀에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링의 타측에 접촉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 부재와,
    상기 테이퍼 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단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후크부가 벌어져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걸림부에 체결되거나 원위치하여 분리되는 탄성력을 갖는 체결수단, 및
    상기 연결핀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의 일측은 상기 제2 지지부 중에서 상기 제2 연통구멍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조명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테이퍼 부재에서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원통 형상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조명기구.
KR2020060031969U 2006-12-18 2006-12-18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KR200438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69U KR200438700Y1 (ko) 2006-12-18 2006-12-18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69U KR200438700Y1 (ko) 2006-12-18 2006-12-18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00Y1 true KR200438700Y1 (ko) 2008-03-03

Family

ID=4162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969U KR200438700Y1 (ko) 2006-12-18 2006-12-18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7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83366U (zh) Led燈具
CA2809709C (en) Rotational mounting for linear led light
JP5185947B2 (ja) Ledソケットおよび取換可能な組立品
US8602611B2 (en) Decorative and functional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fixtures
US20110242814A1 (en) Decorative and functional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fixtures
US20070133202A1 (en) Led lamp tube
US20030206416A1 (en) Lighting unit with mounting mechanism
US20110242813A1 (en) Decorative and functional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fixtures
CN201032087Y (zh) 软性及不限定外形的照明结构
KR200482259Y1 (ko) 기구물 취부장치
KR200438700Y1 (ko) 바타입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US6068389A (en) Fixture for a light bulb holder on a light string to connect with a frame
KR20160099226A (ko)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조명등의 다방향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
JP2012089425A (ja) 照明器具
KR101999980B1 (ko) 조명유닛
US20090163056A1 (en) Light fixture and sleeve candlestick adapter
KR100997891B1 (ko) 램프 방향성 조절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US7270451B1 (en) Torchiere lamp
EP3203145A1 (en) A lighting device
JP6279333B2 (ja) 照明用ユニット
KR101174352B1 (ko) 엘이디조명장치
KR20130029551A (ko) 조명기구의 각도조절용 브라켓
JP7278912B2 (ja) 直管型ランプの落下防止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215776005U (zh) 一种发光项链
JP2011090887A (ja) 連結式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