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636Y1 -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 Google Patents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636Y1
KR200438636Y1 KR2020060027880U KR20060027880U KR200438636Y1 KR 200438636 Y1 KR200438636 Y1 KR 200438636Y1 KR 2020060027880 U KR2020060027880 U KR 2020060027880U KR 20060027880 U KR20060027880 U KR 20060027880U KR 200438636 Y1 KR200438636 Y1 KR 200438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gabions
wire
partition wal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철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철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철강산업
Priority to KR2020060027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이나 호안의 법면(法面) 등에 축조되어 법면의 유실과 무너짐을 방지하는 돌망태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망태의 내구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된 격벽을 돌망태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한편 돌망태의 선단과 후단에 포스트(post)를 박아 법면의 지반에 돌망태를 고정시켜 시공함으로써, 돌망태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법면의 유실과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 마름모꼴, 격벽, 포스트(post)

Description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The gabion have a parti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마름모꼴 격벽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양측면과 이음새 없이 통으로 형성된 윗면을 편의상 생략한 것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마름모꼴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마름모꼴 격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돌망태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돌망태 11: 선단부
12: 후단부 13: 철선
20: 격벽 21: 사각 프레임
22: 철선 30: 포스트(post)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이나 호안의 법면(法面) 등에 축조되어 법면의 유실과 무너짐을 방지하는 돌망태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망태의 내구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된 격벽을 돌망태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한편 돌망태의 선단과 후단에 포스트(post)를 박아 법면의 지반에 고정시켜 시공함으로써, 돌망태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법면의 유실과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나 호안 등의 법면(法面)에는 홍수 피해로 인한 하천의 범람(汎濫)과 유속으로 인한 지반의 침식 및 침하를 방지하고자 다양한 형태로 돌망태와 옹벽 및 블록 등이 축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연 생태계의 보호를 위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환경 친화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상기에서 돌망태는 철선을 사용하여 사각 육면체나 또는 원통형으로 철망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적당한 크기의 돌(채움재)을 넣어서 하천 제방이나 호안 등의 법면에 축조되며, 여기서 돌망태는 소정 굵기의 철선을 상호 교차시켜 꼬아서 다이아몬드나 또는 사각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돌망태는 작업 현장에서 사각 육면체로 조립하고, 그 내부에 돌을 넣어서 축조할 수 있으나, 돌망태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한쪽에 구멍이 생기거나 파손되면 내부에 채워진 돌이 쏟아져 유실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고자 돌망태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 돌망태의 선행기술에서 육면과 내부에 설치된 격벽이 다이아몬드(육각)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구성된 돌망태는 철선을 교차시켜 다수회 꼬아서 다이아몬드 형의 모양을 형성함에 따라 철선을 교차시켜 다수회 꼬기 위해선 상대적으로 철선의 굵기가 제한되어 돌망태와 격벽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돌망태를 제작하기 위하여 동일한 재질의 철선을 사용할 경우 직경이 굵은 철선은 내구성이 강한 반면에 절곡이 어렵기 때문에 돌망태를 제작할 경우 철선을 교차시켜 다수회 꼬는 작업이 어려우나, 직경이 가는 철선은 내구성이 약한 반면에 절곡이 쉽기 때문에 철선을 교차시켜 꼬기가 쉬우므로 다이아몬드 형태의 돌망태는 비교적 가는 철선을 사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돌망태의 선행기술에서 실용신안등록 제20-0190073호(철판망으로 이루어지는 돌망태)는 프레싱 작업으로 소정면적의 철판에 절개선을 반복적으로 형성한 다음 이를 인장시켜 늘려서 철판망을 형성하고, 상기 철판망을 적당한 길이의 사각 육면체로 조립한 후 그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기술로서, 이같은 선행기술은 전반적인 판형태의 구조이므로 유연성이 떨어져 지반의 침식 및 침하작용과 법면의 유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하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선행기술은 철판망의 특성상 고온 열처리공정이 어렵기 때문에 철판망의 표면에 아연도금을 하는 실정으로 아연도금은 철판망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부식에 취약하고 기존 철선에 비하여 내 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돌망태의 구조와 시공방식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돌망태의 내구성이 더욱 견고하고 법면 등의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법면의 유실과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된 격벽을 돌망태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한편 돌망태의 선단과 후단 위치에 포스트를 박아 법면의 지반에 고정시켜 시공함으로써, 홍수 피해로 인한 법면의 유실과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돌망태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된 격벽을 돌망태의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배치하여 내구성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한편 돌망태가 법면 등의 지반에 안정적으로 놓여 고정 시공되도록 돌망태의 선단과 후단 위치에 각각 포스트를 박아 고정 설치되는 돌망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철선(13)을 교차시켜 꼬아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선단부(11)와 후단부(12)에 뚜껑이 결속 조립되어 사각 육면체로 구성되는 돌망태(10)와; 상기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조립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21)에 철선(22)을 교차시켜 꼬아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격벽(20)과; 상기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 철선(13)에 상부 고리(31)가 결속되고 법면의 지반에 박혀 돌망태(10)를 고정하는 포스트(3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돌망태(10)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선(13)은 비교적 직경이 굵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함이 이상적이고, 직경이 굵고 내구성이 강한 철선(13)을 사용함에 따라 돌망태(10)의 제작과정에서 꼬임 횟수가 적어 작업이 용이하게 마름모꼴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철선(13)을 1차 교차시켜 꼬아서 돌망태(10)를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돌망태(10)는 전반적으로 마름모꼴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철선(13)을 1차 교차시켜 꼬아 구성되고, 작업 현장에 따라 적당한 길이의 사각 육면체로 조립하여 시공되는 한편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에는 내부에 돌을 넣어 채우기 위한 뚜껑이 결속되어 조립 시공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격벽(20)은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돌망태(10)의 내부에 안치되도록 철선으로 사각 프레임(21)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 프레임(21)에 철선(22)을 1차 교차시켜 꼬아서 마름모꼴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격벽(20)은 사각 프레임(21)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 고,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길쭉한 철선이 끼워져 돌망태(1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결속되는 한편 사각 프레임(21)이 돌망태(10)의 내면에 위치한 철선(13)에 다수의 체결고리(23)로 결속되어 견고하게 조립 시공된다.
상기에서 체결고리(23)는 철선을 사용하여 사각 프레임(21)과 돌망태(10)의 철선(13)을 소정 간격으로 결속함으로써, 격벽(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름모꼴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구성된 격벽(20)이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함에 따라 돌망태(10)의 한쪽 공간에 구멍이 생기거나 파손이 발생해도 다른 공간에 채워진 돌이 쏟아져 유실되지 않도록 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돌망태(10)가 포스트(30)에 의해 법면의 지반에 놓여 안정적으로 고정 시공되는 것으로서,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 위치에 각각 길쭉한 포스트(30)를 박아서 돌망태(10)를 법면이나 제방 등의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돌망태는 내부에 채워진 돌의 하중에 의해 하천의 범람이나 유속으로 인한 지반의 침식과 침하를 방지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돌망태(10)의 하중 뿐만아니라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에 포스트(30)를 박아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포스트(30)는 길쭉한 형상으로 상부에 고리(3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에 형성된 고리(31)가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에서 철선(13)에 결속되어 돌망태(10)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포스트(30)는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 뿐만아니라 격벽(20)이 설치된 돌망태(10)의 양측부에 위치하도록 철선(13)이 결속되게 지반에 박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는 직경이 굵고 내구성이 강한 철선(22)을 1차 교차시켜 꼬아서 마름모꼴 모양으로 구성된 격벽(20)을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함에 따라 돌망태(10)의 내구성이 한층 보강되는 한편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에 포스트(30)를 박아 돌망태(10)를 지반에 고정시킴으로써, 돌망태(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20)이 설치되어 돌망태(10)의 내부공간을 다수로 구획함으로써, 돌망태(10)에서 한쪽 공간에 구멍이 생기거나 파손이 발생해도 다른 공간에 채워진 돌이 쏟아져 유실되지 않으므로 홍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구성이 강한 철선을 교차시켜 꼬아서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된 격벽을 돌망태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한편 돌망태의 선단과 후단에 포스트를 박아 지반에 고정시켜 시공함으로써, 돌망태의 내구성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고 안정적으로 시공되며, 특히 격벽의 설치로 인하여 돌망태의 내부공간이 다수로 구획됨에 따라 돌망태의 내부에 채워진 돌의 유실을 방지하여 홍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철선(13)을 교차시켜 꼬아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된 철망으로 양측면과 윗면, 아랫면이 이음새 없이 형성되고 선단부(11)와 후단부(12)에 뚜껑이 결속 조립되어 사각 육면체로 구성되는 돌망태(10)와;
    상기 돌망태(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조립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21)에 철선(22)을 교차시켜 꼬아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격벽(20)과;
    격벽(20)의 사각 프레임(21)의 사방 모서리에 돌망태(10)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철선을 끼워넣은 구멍과;
    격벽(20)의 사각 프레임(21)을 돌망태(10)의 철선(13)에 결속시키는 다수의 체결고리(23);
    상기 돌망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 철선(13)에 상부 고리(31)가 결속되고 지반에 박혀 돌망태(10)를 고정하는 포스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2.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30)는 격벽(20)이 설치되는 돌망태(10)의 양측부에 위치하도록 철선(13)이 결속되게 지반에 박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3. 삭제
KR2020060027880U 2006-10-16 2006-10-16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KR200438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80U KR200438636Y1 (ko) 2006-10-16 2006-10-16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80U KR200438636Y1 (ko) 2006-10-16 2006-10-16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636Y1 true KR200438636Y1 (ko) 2008-02-28

Family

ID=4162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880U KR200438636Y1 (ko) 2006-10-16 2006-10-16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6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292B1 (ko) 2016-05-30 2016-11-08 주식회사 레티아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
KR102667127B1 (ko) * 2023-12-20 2024-05-20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292B1 (ko) 2016-05-30 2016-11-08 주식회사 레티아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
KR102667127B1 (ko) * 2023-12-20 2024-05-20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1368A2 (en) The vegetation block frame and the vegetation block
KR100763476B1 (ko) 보강 개비온
KR100864813B1 (ko)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KR200438636Y1 (ko) 마름모꼴 격벽을 갖춘 돌망태
KR200279894Y1 (ko)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육각 개비온
KR101512721B1 (ko)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0522174B1 (ko) 레고형 옹벽블럭
KR100677056B1 (ko) 친환경 타원형 돌망태 및 그 설치구조
CN212956382U (zh) 一种生态石笼挡墙
KR200279944Y1 (ko) 소파기능을 가진 옹벽식 호안구조
KR102139853B1 (ko)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KR100481970B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KR100722166B1 (ko) 유실방지를 위한 호안피복블록 설치구조
KR200272952Y1 (ko)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KR101539400B1 (ko)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KR200342292Y1 (ko) 방파제 외해측 법면 피복용블럭
KR100827783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8196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제방 설치구조
KR200408158Y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367416Y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259236Y1 (ko) 생태 하천 제방의 제방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