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79Y1 -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79Y1
KR200438579Y1 KR2020070000643U KR20070000643U KR200438579Y1 KR 200438579 Y1 KR200438579 Y1 KR 200438579Y1 KR 2020070000643 U KR2020070000643 U KR 2020070000643U KR 20070000643 U KR20070000643 U KR 20070000643U KR 200438579 Y1 KR200438579 Y1 KR 200438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ttery
battery cell
cas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2020070000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는 플러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 포인트 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Mini battery apparatus having LASER poin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레이저 포인터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배터리 장치
10 : 케이스 20 : 전지셀
30 : 회로부 32 : 열저항
40 : 플러그 50 : 연결구
60 : 레이저 다이오드 62 : 스위치
70 : 출력 조절부 71 : 출력 조절 버튼
본 고안은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는 것과 필요시 레이저 포인터 등으로 사용 가능한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아니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보통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보통 이러한 배터리가 1~2개 정도 구비하고, 보통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충전을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폰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이 꺼지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곤란하게 된다. 최근, 거리에 많이 있는 편의점 등에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서비스를 받을 수는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할 뿐 아니라, 충전에 필요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휴대폰을 꺼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과거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배터리의 지속시간이 반나절을 넘길 수가 없어서 예비 배터리를 휴대폰과 함께 소지하고 다니는 것이 필수였으나, 최근배터리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전기 용량도 늘어났기 때문에, 이러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가 줄어들게 되어,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곤란한 상황이 생기는 일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편, 소형 배터리로써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는 일반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일반 배터리를 사용하는 소형 배터리는 일회용인 경우가 많으며 그 부피가 커서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설령, 일반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중전 배터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보조적으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고, 충전도 가능한 소형 배터리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도 가능하고, 그 충전된 전원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일체로 제공함과 아울러, 그 레이저 포인터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는 플러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전지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 포인트 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배터리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 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레이저 포인터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는, 휴대폰(100; 도 3참조)의 하단에 결합되어 휴대폰(100)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또한 내부의 전원으로 레이저 광을 발생시켜 레이저 포인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스(10), 전지셀(20), 회로부(30), 플러그(40), 연결구(50) 및 레이저 다이오드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장치의 외부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몸체(12)와 덮개부(14)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0)의 크기는 대략 12*30*30(mm) 정도로 소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의 보통의 엑세서리처럼 휴대폰의 고리에 결합하여 지니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2)는, 상호 결합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2)의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부품들이 장착되며, 몸체(12)에는 스위치(62)와 레이저 광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 타입의 출력 조절 버튼(7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플러그(40)가 돌출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연결구(50)와 레이저 다이오드(60)의 장착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4)는, 상기 몸체(12)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부(14)가 몸체(12)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몸체(12)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된 플러그(40)가 외부로 노출된다. 플러그(40)는 휴대폰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덮개부(14)에는 고리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부(140)에는 끈 부 재(142)가 결합되어 있다. 끈 부재(142)는 통상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고리부에 결합되어, 장치(1)를 휴대폰과 함께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기에 간편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12)에도 덮개부(14)의 고리부(140)와 유사한 형상의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부는 몸체(12)에 있어서, 덮개부(14)의 고리부(140)에 근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몸체(12)와 덮개부(14)의 두 고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고리에 의해 덮개부(14)가 몸체(12)와 분리되어도, 분실의 위험이 방지된다. 연결고리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아도 무방하며, 혹은 몸체(12)와 덮개부(14)의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핀 등과 같은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지셀(20)은,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구성부품이다. 전지셀(20)은, 통상의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배터리로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류이다,
다만,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배터리에는 이러한 전지셀이 여러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휴대폰 본체에 충전을 위한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의 경우에는 휴대의 간편성을 위해 작은 크기의 전지셀이 사용되고, 이의 충전을 위해 장치 내에 회로부(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지셀(20)로서, 리튬, 폴리머 계통의 3.6볼트(V)의 것을 사용한다. 전지셀(20)의 크기는 보통의 엄지손톱 정도의 크기이며 그 두께도 수 mm 정도이다.
도 2에는, 전지셀(20)의 외형이 동전처럼 생긴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러한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각판 등 필요한 다른 형상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전지셀(20)에 충전되는 전기의 양은, 휴대폰의 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적어도 2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 전후의 대기시간이 가능한 양의 전기가 충전되도록 한다.
케이스 몸체(12)의 내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지셀(20)은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로부(30)에는 외부의 전원이 입력되는 연결구(5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셀(20)은 연결구(50)로부터 회로부(30)를 거쳐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다만,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사실일 뿐 아니라, 본 고안의 관심의 대상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로부(3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5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를 전지셀(20)에 공급되도록 한다. 회로부(30)는 전지셀(20)이 과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완전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회로부(30)는, 외형적으로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상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 실장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30)에는, 전지셀(20)의 온도가 사전에 정해 놓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열저항(32)이 더 포함되어 있다. 열저항(32)은, 도 2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지셀(20)은, 소정온도이상이 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열저항(32)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저항(32)은, 자체적으로 온도를 감지하여서 그 온도가 사전 에 정해놓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연결구(50)로부터 전지셀(20)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전지셀(20)의 온도측정은 별도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될 수도 있다.
다만, 전지셀(20)에 과충전이나 완전방전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회로 구성이나, 열저항을 구체적인 구조 등은, 이미 공지된 사실일 뿐 아니라, 본 고안의 관심의 대상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러그(40)는, 케이스(10)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커넥터(102)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도 2에는 플러그(40)의 형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플러그(40)에는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플러그(40)는, 모든 휴대폰에 접속이 가능한 24핀의 표준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40)는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전지셀(20)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휴대폰에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102)는 휴대폰(100)의 하단에 형성된 홈 내에 마련된다. 입출력커넥터(102)는, 데이터와 같은 신호가 입출력되는 단자는 물론, 휴대폰(100)에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 입출력커넥터(102)에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02)가 결합되어,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는, 정보통신부의 지침에 따라 24핀의 표준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장치(1)의 플러그(40)와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는 양자가 모 두, 표준화된 입출력커넥커를 구비한 모든 휴대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5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지셀(20)에 회로부(30)를 거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된다.
상기 외부의 전기공급장치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 전원에 결합되는 본체(111)와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충전장치(110)이다. 그리고, 연결구(50)는 이러한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가 접속될 수 있는 소켓(50)이다. 소켓(50)은, 표준화되어 있는 충전장치(110)에 구비된 플러그(112)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외부의 전기공급장치로서, 전압 등의 조건만 충족되다면, 자동차용 시거잭이나, 휴대폰 충전장치이외의 일반 충전장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6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역시 케이스(10)에 장착된 스위치(62)의 동작에 따라 전지셀(2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레이저 광을 외부로 출사시킨다. 레이저 다이오드(60)는 통상적으로 수백 nm(예를들면 532nm) 정도의 짧은 적색 파장을 가지며, 통상 5mW의 저전력으로도 동작되어 레이저 포인터로 이용된다.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6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은 몸체(12)에 형성된 출사구(6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프리젠테이션 등의 회의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레이저 다이오드(60)는,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 셀(2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60)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스위치(62)를 구비한다.
스위치(62)는,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레이저 다이오드(60)가 켜지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60)가 on/off를 반복하며 그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레이저 다이오드(6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광은 점 형태의 매우 밝은 빛이므로 사람의 시선을 쉽게 유도할 수 있으나, 프로젝션 스크린 등을 통한 어두운 장소에서의 프리젠테이션 등을 행할 때 너무 밝은 레이저 광에 의해 눈의 피로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통상의 레이저 포인터는 그 출력이 고정되어 있어서 이러한 눈의 피로가 가중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1차 전지인 코인 타입의 AAA형 전지를 이용함으로써 자주 전지를 교체하여야 하며, 이 경우 비용의 손실이 발생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위하여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를 상기 회로부(30)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장소에 적절하게 레이저 광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전지셀(20)에 충전된 전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이러한 레이저 광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스위치(62)에 의하여 전지셀(20)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60)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출력 조절부(70)와 출력 조절 버튼(71)에 의하여 레이저 다이오드(60)에 공급되는 전원을 크기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출력 조절부(70)는 전 지셀(20)과 레이저 다이오드(60)의 사이에 위치한다.
출력 조절 버튼(7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의 버튼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노브를 이동시킴으로써 출력 상태를 결정하게 되며, 이러한 결정된 상태에 따라서 출력 조절부(70)는 전지셀(20)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6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출력 조절부(70)는 전자적인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안으로는 비용 절감을 위하여 출력 조절 버튼(71)과 출력 조절부(70)를 하나의 가변 저항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는, 휴대폰 충전장치(110)를 이용하여 충전한 후, 배터리가 방전된 휴대폰(100)에 결합하여 휴대폰(100)을 사용가능하도록 그 휴대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의 소켓(50)에, 통상의 휴대폰용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를 끼워서 장치(1) 내부에 구비된 전지셀(20)에 충전이 되도록 한다. 한편,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부의 덮개부(14)를 제거한 후, 장치(1)의 플러그(40)를 휴대폰(100)의 입출력커넥터(102)에 끼워넣으면, 본 실시예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와 휴대폰(100)에 장착된 통상의 배터리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지셀(20)이 방 전되고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에는 충전이 되어 있는 경우, 본 장치(1)를 휴대폰에 장착하게 되면, 역으로 본 장치(1)의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전지셀(20)을 충전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30)에 열저항(3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열에 의해 전지셀(20)이 폭발하는 위험이 방지된다.
충전이 완료된 본 실시에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를 덮개부(14)에 마련된 고리부재(142)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고리에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니거나,혹은 열쇠고리로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폰(100)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이 된 경우, 덮개부재(14)를 몸체(12)로부터 분리한 후, 몸체(1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플러그(40)를 휴대폰(100)의 입출력커넥터(102)에 삽입 결합한다. 그러면, 장치(1) 내부의 전지셀(20)로부터 휴대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가 공급되어 휴대폰(100)을 통상의 사용방법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외관을 악세서리와 같은 형태로 디자인하거나, 혹은 캐릭터화하여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는 것을 선호하도록 만들게 되면 상품성이 올라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는 전체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기 부담이 없으며, 휴대폰(1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편하지 않다. 이러한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는 대기시간 기준으로 대략 5시간 정도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기를 공급한다. 다만, 이러한 사용가능한 시간의 가감은 전지셀의 성능에 좌우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1)에는 레이저 다이오드(60) 가 구비되어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등의 회의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1)의 내부에 자체적으로 전원(전지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에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그 전지셀의 전기를 사용하여 켜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전지셀(20)은 1차 전지가 아니고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2차 전지이기 때문에, 충전에 사용되는 가정용 전기의 비용을 제외하면, 추가적인 비용없이도 계속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지셀(20)은, 충전을 위하여 휴대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는 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추가적인 충전장치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에 편리하게 결합시켜 일정 시간동안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고, 출력이 조절 가능한 레이저 포인터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지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는 플러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전지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 포인트 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의 소형 배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출력 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절부는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2020070000643U 2007-01-12 2007-01-12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200438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43U KR200438579Y1 (ko) 2007-01-12 2007-01-12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43U KR200438579Y1 (ko) 2007-01-12 2007-01-12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79Y1 true KR200438579Y1 (ko) 2008-02-27

Family

ID=4162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643U KR200438579Y1 (ko) 2007-01-12 2007-01-12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JP3160449U (ja) 二次電池
KR20050120874A (ko) 모바일 차저
KR20150016859A (ko) 보호 케이스
US6489746B1 (en) Rechargeable remote control
US20060082991A1 (en) Flashlight adaptor for providing alternativ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to other electronic instruments
KR100475455B1 (ko) 외장형 전지팩
US6509715B1 (e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for hand-held devices
KR200442993Y1 (ko) 휴대용 비상 배터리
US6639382B1 (en) Mobile phone charger with automatic light
US6219257B1 (en) Integrated battery compartment and hinge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100553003B1 (ko)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US7623352B2 (en) Power supply and speakerphone for handheld devices
KR200438579Y1 (ko)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AU2007273166A1 (en) Power converter with integral battery
KR200437848Y1 (ko)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
US20090045770A1 (en) Headgear assembly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KR20070031347A (ko)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KR200389420Y1 (ko) 보조 배터리가 탑재된 휴대전화용 커버
KR20060050084A (ko) 휴대폰 및 건전지 겸용 충전장치
JP2006141187A (ja) パワータンク
CN220273346U (zh) 多功能便携式储能电源
KR20080002669U (ko) 디엠비 수신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JP5134099B2 (ja) 充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