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347A -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347A
KR20070031347A KR1020070002318A KR20070002318A KR20070031347A KR 20070031347 A KR20070031347 A KR 20070031347A KR 1020070002318 A KR1020070002318 A KR 1020070002318A KR 20070002318 A KR20070002318 A KR 20070002318A KR 20070031347 A KR20070031347 A KR 2007003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device
case
battery cel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전시
디자인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전시, 디자인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전시
Priority to KR102007000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347A/ko
Publication of KR2007003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전지셀의 과충전 및 완전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지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지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기기, 전지셀

Description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Battery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 : 배터리를 장착한 암수결합 커넥터 장치
10 : 케이스 20 : 전지셀
30 : 회로부 32 : 열저항
40 : 플러그 50,50b : 연결구
60 : 발광다이오드 62 : 스위치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기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기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기기는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아니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보통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모바일기기 사용자는 보통 이러한 배터리를 1~2개 정도 구비하고, 보통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충전을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모바일기기에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모바일기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 배터리를 소지하지 못하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모바일기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모바일기기가 꺼지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곤란하게 된다. 최근, 거리에 많이 있는 편의점 등에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모바일기기 배터리의 충전서비스를 받을 수는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할 뿐 아니라, 충전에 필요한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은 모바일기기를 꺼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과거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배터리의 지속시간이 반나절을 넘길 수가 없어서 예비 배터리를 모바일기기와 함께 소지하고 다니는 것이 필수였으나, 최근배터리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전기 용량도 늘어났기 때문에, 이러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가 줄어들게 되어, 모바일기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곤란한 상황이 생기는 일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편, 커넥터로써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는 일반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일반 배터리를 사용하는 커넥터는 일회용인 경우가 많으며 그 부피가 커서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설령, 일반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중전 배터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보조적으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고, 충전도 가능한 커넥터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도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배터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전지셀의 과충전 및 완전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지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지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는, 모바일기기(100; 도 3참조)의 입출력 커넥터(102)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100)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또한 내부의 전원으로 빛을 발생시켜 손전등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스(10), 전지셀(20), 회로부(30), 플러그(40), 연결구(50) 및 발광다이오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장치의 외부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몸체(12)와 덮개부(14)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0)의 크기는 소형이어서 사용자는 보통의 모바일기기용 엑세서리처럼 모바일기기의 고리 등에 결합하여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2)는 하나 또는 상호 결합된 두 개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12)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부품들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몸 체(12)에는 스위치(62),돌출된 형상의 플러그(40), 연결구(50), 및 발광다이오드(60)의 장착을 위한 부분도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4)는 상기 몸체(12)에 돌출되어 장착된 플러그(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4)가 개방되면 상기 플러그는 외부로 노출되어 모바일기기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14)가 개방되어 상기 플러그(40)가 노출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덮개부(14)는 상기 몸체(12)와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셔블 라인 또는 힌지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몸체(12)와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14)가 분실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상기 덮개부(14)가 상기 몸체(40)와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0)에는 끈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고리부(140)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통의 모바일기기에 구비된 고리부와 상기 끈 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장치(1)를 모바일기기와 함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한다. 비록 도 1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덮개부(14)에 상기 고리부(140)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고리부(140)은 상기 몸체(1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지셀(20)은,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구성부품이다. 전지셀(20)은, 통상의 모바일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배터리로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류이다,
다만, 모바일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배터리에는 이러한 전지셀이 여러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모바일기기 본체에 충전을 위한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며, 본 발명의 경우에는 휴대의 간편성을 위해 작은 크기의 전지셀이 사용되고, 이의 충전을 위해 장치 내에 회로부(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지셀(20)로서, 리튬, 폴리머 계통의 3.6볼트(V)의 것을 사용한다. 전지셀(20)의 크기는 보통의 엄지손톱 정도의 크기이며 그 두께도 수 mm 정도이다.
도 2에는, 전지셀(20)의 외형이 동전처럼 생긴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러한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각판 등 필요한 다른 형상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전지셀(20)에 충전되는 전기의 양은, 모바일기기의 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적어도 2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 전후의 대기시간이 가능한 양의 전기가 충전되도록 한다.
케이스 몸체(12)의 내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2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첵적으로 설명하면, 전지셀(20)은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로부(30)에는 외부의 전원이 입력되는 연결구(5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셀(20)은 연결구(50)로부터 회로부(30)를 거쳐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다만,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사실일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관심의 대상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로부(3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5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를 전지셀(20)에 공급되도록 한다. 회로부(30)는 전지셀(20) 이 과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완전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회로부(30)는 통상의 전기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내지 반도체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30)에는, 전지셀(20)의 온도가 사전에 정해 놓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열저항(32)이 더 포함되어 있다. 열저항(32)은, 도 2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지셀(20)은, 소정온도이상이 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열저항(32)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저항(32)은, 자체적으로 온도를 감지하여서 그 온도가 사전에 정해놓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연결구(50)로부터 전지셀(20)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전지셀(20)의 온도측정은 별도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될 수도 있다.
다만, 전지셀(20)에 과충전이나 완전방전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회로 구성이나, 열저항의 구체적인 구조 등은, 이미 공지된 사실일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관심의 대상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러그(40)는, 케이스(10)에 장착되고,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커넥터(102)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도 2에는 플러그(40)의 형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플러그(40)에는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플러그(40)는, 모든 모바일기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 기기마다 표준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40)는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전 지셀(20)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모바일기기에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102)는 모바일기기(100)의 하단에 형성된 홈 내에 마련된다. 입출력커넥터(102)는, 데이터와 같은 신호가 입출력되는 단자는 물론, 모바일기기(100)에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 입출력커넥터(102)에는, 모바일기기의 배터리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가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는, 각 나라마다 표준화를 진행중이다.
즉, 본 장치(1)의 플러그(40)와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는 양자가 모두, 표준화된 입출력커넥커를 구비한 모든 모바일기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5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지셀(20)에 회로부(30)를 거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부의 전기공급장치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 전원에 결합되는 본체(111)와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커넥터 장치(110)이다. 그리고, 연결구(50)는 이러한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가 접속될 수 있는 소켓(50)이다. 소켓(50)은, 표준화되어 있는 충전장치(110)에 구비된 플러그(112)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외부의 전기공급장치로서, 전압 등의 조건만 충족되다면, 자동차용 시거잭이나, 일반 충전장치 이외의 기타 충전장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6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역시 케이스(10)에 장착된 스위치(62)의 동작에 따라 전지셀(2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한다. 발광다이오드(60)는 저 전력으로도 밝은 빛을 발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상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60)는 투명 플라스틱, 유리 등의 투명한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게 구비되거나 발광부의 일부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발광다이오드(60)는,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발광다이오드(60)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스위치(62)를 구비한다.
스위치(62)는,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발광다이오드(60)가 켜지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광다이오(60)가 on/off를 반복하며 그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발광다이오드(60)는, 전지셀(20)에 충전이 완료되면, 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60)가 일반적인 손전등의 역할도 하며 추가적으로 전지셀(20)의 충전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로부(30)가 이에 적절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이러한 기능을 하는 회로부(30)의 구성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는, 모바일기기 충전장치(110)를 이용하여 충전한 후, 배터리가 방전된 모바일기기(100)에 결합하여 그 모바일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의 소켓(50)에, 통상의 모바일기기용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를 끼워서 장치(1) 내부에 구비된 전지셀(20)에 충전이 되도록 한다. 한편,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부의 덮개부(14)를 제거한 후, 장치(1)의 플러그(40)를 모바일기기(100)의 입출력커넥터(102)에 끼워넣으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와 모바일기기(100)에 장착된 통상의 배터리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지셀(20)이 방전되고 모바일기기에 장착된 배터리에는 충전이 되어 있는 경우, 본 장치(1)를 모바일기기에 장착하게 되면, 역으로 본 장치(1)의 전지셀(20)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전지셀(20)을 충전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30)에 열저항(3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열에 의해 전지셀(20)이 폭발하는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의 전지셀(30)이 충전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60)가 켜지게 되어 사용자는 충전이 완료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된 본 실시에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를 덮개부(14)에 마련된 고리부재(142)를 이용하여 모바일기기의 고리에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니거나,혹은 열쇠고리로 가지고 다니다가, 모바일기기(100)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이 된 경우, 덮개부재(14)를 몸체(12)로부터 분리한 후, 몸체(1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플러그(40)를 모바일기기(100)의 입출력커넥터(102)에 삽입 결합한다. 그러면, 장치(1) 내부의 전지셀(20)로부터 모바일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가 공급되어 모바일기기(100)를 통상의 사용방법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외관을 악세서리와 같은 형태로 디자인하거나, 혹은 캐릭터화하여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는 것을 선호하도록 만들게 되면 상품성이 올라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는 전체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기 부담이 없으며, 모바일기기(1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편하지 않다. 이러한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는 대기시간 기준으로 대략 5시간 정도 모바일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기를 공급한다. 다만, 이러한 사용가능한 시간의 가감은 전지젤의 성능에 좌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에는 발광다이오드(60)가 구비되어 있어서, 비상시 손전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1)의 내부에 자체적으로 전원(전지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기기에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그 전지셀의 전기를 사용하여 켜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지셀(20)은 1차 전지가 아니고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2차 전지이기 때문에, 충전에 사용되는 가정용 전기의 비용을 제외하면, 추가적인 비용없이도 계속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지셀(20)은, 충전을 위하여 모바일기기 사용자라면 누구나 필수적으 로 가지고 있는 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추가적인 충전장치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a)는, 첫번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와 비교하여, 연결구(50)가 통상 컴퓨터에 마련된 USB 단자에 삽입하여 접속가능한 접속단자인 것이 다르다.
근래 사용되는 컴퓨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전면에 USB 단자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a)는 이러한 컴퓨터의 USB단자를 이용하여 내부의 전지셀(20)을 충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2)의 형상이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다르게 생겼으나, 내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양자가 동일하다. 즉,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지셀, 회로부, 플러그(40), 연결구로서 USB형 접속단자(50), 스위치(62) 및 발광다이오드(60)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구성은 그 역할에 있어서 첫번째 실시예의 해당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몸체(10)에 USB형 접속단자(50)를 보호하기 위한 또 다른 덮개부재(15)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5에는, 두 번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a)를 충전하는 방법이 설명되고 있다. 덮개부재(14)를 분리하고, 컴퓨터(120)의 USB 단자(122)에 접속단자(50)를 삽입결합하여 내부의 전지셀(20)를 충전한다.
한편, 첫번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것들이 두 번째의 실시예에도 적절 하게 적용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b)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b)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연결구(50)로서, 제1실시예의 소켓(50)과 제2실시예의 접속단자와 유사한 접속단자(50b)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b)는, 내부의 전지셀(20)을 충전하기 위해 전기를 공급하는 연결구로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기기 커넥터(110)를 사용할 수 있는 소켓(50)도 구비하고 있으며, 컴퓨터의 USB단자를 이용할 수 있는 접속단자(50b)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1b) 더욱, 주변 사정이 허락하는 바에 따라 편리하게 내부의 전지셀(20)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1b) 전체의 소형화를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50b)는 케이스(1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50b)가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로부터 슬라이딩 되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은 형상이외에도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가 슬라이딩되며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접속단자(50b)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접속단자의 주변에 구비된 접속단자 보호캡이 없이 구비되어, 전체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케이스(200)는 몸체(210)와 덮개부(240)가 구비되며, 이 몸체(210)의 상부에 덮개부(240)가 덮어지게 된다.
상기 몸체(210)의 상측에는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바일기기(100)의 입출력커넥터(102)에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220)가 형성되고, 덮개부(240)에는 모바일기기 충전장치(110)의 플러그(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구(2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210)의 회로부(30)와 덮개부(240)의 연결구(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덮개부(240)와 몸체(210)의 사이에는 배선 연결부(2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선 연결부(230)는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전기적 배선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60)에 의하여 몸체(210)로부터 덮개부(240)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그 힌지(240) 내부로 배선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힌지(240)의 내부를 통해 배선되는 기술적 사항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굳이 자세한 기술은 하지 않는다.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 또는 힌지 등의 배선 연결부(230)는 연결구(250)와 회로부(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은 물론 몸체(210)와 덮개부(240)를 별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70그러므로, 회로부(30)의 동작에 의하여 연결구(250)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가 전지셀(20)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결국, 몸체(2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플러그(220)에 덮개부(240)에 홈 형태로 형성된 연결구(250)가 씌워져서 플러그(220)와 연결구(250)가 서로 보호되는 것이다.
72이때, 상기 연결구(250)에 플러그(220)가 삽입될 때 밀착력을 가지고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몸체(210)로부터 덮개부(240)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플러그와 연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오염물질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또는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나, 제 4 실시에에서는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러그(220)와 연결구(250)를 보호함으로써 오염되거나 파손의 위험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에 편리하게 결합시켜 일정 시간동안 모바일기기을 사용할 수 있고, 비상시 손전등 대용으로 사용도 가능하며, 그리고 그 장치의 충전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전지셀의 과충전 및 완전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I/O Connector)와 결합되는 플러그;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지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모바일기기와 끈 등의 부재로 연결될 수 있는 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지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지셀, 상기 회로부, 상기 플러그, 상기 연결구,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몸체와 상기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몸체는 힌지나 플렉시블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커넥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는, 상기 전지셀의 온도가 사전에 정해놓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셀로의 전기공급을 차단하게 하는 열저항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전지셀에 충전이 완료되면 켜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모바일기기 충전장치의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컴퓨터에 마련된 USB 단자에 삽입하여 접속가능한 접속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시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11. 모바일기기의 입출력커넥터와 결합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전기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전기공급장치와 결합되는 연 결구를 구비한 연결부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나 상기 연결부재에 전기셀 및 상기 전기셀을 충전시키기 위한 회로부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플러그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및 상기 회로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연결부는 플렉시블 케이블 이나 힌지로 구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커넥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나 상기 연결 부재에는 모바일기기와 끈 등의 부 재로 연결될 수 있는 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커넥터 장치.
KR1020070002318A 2007-01-09 2007-01-09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KR20070031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318A KR20070031347A (ko) 2007-01-09 2007-01-09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318A KR20070031347A (ko) 2007-01-09 2007-01-09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347A true KR20070031347A (ko) 2007-03-19

Family

ID=4365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318A KR20070031347A (ko) 2007-01-09 2007-01-09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60U (ko) * 2007-10-24 2009-04-29 (주)유알엔디 Rfid 기능을 구비한 보조전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60U (ko) * 2007-10-24 2009-04-29 (주)유알엔디 Rfid 기능을 구비한 보조전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940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US10840716B2 (en) Safety circuit for multi-function portable power charger
TWI295869B (en) Connector charger
US20050280398A1 (en) Mobile charger
US10148104B2 (en) Docking station and device adapter for use in a docking station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US20080150367A1 (en) Auxiliary Battery Pack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079392A1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nding unit
US20080048612A1 (en) Wireless battery charger
KR100553003B1 (ko)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TWM557932U (zh) 行動充電裝置及其電源供應組件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KR20070031347A (ko) 배터리를 장착한 커넥터 장치
CN209804831U (zh) 一种方便充电的电池
CN210092180U (zh) 圆盘太阳能电池盒
KR200437848Y1 (ko)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
WO2007035103A1 (en) Rechargeable back-up battery device
CN218648099U (zh) 电池包
CN218897095U (zh) 电池包
KR200438579Y1 (ko) 레이저 포인터를 갖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CN211508655U (zh) 一种具有双向传输线组件的充电设备
US20050156565A1 (en) Battery with a built-in charg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