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39Y1 - 냉온수기용 냉수통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냉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39Y1
KR200437839Y1 KR2020070016368U KR20070016368U KR200437839Y1 KR 200437839 Y1 KR200437839 Y1 KR 200437839Y1 KR 2020070016368 U KR2020070016368 U KR 2020070016368U KR 20070016368 U KR20070016368 U KR 20070016368U KR 200437839 Y1 KR200437839 Y1 KR 200437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cold
water
water tank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택
Original Assignee
김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택 filed Critical 김병택
Priority to KR2020070016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통에 관한 것으로, 통상 냉수통을 보온하기 위해 냉수통의 외측에 감싸는 단열재를 냉수통과 밀접토록 하여 우수한 보냉 효과를 갖도록 하며, 또한 냉각통의 냉각수와 유입수를 분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분리판이 냉수통 내측에 용이하게 얹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며, 상기 분리판의 재질을 정수능력이 있는 황토판으로 형성하여 정수효율을 증대시키는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수통의 외표면은 평면형태를 가지며, 이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감음으로 인해 냉각코일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그 위에 덧씌우는 단열재는 밀착되지 못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며, 단열재를 냉수통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2-3쪽으로 나누어진 단열재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직관형태로 된 냉수통은 내측에 냉각수와, 유입수의 혼합을 분리하는 분리판을 고정하는 수단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냉수통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냉수통의 냉각수에 항상 잠겨지는 분리판을 정수 능력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정수 능력을 증진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금속재로 된 원통 형상의 냉수통(11)과 그 외측 하방에는 냉각코일(12)이 감겨지며, 상기 냉수통(11)의 외측에는 단열재(21)로 감싸 보냉하며, 상기 냉수통(11)에는 온수통(31)으로 급수하는 급수관(14)과, 배수콕(16)과 연결되는 배수관(17)을 가지며, 상기 냉수통(11) 내측에는 냉수와 유입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판(22)을 갖는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1)의 외측 표면 하방의 냉각코일(12)이 감기는 부분은 냉각코일(12)의 직경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냉각코일 감김부(13)를 형성하며, 상기 냉각코일감김부(13)로 인해 냉수통(11)의 내주면에는 돌턱(15)을 가지며, 상기 냉수통(11)의 내주면 돌턱(15)에는 분리판(22)의 테두리가 얹어져서 냉수통(11)의 중앙부에 분리판(22)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분리판(22)의 중앙구멍(23)에는 온수통(31)과 연결되는 급수관(14)이 결합되며, 분리판(22)에는 다수개의 투수공(24)을 가지며, 상기 분리판(22)은 황토를 원형 접시형상으로 초벌구이한 것을 사용한 것이다.
냉온수기, 냉각코일, 냉수통

Description

냉온수기용 냉수통{The cold water tank for using a water cooler}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통에 관한 것으로, 통상 냉수통을 보온하기 위해 냉수통의 외측에 감싸는 단열재를 냉수통과 밀접토록 하여 우수한 보냉 효과를 갖도록 하며, 또한 냉각통의 냉각수와 유입수를 분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분리판이 냉수통 내측에 용이하게 얹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며, 상기 분리판의 재질을 정수능력이 있는 황토판으로 형성하여 정수효율을 증대시키는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요식업소에 비치하여 냉수나 온수를 간편하게 제공하는 급수장치로 필터로 여과시킨 정수나, 생수통으로부터 제공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거나, 냉각하여 냉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외측 하방에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감아 냉수통을 냉각시켜 냉수를 만들게 되며, 냉수통의 외측에는 단열재가 감싸져서 냉수통을 보냉하게 된다.
상기 냉수통 외측에 감겨진 냉각코일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방열기와 연결되는 냉각장치를 갖게 된다.
상기에 있어 냉수통은 그 중간 부위에 냉각수와, 유입수의 급격한 혼합을 방지하는 분리판을 갖게 된다.
상기 냉수통의 하방에는 급수관으로 연결되는 온수통을 가지며, 온수통의 일측에는 물을 가열하는 열선 등으로 된 가열장치를 가져 물을 가열하게 되며, 냉수통 및 온수통에는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는 배수콕(밸브)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통상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냉각수통을 개선한 것이다.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관한 특허 및 실용신안 문헌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실용신안 등록 번호: 20-405857
고안의 명칭: 냉이 온수기용 냉수통
실용신안 공고 번호: 20-0221047
고안의 명칭: 냉각통
실용신안 등록 번호: 20-0314754
고안의 명칭: 냉수통이 적용된 전기 냉온수기
실용신안 등록 번호: 20-0345241
고안의 명칭: 냉매 재활용 구조를 가진 냉수통 냉각 장치
실용신안 등록 번호L20-0261487
고안의 명칭: 냉온수기의 냉각장치
실용신안 공고 번호: 20-167077
고안의 명칭: 냉수기용 냉수통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하방에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감아, 냉수통을 냉각하게 되며, 냉수통의 외측에는 단열재가 덧씌워져서 냉수통을 보냉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로는 가격이 저렴하며 단열 효과가 우수한 재질인 스티로폼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을 덧씌워 냉수통을 보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수통에 덧씌우는 단열재는 냉수통과 밀접시키지 않을 경우 공기가 유통되며, 유통되는 공기에 의해 결로수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가짐으로 인해, 단열재는 냉수통과 기밀이 유지되게 밀접하게 덧씌우게 된다.
그러나 종래 냉수통의 외표면은 평면형태를 가지며, 이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감음으로 인해 냉각코일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그 위에 덧씌우는 단열재는 밀착되지 못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며, 단열재를 냉수통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2-3쪽으로 나누어진 단열재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직관형태로 된 냉수통은 내측에 냉각수와, 유입수의 혼합을 분리하는 분리판을 고정하는 수단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냉수통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냉수통의 냉각수에 항상 잠겨지는 분리판을 정수 능력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정수 능력을 증진토록 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재로 된 원통 형상의 냉수통(11)과 그 외측 하방에는 냉각코일(12)이 감겨지며, 상기 냉수통(11)의 외측에는 단열재(21)로 감싸 보냉하며, 상기 냉수통(11)에는 온수통(31)으로 급수하는 급수관(14)과, 배수콕(16)과 연결되는 배수관(17)을 가지며, 상기 냉수통(11) 내측에는 냉수와 유입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판(22)을 갖는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1)의 외측 표면 하방의 냉각코일(12)이 감기는 부분은 냉각코일(12)의 직경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냉각코일 감김부(13)를 형성하며, 상기 냉각코일감김부(13)로 인해 냉수통(11)의 내주면에는 돌턱(15)을 가지며, 상기 냉수통(11)의 내주면 돌턱(15)에는 분리판(22)의 테두리가 얹어져서 냉수통(11)의 중앙부에 분리판(22)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분리판(22)의 중앙구멍(23)에는 온수통(31)과 연결되는 급수관(14)이 결합되며, 분리판(22)에는 다수개의 투수공(24)을 가지며, 상기 분리판(22)은 황토를 원형 접시형상으로 초벌구이한 것을 사용토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2는 온수배수콕, 41은 컴프레샤, 42는 가열장치, 43은 방열판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냉수통(11)은 냉수통(11) 외측면 하방에 냉각코일(12)의 직경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냉각코일감김부(13)를 가지며, 이에 냉각코일(12)을 감을 시 감겨진 냉각코일(12)의 외측면은 냉수통(11)의 윗부분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높이로 감겨지게 되므로,
냉수통(11)에 덧씌우는 통상 스티로폼재질로 된 단열재(21)를, 2-3쪽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11)를 덧씌울 수 있게 되며, 냉수통(11)에 덧씌워진 단열재(21)는 냉수통(11)과 간극이 없는 밀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공기가 단열재(21) 외 냉수통(11) 사이로 유입이 없게 되어 종래 냉수통에 발생 되는 결로수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코일(12)을 감기 위해 냉각코일(12)의 직경만큼 작은 외경으로 된 냉수통(11)의 코일 감김부(13)로 인해 냉수통(11)의 내주면에는 돌턱(15)이 형성되며,
상기 냉수통 내주면 돌턱(15)에 원형으로 된 분리판(22)의 테두리를 얹어 놓게 되면, 분리판의 고정수단 내지 고정 장치 없이 간단히 분리판(22)을 냉수통(11)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판(22)의 중앙구멍(23)에는 온수통(31)과, 연결되는 급수관(14)을 돌출시켜, 분리판(22) 하방보다 상대적으로 차갑지 않는 냉수통 상방의 냉수를 온수통(31)으로 급수하게 된다.
또한 분리판(22)의 표면에는 다수개(2-3개)의 투수공(24)을 형성하여 분리판(22) 상방의 냉수가 분리판(22) 하방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22)은 원형 접시 형상으로 되며, 그 재질을 황토를 초벌구이하여서 된 것을 사용하여 정수능력을 증가토록 한 것이다.
황토를 초벌구이한 황토판은, 황토에 포함된 미네랄을 서서히 용해되어 냉수통의 냉수를 미네랄수로 변화시켜 주게 되며, 황토판은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며, 물맛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비해 좋은 물맛을 제공하며, 단열재와 냉수통 사이가 기밀됨으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결로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냉수통(11)의 외주면이 평탄하여, 이에 덧씌워져서 보냉하는 단열재(21)의 내주면이 평탄한 면으로 된 것을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단열재(21)와 냉수통(11)은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냉온수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요식업소에 설치하여 식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수통을 얹어놓거나, 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냉수나 온수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특히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통은 원통형상으로 된 금속재통을 사용하며, 통의 외주면 하방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감는바, 종래 직관형태로 된 냉수통은 감겨지는 냉각코일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결로수가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며,
감겨지는 냉각코일에 의해 냉수통의 외주면은 평탄하지 못해, 보냉을 위해 덧씌우는 단열재는 일체로 된 것을 사용하지 못하고 2-3쪽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문제점을 가지나, 본 고안은 냉각코일이 감겨지는 냉각코일 잠김부 즉 냉수통의 하방을 냉각코일의 직경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을 형성함으로 냉수통에 냉각코일 감긴 후 냉수통은 평탄한 외주면을 갖게 되므로, 직관 형태로 된 단열재를 밀착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밀착된 단열재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결로수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냉수통의 내주면에는 냉각코일감김부에 의해 자연스럽게 돌턱이 형성되며, 이에 원형의 분리판을 얹어 놓을 때, 분리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장치가 필요없는 구성의 간단성과 조립의 용이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은 황토를 초벌구이한 황토판을 사용하여 물의 정수기능 증대 효과를 가지며, 미네랄수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좋은 물맛을 제공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냉온수기의 냉수통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금속재통을 사용하며, 그 외측 하방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감아 냉수통을 냉각하게 되는바,
냉수통의 외주면의 하방 냉각코일이 감기는 부분을 냉각코일의 지름에 해당하는 만큼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하며, 이에 냉각코일을 감을시,
냉수통의 상방과 냉각코일이 감겨진 냉수통의 하방의 외경이 동일함으로 인해, 내경이 동일한 스티로폼재로된 단열재를 일체로 씌워 냉수통을 보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수통에 덧씌우는 스티로폼재의 단열재에는 온수통과 연결되는 급수관 및 배수콕과 연결되는 배수관 및 냉각코일을 컴프레샤와 방열판과 연결되기 위한 홈내지 구멍 이외에는 틈새가 없는 일체형을 단열재를 사용하게 된다.
냉각코일에 의해 차가워진 냉수와, 온수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수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냉수통 내측을 상하로 분리하는 분리판은 접시형상을 가지며 중앙구멍 및 투수공을 갖도록 하여 중앙구멍 위로 돌출되는 급수관으로, 분리판 상방의 냉수를 온수통으로 용이하게 공급하며, 투수공으로 분리방 상방의 냉수를 분리판 하방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게 되며, 원형 형태의 분리판은 냉수통 내주면의 돌턱에 얹어져서 냉수통과 결합 되는 것이다.
도1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2 본 고안의 단면도.
도3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4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5 종래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단면도.
도6 종래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사시도.

Claims (1)

  1. 금속재로 된 원통 형상의 냉수통(11)과 그 외측 하방에는 냉각코일(12)이 감겨지며, 상기 냉수통(11)의 외측에는 단열재(21)로 감싸 보냉하며, 상기 냉수통(11)에는 온수통(31)으로 급수하는 급수관(14)과, 배수콕(16)과 연결되는 배수관(17)을 가지며, 상기 냉수통(11) 내측에는 냉수와 유입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판(22)을 갖는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1)의 외측 표면 하방의 냉각코일(12)이 감기는 부분은 냉각코일(12)의 직경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냉각코일 감김부(13)를 형성하며, 상기 냉각코일감김부(13)로 인해 냉수통(11)의 내주면에는 돌턱(15)을 가지며, 상기 냉수통(11)의 내주면 돌턱(15)에는 분리판(22)의 테두리가 얹어져서 냉수통(11)의 중앙부에 분리판(22)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분리판(22)의 중앙구멍(23)에는 온수통(31)과 연결되는 급수관(14)이 결합되며, 분리판(22)에는 다수개의 투수공(24)을 가지며, 상기 분리판(22)은 황토를 원형 접시형상으로 초벌구이한 것을 사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냉수통.
KR2020070016368U 2007-10-09 2007-10-09 냉온수기용 냉수통 KR200437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368U KR200437839Y1 (ko) 2007-10-09 2007-10-09 냉온수기용 냉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368U KR200437839Y1 (ko) 2007-10-09 2007-10-09 냉온수기용 냉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39Y1 true KR200437839Y1 (ko) 2008-01-02

Family

ID=4134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368U KR200437839Y1 (ko) 2007-10-09 2007-10-09 냉온수기용 냉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3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2170A2 (en) 2010-02-22 2011-08-31 Sang Pil Choi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KR101184371B1 (ko) * 2012-01-30 2012-09-20 (주)원봉 냉온수기
KR101201101B1 (ko) 2010-03-26 2012-11-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EP3730879A4 (en) * 2017-12-23 2021-01-06 Qingdao Haier Co., Ltd.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IT
EP3730878A4 (en) * 2017-12-23 2021-01-06 Qingdao Haier Co., Ltd.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I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2170A2 (en) 2010-02-22 2011-08-31 Sang Pil Choi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EP2362170A3 (en) * 2010-02-22 2011-10-26 Sang Pil Choi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KR101201101B1 (ko) 2010-03-26 2012-11-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184371B1 (ko) * 2012-01-30 2012-09-20 (주)원봉 냉온수기
EP3730879A4 (en) * 2017-12-23 2021-01-06 Qingdao Haier Co., Ltd.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IT
EP3730878A4 (en) * 2017-12-23 2021-01-06 Qingdao Haier Co., Ltd.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839Y1 (ko) 냉온수기용 냉수통
TWI513946B (zh) 冷熱水飲水機
KR101176564B1 (ko) 세라믹층이 형성된 빙축시스템을 이용한 정수기용 냉수 열교환기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CN103527489A (zh) 旋转压缩机和具有其的冷冻循环装置
US9157655B2 (en) Endothermic base-mounted heat pump water heater
KR101510504B1 (ko) 증류수 제조장치
CN102410659A (zh) 直接储能式制冷、热器
KR101765666B1 (ko)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CN103615817B (zh) 一种插装式相变储热水箱
KR20110023942A (ko) 액체 냉각 장치
KR100295463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이동식 냉온장 장치
JP6955056B2 (ja) 飲料サーバ
JP2018516808A (ja) ウォーターディスペンサー用複合型温水筒構造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KR200288720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기
US11137192B2 (en) Circulator for cooling mat
KR200435182Y1 (ko) 온수 역류 저감 냉온수기
KR200159863Y1 (ko) 음용액체 냉각장치의 냉각구조
CN217185707U (zh) 一种冷萃机
CN2937966Y (zh) 饮水机电子冰胆
KR102432134B1 (ko) 냉수와 온수의 선택 출수가 가능한 저수조
KR20020024236A (ko) 냉온정수기의 급속냉각장치
CN207700281U (zh) 一种具有冰水系统的饮水台
KR200288682Y1 (ko) 단열성이 우수한 냉온수기용 분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