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06Y1 - 자수 미싱 - Google Patents

자수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06Y1
KR200437806Y1 KR2020060026837U KR20060026837U KR200437806Y1 KR 200437806 Y1 KR200437806 Y1 KR 200437806Y1 KR 2020060026837 U KR2020060026837 U KR 2020060026837U KR 20060026837 U KR20060026837 U KR 20060026837U KR 200437806 Y1 KR200437806 Y1 KR 200437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start position
embroidery frame
frame
ex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고야케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060026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2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electrical or magnetic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트레이스 처리(자수무늬의 윤곽 데이터에 근거해 임의의 스타트 위치로부터 자수틀을 이동시키는 것)를 행한다. 그 과정에서 자수틀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되었다면, 그 때의 윤곽 데이터의 현재 위치와 나머지의 윤곽 부분으로부터, 이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자수틀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양을 산출한다. 산출한 초과하여 넘치는 양에 근거해, 이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도록 스타트 위치를 늦추어 이 스타트 위치를 재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자수무늬가 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에서 초과하여 넘지 않도록 스타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간단하고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수 미싱{EMBROIDER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자수틀 및 테이블의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자수틀의 X축 또는 Y축 구동 기구에 관련하는 이동 한계 위치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자수틀의 이동 한계 위치 검출 수단에 관련하는 부분의 제어 계통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블럭도.
도 5는 자수틀의 이동 한계 위치 검출 수단에 관련하는 부분의 제어 계통의 하드웨어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4 또는 도 5의 CPU에 의해서 실행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트레이스 처리의 프로그램을 대략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7(a)는 자수무늬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7(b)는 이 자수무늬의 윤곽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자수무늬에 있어서의 윤곽 데이터의 구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9(a)는 자수틀을 임의의 스타트 위치 S1으로 설정한 상태의 일례(이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로부터 X축 방향에 관해서 자수무늬가 초과하는 예)를 나타내고, 도 9(b)는 이동하는 자수틀의 현재 위치 Sx가 이동 가능 범위의 X축 방향의 한계 위치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며, 도 9(c)는 자수틀이 보정 스타트 위치 S2로 재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0(a)은 자수틀을 임의의 스타트 위치 S1으로 설정한 상태의 다른 예(이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로부터 Y축 방향에 관해서 자수무늬가 초과하는 예)를 나타내고, 도 10(b)는 이동하는 자수틀의 현재 위치 Sy가 이동 가능 범위의 Y축 방향의 한계 위치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c)는 자수틀이 보정 스타트 위치 S3로 재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자수틀을 임의의 스타트 위치 S1으로 설정한 상태의 더 다른 예(이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로부터 X축 및 Y축의 양방향에 관해서 자수무늬가 초과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
본 고안은, 피봉제물을 유지한 자수틀을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꿰맴 데이터에 따라서 이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자수 미싱에 있어서, 꿰맴을 행하려고 하는 자수무늬가 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에서부터는 초과하여 넘지 않도록, 자수 스타트 위치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자수무늬를 자수할 즈음에, 그 무늬가 봉제 가능 범위(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지 아닌지를 사전에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자수무늬의 외형 에 따라서 트레이스(trace)하도록 자수틀을 실제로 움직임으로써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부터 자수하려고 하는 무늬의 데이터를 입력 설정한 후, 수동틀 이동 조작에 의해 틀을 이동시켜서, 피자수 옷감 위에서의 무늬의 스타트 위치를 설정하고, 트레이스를 개시하면, 자수틀이 움직여 바늘대에 대응하는 위치가 무늬의 외형선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무늬가 봉제 가능 범위 내에 들어가는지 아닌지를 눈으로 보면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설정한 스타트 위치에 의해서는 무늬가 봉제 가능 범위에서부터 초과하여 넘는 것이 있고, 그 경우의 트레이스의 움직임으로서는, 봉제 가능 범위의 한계, 즉, 틀이 틀 구동 기구의 가동 한계에 도달한 시점에서 틀이 정지한다. 그 후, 오퍼레이터가 수동틀 이동 조작에 의해서 스타트 위치를 적당하게 늦춘 후, 다시 트레이스 지시를 하여, 이하와 같은 조작을, 봉제 가능 범위에 들어갈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레이스 수법은, 트레이스의 실시에 의해, 무늬가 봉제 가능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을 때, 그 후, 시행 착오에 의해서 스타트 위치를 변경하여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스타트 위치의 변경을 하여 트레이스를 실시한다고 하는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어, 스타트 위치를 설정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것에 대해서, 하기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난 고안에 있어서는, 설정한 스타트 위치에 따라 자수무늬의 자수 범위와 자수틀의 봉제 가능 범위를 비교 연산함으로써, 자수무늬가 봉제 가능 범위 내에 들어가는지 아닌지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자수틀의 봉제 가능 범위를 사전에 데이터 입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귀찮았다.
[특허문헌 1] 특허 제3354429호
본 고안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꿰맴을 실시하려고 하는 자수무늬가 자수틀의 이동 가능 범위에서 초과하여 넘지 않도록 자수 스타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간단하고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자수기 및 자수 스타트 위치 설정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자수기는, 피봉제물을 유지한 자수틀을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꿰맴 데이터에 따라서 이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자수 미싱에 있어서, 주어진 자수무늬의 적어도 극치를 포함한 윤곽 데이터에 근거해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스타트 위치로부터 이 윤곽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자수틀을 이동시키는 트레이스 제어 수단과, 이동하는 자수틀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트레이스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자수틀의 이동 중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이 검출된다면, 그 때의 상기 윤곽 데이터의 현재 위치와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극치로부터, 이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자수틀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양을 산출하는 초과량 산출 수단과, 상기 초과량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초과하여 넘치는 양에 근거하여, 이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스타트 위치를 늦추어 이 스타트 위치를 재설정하는 스타트 위치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스 제어 수단은, 종래 알려진 트레이스 동작의 수법으로, 윤곽 데이터에 따라서 자수틀을 실제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종래 알려진 트레이스 동작과 마찬가지로, 자수무늬를 피자수 옷감에 자수하는 데 앞서, 피자수 옷감을 유지하는 자수틀을 자수무늬의 윤곽에 따라서 이동시키는(트레이스) 것으로, 자수무늬가 자수틀에 들어가는지 아닌지를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이 트레이스 제어 수단에 의한 자수틀의 이동 중에, 이동하는 자수틀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면, 그 때의 윤곽 데이터의 현재 위치와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극치로, 이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자수틀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양이 산출되는 것이다. 산출된 초과하여 넘치는 양에 근거해, 이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도록 앞의 스타트 위치를 늦추어 이 스타트 위치가 재설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트레이스 기술과는 달라, 시행 착오에 의해서 스타트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수 스타트 위치의 설정을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 또, 자수틀의 봉제 가능 범위를 사전에 데이터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들지 않는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외관도이고, 이 외관 자체는 공지의 자수 미싱과 같다. 미싱 프레임(1)에는,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미싱 헤 드(3)가 미싱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미싱 헤드(3)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침판(4)가 테이블(2)과 대략 동일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2) 위에는 피자수물을 전장(展張) 유지하는 자수틀(5)이 평면의 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자수틀(5)은 테이블(2)의 아래쪽에 설치된 X축 구동 기구(6) 및 Y축 구동 기구(7)에 의해서 X/Y방향으로 2 차원적으로 구동된다.
X축 구동 기구(6) 및 Y축 구동 기구(7)의 구체적 구조는 종래 알려진 것과 동일한 것으로 좋기 때문에, 그 자세한 것은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하는 자수틀(5)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이 구동 기구(6, 7)에 관련해서 설치된다. 도 3은, 그러한 검출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X축 구동 기구(6)에 있어서의 X축 이동부(6a)는 자수틀(5)의 한 변에 장착되고, 이 자수틀(5)은, X축 방향에서는 X축 이동부(6a)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함께 움직이지만, Y축 방향에서는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X축 이동부(6a)에 독(8)이 장착되어 있고, 또, X축 방향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소정의 왼쪽 한계 위치와 오른쪽 한계 위치에 대응해 리미트 스위치 9 및 10이 각각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X축 이동부(6a)가 도에서 왼쪽 방향으로 움직여 왼쪽 한계 위치에 이르면, 독(8)이 왼쪽의 리미트 스위치(9)를 작동해, 자수틀(5)이 소정의 왼쪽 한계 위치에 이르렀던 것이 검출된다. 또, X축 이동부(6a)가 도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여 오른쪽 한계 위치에 이르면, 독(8)이 오른쪽의 리미트 스위치(10)을 작동해, 자수틀(5)이 소정의 오른쪽 한계 위치에 이르 렀던 것이 검출된다. 리미트 스위치(9, 10)는, 접촉식 혹은 비접촉식의 어느 쪽의 타입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구동 기구(6)는 평행 하는 2개의 이동 기구로 이루어지지만, 리미트 스위치 9 및 10은 한쪽의 기구에만 설치하면 좋다. Y축 구동 기구(7)에 있어서의 검출 수단도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검출 수단으로서는, 이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또는 근접 스위치) 타입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구동 기구(6, 7)의 각 구동 모터(11, 12)(도 5)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엔코더(13, 14)(도 5)의 출력에 근거해, X축 및 Y축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에 있어서의 자수틀(5)의 이동 한계 위치 검출 수단에 관련한 부분의 제어 계통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이 검출 수단으로서 리미트 스위치(9, 10)를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각 리미트 스위치(9, 10)의 출력 신호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 및 버스(16)를 통하여 CPU(17)에게 줄 수 있어, 후술하는 초과량 산출 처리를 위해서 이용된다. 도 5는, 이 검출 수단으로서, X축 및 Y축 구동 기구(6, 7)의 구동 모터(11, 1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엔코더(13, 14)의 출력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각 엔코더(13, 14)의 출력 신호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 및 버스(16)를 통하여 CPU(17)에게 줄 수 있어, 자수틀의 X축 및 Y축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또한, X축 및 Y축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한계 위치에 이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이것에 근거해 후술하는 초과량 산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한, 엔코더 출력에 근거하는 한계 위치의 검출은, 자수틀(5)이 X 축 또는 Y축의 기계적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면, 구동 지령이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엔코더 13 또는 14로부터 위치 검출 펄스가 나오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것을 가지고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구동 모터(11, 12)를 폐(閉)루프(roof) 제어하는 경우, 통상, 위치 검출용의 회전 엔코더(13, 14)가 이미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도 5의 구성을 채용하면 유리하다. 한편, 구동 모터(11, 12)를 오픈루프 제어하는 경우는, 각별한 위치 검출용 엔코더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도 4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싸게 든다.
도 6은, 자수 미싱의 CPU(17)에 의해서 실행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트레이스 처리의 프로그램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우선, 지금부터 자수 꿰맴을 하려고 하는 자수무늬의 자수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자수무늬의 트레이스 데이터를 준비한다(스텝 100). 이 트레이스 데이터란, 주어진 자수무늬의 적어도 극치를 포함한 윤곽 데이터로서, 종래의 트레이스 처리로 알려진 트레이스 데이터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극치란, 자수틀의 각 이동 방향 성분에 관한 해당 자수무늬의 극치(최대값 또는 최소값)이다. 예를 들면, 해당 자수무늬의 X축 방향의 최소값과 최대값 및 Y축 방향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이 자수무늬의 극치이다. 이 윤곽 데이터란, 적어도 극치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자수무늬의 외형을 정확하게 본뜬 외형 데이터여도 좋고, 혹은 자수무늬의 각 극치를 포함하도록 대략적으로 본뜬 개략적 데이터여도 좋다.
도 7(a)는 자수무늬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8은 이와 같은 자수무늬에 있어서의 윤곽 데이터의 구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서, S는, 이 자수무늬 의 꿰맴 스타트 점이다. 도 8과 같이, 자수무늬 내의 임의의 일점 P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소정 각도마다 직선을 그어 무늬(스티치 데이터)와의 교점(交点)을 요구해, 각 직선 마다의 스티치 데이터와의 교점 중 가장 원점(遠點)의 좌표를 각각 요구하고, 이들 가장 원점의 좌표를 묶는 것에 의해, 자수무늬의 윤곽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7(b)는, 이와 같이 하여 요구하는 자수무늬의 윤곽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트레이스용의 윤곽 데이터는, 스텝 100에서 연산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산출하도록 하여도 좋고, 혹은, 미리 작성된 이 윤곽 데이터를 자수무늬 데이터(스티치 데이터)와 함께 기억해 두어, 이것을 스텝 100으로 읽어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7(b)에서는, X축 방향의 2개의 극치 Mx1, Mx2와 Y축 방향의 2개의 극치 My1, My2가 참고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 4 극치를 묶은 윤곽 데이터에 있어서도, 해당 자수무늬가 틀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고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스텝 101에서는, 소정의 트레이스 지시가 이루어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소정의 트레이스 지시 스위치를 온(ON)하면, 트레이스 지시가 이루어진다고 판정된다. 또한, 이 트레이스 지시에 앞서, 조작자는, 자수틀(5)을 적당히 움직여서, 이 자수틀(5)을 임의의 스타트 위치로 설정한다. 도 9(a)는, 자수틀(5)을 임의의 스타트 위치 S1로 설정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이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자수틀(5)의 이동 가능 범위(즉 봉제 가능 범위)(20)로부터 X축 방향에 관해서 자수무늬가 초과하여 나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설정된 자수 틀(5)의 스타트 위치 S1이 자수무늬의 꿰맴 스타트 점 S이 된다. 여기서, 자수틀(5)의 이동 가능 범위(20)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범위인지를 알고 있을 필요는 없고, 따라서, 연산 등으로 이것을 구할 필요는 없다. 또, 동일하게, 자수틀(5)의 스타트 위치 S1도 그 좌표 등이 구체적인 수치로서 알고 있을 필요는 없고, 조작자는, 단지 자수틀(5)을 적당히 움직여 적당한 위치를 스타트 위치 S1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도 9(a)에서는, 이 자수틀(5)의 스타트 위치 S1에 자수무늬의 스타트 점 S를 일치시킨 상태로, 윤곽 데이터에 대응하는 윤곽선도 참고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서는 윤곽선이 이동 가능 범위(20)로부터 X축 방향에 관하여 초과하여 나와 있지만, 지금의 단계에서는, 조작자에 있어도, 또, 제어장치에 있어서도, 무늬의 윤곽 데이터와 자수틀(5)의 이동 가능 범위(20)와의 관계, 즉 초과하여 나와 있는지 아닌지는, 구체적으로는 판단하지 않는다.
트레이스 지시가 이루어지면,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이 개시된다(스텝 102). 이 자수틀(5)의 이동은, 도 9(b)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점 S로부터 시작되어, 윤곽 데이터에 의한 윤곽선을 차례차례 본떠 가도록(트레이스 하도록), 행해진다.
스텝 103에서는, 이동하는 자수틀(5)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9, 10)의 출력 혹은 위치 검출용의 엔코더(13, 14)의 출력 상태를 CPU(17)로 판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자수틀(5)의 현재 위치 Sx가 이동 가능 범위(20)의 X축 방향의 한계 위치에 이르면, X축 방향 한계 검출이 이루어진다(스텝 103의 YES). 이 한계 검출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이 정지되어(스텝 104), 한계 위치에 이른 방향이 X축 방향 성분과 Y축 방향 성분 중 어느 쪽에 있는지가 판정된다(스텝 105). 도 9(b)의 예의 경우, X축 방향의 오른쪽 한계 위치 검출이 이루어져, 처리는 스텝 106에서 진행된다.
스텝 106에서는, 윤곽 데이터의 현재 위치 Sx와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극치 Mx2로부터, 이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자수틀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양 xL을 산출한다(예를 들면 xL = Mx2-Sx). 다음으로, 산출한 초과하여 넘치는 양 xL에 소정의 여유량 xN을 가산하여 보정값 LX를 산출하고(스텝 107), 최초로 설정한 스타트 위치 S1의 X좌표값를 이 보정값 LX만 수정하여 보정 스타트 위치 S2의 X좌표값를 산출한다(스텝 108). 이렇게 하여, X축 방향의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정한 보정 스타트 위치 S2의 X좌표값가 산출되고, 이 보정 스타트 위치 S2까지 자수틀(5)이 자동적으로 이동된다(스텝 109). 이 보정 스타트 위치 S2로의 자수틀(5)의 이동이 완료하면, 적당한 알림 수단(부저(buzzer) 또는 점등 등의 가청적 또는 가시적 알림 수단)으로, 그 취지를 조작자에게 알린다(스텝 110). 이렇게 하여,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틀(5)의 스타트 위치가 임의로 설정한 위치 S1으로부터 보정값 LX만 늦추어져, 보정 스타트 위치 S2로 재설정된다. 또한, 스텝 109에 있어서, 보정 스타트 위치 S2에 자수틀(5)을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신하여, 조작자에 대해서 수동 조작에 의해서 보정 스타트 위치 S2까지 자수틀(5)을 이동하도록 표시기나 음성 등으로 지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자수틀(5)이 보정 스타트 위치 S2로 재설정된 후, 확인을 위해서, 한번 더, 트레이스 지시를 준다(스텝 101). 이것에 의해, 이번은 수정된 스타트 위치 S2로부터,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이 개시된다(스텝 102).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대한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없으면, 스텝 103에서, 이동하는 자수틀(5)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을 판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텝 103이 NO인 채, 윤곽 데이터에 따르는 자수틀(5)의 이동(트레이스)이 종료된다. 스텝 116에서는, 윤곽 데이터에 따르는 자수틀(5)의 이동이 스타트 위치 S2까지 돌아온 것을 가지고, 트레이스 종료로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스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트레이스 처리를 종료한 상태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스타트 위치 S2에서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서도, Y축 방향에서도,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로 설정한 자수틀(5)의 임의의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자수틀(5)의 이동 가능 범위(즉 봉제 가능 범위)(20)로부터 Y축 방향에 관해서 자수무늬가 초과하여 넘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트레이스 지시를 주어(스텝 101),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을 개시하며(스텝 102),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자수틀(5)의 현재 위치 Sy가 이동 가능 범위(20)의 Y축 방향의 한계 위치에 이르면, Y축 방향 한계 검출이 이루어진다(도 6의 스텝 103의 YES). 이 한계 검출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이 정지되고(스텝 104), 한계 위치에 이른 방향이 Y축 방향이라고 판정되어(스텝 105), 처리는 스텝 111에서 진행된다. 스텝 111 ~ 115에서는, 전술의 스텝 106 ~ 110과 같은 처리를 Y축에 관하여 행한다. 즉, 스텝 111에서는, 윤곽 데이터의 현재 위치 Sy와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극치 My1로부터, 이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자수틀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양 yL을 산출한다(예를 들면 yL = My1 - Sy). 다음에, 산출한 초과하여 넘치는 양 yL에 소정의 여유(餘裕)량 yN을 가산하여 보정값 LY를 산출하고(스텝 112), 최초로 설정한 스타트 위치 S1의 Y좌표값를 이 보정값 LY만 수정하여 보정 스타트 위치 S3의 Y좌표값를 산출한다(스텝 113). 다음으로, 이 보정 스타트 위치 S3까지 자수틀(5)이 자동적으로 이동된다(스텝 114). 이 보정 스타트 위치 S3으로의 자수틀(5)의 이동이 완료하면, 그 취지를 조작자에게 알린다(스텝 115). 이렇게 하여,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틀(5)의 스타트 위치가 임의로 설정한 위치 S1로부터 보정값 LY만큼 늦추어져, 보정 스타트 위치 S3로 재설정된다. 이와 같이 자수틀(5)이 보정 스타트 위치 S3로 재설정된 후, 확인을 위해서, 한번 더, 트레이스 지시를 주면(스텝 101), 이번은 수정된 스타트 위치 S3로부터,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이 개시되어(스텝 102),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 대한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없으면, 스텝 103이 NO인 채, 윤곽 데이터에 따르는 자수틀(5)의 이동(트레이스)이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트레이스 처리를 종료한 상태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스타트 위치 S3에서는,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서도, Y축 방향에서도,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로 설정한 자수틀(5)의 임의의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자수틀(5)의 이동 가능 범위(즉 봉제 가능 범위)(20)로부터 X축 및 Y축의 양방향에 관하여 자수무늬가 초과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트레이스 지시를 주어(스텝 101),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을 개시하고(스텝 102), 이동하는 자수틀(5)의 현재 위치가 이동 가능 범위(20)의 X축 또는 Y축의 한쪽 방향의 한계 위치에 이르면, 스텝 106 ~ 110 또는 111 ~ 115의 처리에 의해서, X축 또는 Y축의 한쪽 방향에 관한 초과하여 넘치는 것을 수정하도록 보정 스타트 위치가 재설정된다. 그리고, 다시 트레이스 지시를 주어(스텝 101),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을 개시하고(스텝 102), 이동하는 자수틀(5)의 현재 위치가 이동 가능 범위(20)의 X축 또는 Y축의 다른 한쪽 방향의 한계 위치에 이르면, 스텝 106 ~ 110 또는 111 ~ 115의 처리에 의해서, X축 또는 Y축의 다른 한쪽 방향에 관한 초과하여 넘치는 것을 수정하도록 보정 스타트 위치가 재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X축 및 Y축의 양방향에 관해서 초과하여 넘치는 것을 수정하도록 보정 스타트 위치가 재설정된다. 마지막으로, 확인을 위해서, 다시 트레이스 지시를 주어(스텝 101), 윤곽 데이터에 따라 자수틀(5)의 이동을 개시하면(스텝 102), 이번은 X축 및 Y축의 어느 방향에도 윤곽 데이터가 초과하지 않고, 트레이스를 종료한다. 또한, 2회의 트레이스 지시로 X축 및 Y축의 양방향의 초과하여 넘치는 것을 해소하고 있으므로, 3번째의 트레이스 지시는 단순한 확인에 지나지 않고, 이것은 생략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최초로 임의로 설정한 스타트 위치 S1에서는 X축 또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윤곽 데이터의 이동 가능 범위(20)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 어나는 경우는, 트레이스 지시를 2회 실시함으로써, 초과하여 넘치는 것을 해소하는 스타트 위치의 재설정을 확실히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보정 스타트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여유값 xN, yN의 값은, 사용하는 자수틀의 형태에 맞추어 조작 패널상에서 조작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본 고안은, X-Y축에서 2차원 구동되는 평면상의 자수틀(5)에 한정하지 않고, 1차원 구동과 회전 구동을 조합시켜 구동되는 원통형 또는 곡면상의 자수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고안은, 다두식 자수 미싱에 한정하지 않고, 1두식 자수 미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은, 실자수를 행하는 자수 미싱에 한정하지 않고, 시퀸(sequin)이나 끈 혹은 컷(cut) 등 특수 처리를 행하는 미싱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것들을 총칭해 자수 미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트레이스 기술과는 달라, 시행 착오에 의해서 스타트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수 스타트 위치의 설정을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 또, 자수틀의 봉제 가능 범위를 사전에 데이터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들지 않는다.

Claims (4)

  1. 피봉제물을 유지한 자수틀을 임의의 자수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꿰맴 데이터에 따라서 이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자수 미싱에 있어서,
    주어진 자수무늬의 적어도 극치를 포함한 윤곽 데이터에 근거해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스타트 위치로부터 이 윤곽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자수틀을 이동시키는 트레이스 제어 수단과,
    이동하는 자수틀이 소정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트레이스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자수틀의 이동 중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한계 위치에 이르렀던 것이 검출된다면, 그 때의 상기 윤곽 데이터의 현재 위치와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극치로부터, 이 나머지의 윤곽 부분의 자수틀로부터의 초과하여 넘치는 양을 산출하는 초과량 산출 수단과,
    상기 초과량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초과하여 넘치는 양에 근거해, 이 초과하여 넘치는 것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스타트 위치를 늦추어 이 스타트 위치를 재설정하는 스타트 위치 설정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량 산출 수단과 상기 스타트 위치 설정 수단에 의한 상기 초과하여 넘치는 양의 산출과 상기 스타트 위치의 재설정을, 상기 자수틀의 각 이동축 성분마다, 행하는 자수 미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위치 설정 수단은, 재설정된 스타트 위치까지, 상기 자수틀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행하는 자수 미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위치 설정 수단은, 재설정된 스타트 위치를 가시적 또는 가청적으로 알리는 것을 행하는 자수 미싱.
KR2020060026837U 2005-05-02 2006-09-29 자수 미싱 KR200437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37U KR200437806Y1 (ko) 2005-05-02 2006-09-29 자수 미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4370 2005-05-02
KR2020060026837U KR200437806Y1 (ko) 2005-05-02 2006-09-29 자수 미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321A Division KR20080006431A (ko) 2005-05-02 2006-05-02 자수 미싱 및 자수 스타트 위치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06Y1 true KR200437806Y1 (ko) 2007-12-28

Family

ID=4162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837U KR200437806Y1 (ko) 2005-05-02 2006-09-29 자수 미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0539B2 (ja) ミシン
KR20080006431A (ko) 자수 미싱 및 자수 스타트 위치 설정방법
US9885131B2 (en) Sewing machine
JP4655744B2 (ja) ミシン
WO2000060156A1 (fr) Unite de commande de machine a coudre automatique
US9228279B2 (en) Sewing machine
JP2009112501A (ja) ミシン
US7493867B2 (en) Sewing machine
US6963790B2 (en) Embroidery data producing device and embroidery data producing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6304511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及びミシン
KR200437806Y1 (ko) 자수 미싱
JPS6359351B2 (ko)
JP2004180993A (ja) 刺繍模様データが記憶された刺繍縫いミシン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刺繍縫いミシン
US20080223273A1 (en) Sewing machine
JP2007111233A (ja) ミシン
JP2008086427A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3494209B2 (ja) 刺繍ミシン
JP2009039336A (ja) ミシン
JP2836133B2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JP2002085870A (ja) 刺繍ミシン用刺繍範囲トレース方法
JP5507052B2 (ja) 刺繍縫い可能なミシン
JP5350637B2 (ja) 刺繍縫い可能なミシン
JP2762694B2 (ja) 電子制御式模様縫いミシンの縫製パターン縫製方法
JPH10258193A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2020185193A (ja) ミシン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