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614Y1 - 세면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세면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614Y1
KR200437614Y1 KR2020070001435U KR20070001435U KR200437614Y1 KR 200437614 Y1 KR200437614 Y1 KR 200437614Y1 KR 2020070001435 U KR2020070001435 U KR 2020070001435U KR 20070001435 U KR20070001435 U KR 20070001435U KR 200437614 Y1 KR200437614 Y1 KR 200437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ash basin
washbasin
wall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상
Original Assignee
유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상 filed Critical 유선상
Priority to KR2020070001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47K1/05Holding devices for basins or j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기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 세면기(10)의 후방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면(12)을 형성하되, 고정면(12)의 내측으로 저면이 개방된 공간부(11)를 형성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세면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10)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지지커버(111)를 형성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세면기(10)의 고정면(12) 하부측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21)을 형성하되, 밀착편(121)의 전면 중앙 양측으로 앵커볼트(123)가 관통하는 고정공(122)을 복수 형성한 벽면고정부(120)와; 상기 벽면고정부(120)의 상부측에 세면기(10)의 고정면(12)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단턱(131)을 형성하고, 안착단턱(131)의 일측으로 고정면(12)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간(133)이 형성되도록 안착단턱(131)의 타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끼움편(132)을 형성한 세면기결합부(130)와; 상기 세면기결합부(130)의 안착단턱(131)과 끼움편(132)에 고정면(12)과 결합시 마찰을 방지하는 완충패드(141)를 형성한 완충부(140)및; 상기 벽면고정부(120)와 세면기결합부(130)을 보강하도록 내부에 수직 보강편(151)을 복수 형성한 보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고정장치.
세면기, 고정장치, 지지부, 밀착편, 앵커볼트, 세면기결합부

Description

세면기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WASHBOWL}
도 1 은 종래의 세면기 고정용 브래킷을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종래의 세면기 고정용 브래킷에 세면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저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에 세면기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에 세면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에 세면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세면기 11: 공간부
12: 고정면 100: 고정장치
110: 지지부 111: 지지커버
120: 벽면고정부 121: 밀착편
122: 고정공 123: 앵커볼트
130: 세면기결합부 131: 안착단턱
132: 끼움편 133: 끼움공간
140: 완충부 141: 완충패드
150: 보강부 151: 보강편
본 고안은 세면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는 수도꼭지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아래로 볼록한 수조가 형성되고, 수조의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주로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세면기는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으로 고정되는데, 종래 세면기를 설치하기 위한 세면기 고정용 브래킷(1)은 도 1과 같이 수직면(2)에 형성된 고정편(3)이 벽체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되고, 수평면(4)이 세면기의 수조를 받침지지 하면서, 수평면(4)를 관통한 체결수단이 세면기에 삽입되어 세면기를 고정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면기 설치용 브래킷(1)은 적어도 벽체 양측에 한 쌍이 고정되어 그 상부에 세면기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그 상부에 설치된 세 면기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브래킷의 설치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므로 설치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벽에 설치되는 수직면(2)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세면기 무게에 대항하는 수직면의 저항력이 약하여 세면기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브래킷이 세면기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그 양측을 겨우 지지하고 있으므로, 세면기의 전체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나아가, 브래킷 수평면을 관통한 체결수단이 세면기의 고정공에서 삽입되면서 설치과정이 번거롭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체결수단 조임시 체결수단의 머리부가 세면기에 밀착되면서 도기로 된 세면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세면기의 양측으로 지지되는 브래킷이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고정장치에 세면기를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간편하게 세면기를 벽면에 설치하면서 설치시 세면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세면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는, 세면기의 후방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면를 형성하되, 고정면의 내측으로 저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세면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 지지하도록 저면에 지지커버를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세면기의 고정면 하부측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밀착편을 형성하되, 밀착편의 전면 중앙 양측으로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고정공을 복수 형성한 벽면고정부와; 상기 벽면고정부의 상부측에 세면기의 고정면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단턱을 형성하고, 안착단턱의 일측으로 고정면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안착단턱의 타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끼움편을 형성한 세면기결합부와; 상기 세면기결합부의 안착단턱과 끼움편에 고정면과 결합시 마찰을 방지하는 완충패드를 형성한 완충부및; 상기 벽면고정부와 세면기결합부를 보강하도록 내부에 수직 보강편을 복수 형성한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에 세면기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 고정장치에 세면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100)는, 세면기(10)의 후방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면(12)를 형성하되, 고정면(12)의 내측으로 저면이 개방된 공간부(11)를 형성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세면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10)를 지지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고정면(12)의 하부에 벽면에 고정되는 벽면고정부(120)와, 상기 벽면고정부(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세면기(10)가 결합되는 세면기결합부(130)와, 상기 세면기결합부(130)와 세면기(10)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부(140)와, 상기 벽면고정부(120)와 세면기결합부(130)를 보강하는 보강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세면기 고정장치(100)의 지지부(110)는 세면기(10)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지지커버(111)를 형성하되 지지커버(111)의 상단면이 세면기(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하단면은 욕실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지지커버(111)가 세면기(10)의 저면에 구성되면서 세면기(10)와 연결된 배수관 등을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커버(111)를 세면기(10)와 동일한 색상, 재질로 형성하여 동일한 미감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면기 고정장치(100)의 벽면고정부(120)는 벽면에 밀착되는 세면기(10)의 고정면(12) 하부측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평면형태의 밀착편(1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밀착편(121)의 전면 양측으로 앵커볼트(123)가 관통하는 고정공(122) 을 복수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공(122)은 상부에서 하부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앵커볼트(123)는 선단부가 벽면에 매설되고 후단부가 고정공(122)을 관통하여 밀착편(121)의 전면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세면기 고정장치(100)의 세면기결합부(130)는 벽면고정부(120)의 밀착편(121) 상부측으로 세면기(10)의 고정면(12)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단턱(131)을 형성하고, 안착단턱(131)의 일측으로 세면기(10)의 고정면(12)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간(133)이 형성되도록 안착단턱(131)의 타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편(132)을 형성한다.
여기서, 끼움공간(133)은 밀착편(121)이 벽면에 밀착되면서 끼움편(132)과 이와 대향되는 벽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세면기 고정장치(100)의 완충부(140)는 세면기(10)의 고정면(12)과 접촉되는 세면기결합부(130)의 안착단턱(131)과 끼움편(132)에 완충패드(141)를 형성하여 세면기(10)의 고정면(12) 결합시 세면기결합부(130)와의 마찰을 방지하여 결합시 고정면(12)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완충패드(141)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하여 쿠션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면기 고정장치(100)의 보강부(150)는 벽면고정부(120)와 세면기결합부(130)의 내부 또는 그 전면에 수직 보강편(151)을 복수 형성하여 세면기(10)의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면기(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의 벽면에 앵커볼트(123)를 양측으로 설치하며, 설치되는 앵커볼트(123)의 간격은 벽면고정부(120)의 고정공(122)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앵커볼트(123)의 선단부는 벽면에 매설되고 후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외부로 돌출된 앵커볼트(123)에 밀착편(121)의 고정공(122)을 끼움하여 밀착편(121)의 배면이 벽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너트를 이용하여 앵커볼트(123)에 고정시면서, 끼움편(132)에 의해 세면기(10)의 고정면(12)이 삽입 결합되는 끼움공간(133)이 벽면과 끼움편(13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앵커볼트(123)와 결합되는 고정공(122)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편(121)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한다.
이렇게, 고정장치(100)의 벽면고정부(120)가 벽면에 고정되면 지지부(110)의 지지커버(111)를 세면기(10)가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세면기(10)가 고정장치(100)에 결합되도록 지지커버(111)의 상부에 세면기(10)를 올려놓게 되고, 이때 고정면(12)이 끼움공간(133)에 삽입되면서 끼움편(132)이 세면기(10)의 공간부(11)에서 고정면(12)의 내측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고정면(12)의 저면은 안착단턱(131)에 안착되어 결합 고정된다.
아울러, 고정면(12)의 끼움 삽입시 완충패드(141)에 의해 고정면(12)와 끼움편(132)간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마찰에 의한 고정면(12)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장치(100)와 지지커버(111)에 의해 세면기(10)를 간편하세 설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커버(111)에 의해 세면기(10)와 결합된 배수관 등을 은폐시킬 수 있어 욕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는, 세면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벽면에 앵커볼트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양측에 설치하며, 설치되는 앵커볼트의 간격은 벽면고정부의 고정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한 뒤 앵커볼트에 고정공을 이용하여 고정장치를 결합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공정수가 감소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는 밀착편의 고정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앵커볼트에 결합시 높이를 맞추면서 고정장치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고, 고정장치가 수평상태가 되면 올려지는 세면기는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는 보강부의 보강편에 의해 고정장치의 지지력이 보강되며 지지커버가 세면기를 받치게 되어 고정장치와 지지커버에 의해 세면기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는 고정면이 끼움 결합하는 끼움편과 안착단턱으로 완충패드가 형성되어 고정면 끼움결합시 완충패드에 의해 완충 되면서 마찰력이 감소되어 도기로 된 세면기의 고정면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세면기 고정장치는 세면기를 지지하는 지지커버에 의해 배수관과 고정장치가 은폐되어 세면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세면기(10)의 후방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면(12)를 형성하되, 고정면(12)의 내측으로 저면이 개방된 공간부(11)를 형성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세면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10)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지지커버(111)를 형성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세면기(10)의 고정면(12) 하부측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21)을 형성하되, 밀착편(121)의 전면 중앙 양측으로 앵커볼트(123)가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고정공(122)을 복수 형성한 벽면고정부(120)와;
    상기 벽면고정부(120)의 상부측에 세면기(10)의 고정면(12)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단턱(131)을 형성하고, 안착단턱(131)의 일측으로 고정면(12)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간(133)이 형성되도록 안착단턱(131)의 타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끼움편(132)을 형성한 세면기결합부(130)와;
    상기 세면기결합부(130)의 안착단턱(131)과 끼움편(132)에 고정면(12)와 결합시 마찰을 방지하는 완충패드(141)를 형성한 완충부(140)및;
    상기 벽면고정부(120)와 세면기결합부(130)를 보강하도록 내부에 수직 보강편(151)을 복수 형성한 보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고정장치.
KR2020070001435U 2007-01-26 2007-01-26 세면기 고정장치 KR200437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35U KR200437614Y1 (ko) 2007-01-26 2007-01-26 세면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35U KR200437614Y1 (ko) 2007-01-26 2007-01-26 세면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614Y1 true KR200437614Y1 (ko) 2007-12-12

Family

ID=4162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435U KR200437614Y1 (ko) 2007-01-26 2007-01-26 세면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6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726B2 (en) Bath fixture mounting system
KR200437614Y1 (ko) 세면기 고정장치
JP4438083B2 (ja) 手洗器又は洗面器の取付装置。
CN210857401U (zh) 用于挂墙式台盆的连接组件及挂墙式台盆系统
EP1813733B1 (en) Self-supporting recessed installation structure for sanitary fixtures
US9103106B1 (en) U-shaped closet flange
KR20110005809U (ko)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KR200486252Y1 (ko) 세면기 고정구조
KR100999859B1 (ko) 양변기용 바닥부재
JP4640229B2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JP2006025887A (ja) 洗面器台付きカウンター及びその取付方法
JP6879085B2 (ja) ケーシング
KR102589225B1 (ko)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시공 방법
CZ294841B6 (cs) Profilová kolejnice a spojovací prvek pro nosné zařízení
KR200444553Y1 (ko) 세면대 배수관의 보호커버 결합구조
JP5311275B2 (ja) 手洗い器又は洗面器の取り付け装置
AU2009100758A4 (en) Bracket and mounting arrangement
JP5198898B2 (ja) 手洗い器の取付構造
KR200446560Y1 (ko) 세면대 배수관의 보호커버 결합구조
KR200250694Y1 (ko) 세면기 거치대
US201400263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rporating wall-mount faucets to modular/furniture bath sink vanities
JPS6231494Y2 (ko)
KR200317224Y1 (ko) 세면기용 받침대
KR200184940Y1 (ko) 연수기 설치대
KR20130002892U (ko) 욕실 걸이대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