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420Y1 - 축열식 난방 쿠션 - Google Patents

축열식 난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420Y1
KR200437420Y1 KR2020070001635U KR20070001635U KR200437420Y1 KR 200437420 Y1 KR200437420 Y1 KR 200437420Y1 KR 2020070001635 U KR2020070001635 U KR 2020070001635U KR 20070001635 U KR20070001635 U KR 20070001635U KR 200437420 Y1 KR200437420 Y1 KR 200437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heat storage
cush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 근 이
Original Assignee
형 근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 근 이 filed Critical 형 근 이
Priority to KR202007000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feathers, down or similar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열식 난방 쿠션에 관한 것으로, 천연 솜 또는 합성 솜 등과 같은 보온 쿠션재질로 채워진 쿠션의 내부에 축열난방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난방기구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이 내장된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을 저장하는 축열부, 상기 축열부의 열을 보온함과 더불어 축열부의 열이 그대로 발산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단열 보온부, 상기 단열 보온부의 바깥을 둘러싸면서 전체를 지지해 줌과 더불어 일정한 형틀을 유지하게 하는 케이스 및, 상기 발열부의 열선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축열식 난방 쿠션은 상기 축열 난방기구의 단자에 전원을 연결시켜 두면 발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축열부에 저장되고, 상기 축열부에 충분하게 열이 저장된 후에는 축열난방기구와 전원을 분리시킨 다음, 축열난방기구를 쿠션의 내부에 장착하여 축열부에 저장된 열을 3 ~ 4시간 동안 발산되게 함으로써 축열부의 열이 단열재와 케이스를 통하여 쿠션의 내부를 훈훈하게 데워주게 하여 별도의 난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따뜻한 잠자리나 좌석을 만들 수가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축열식 난방 쿠션, 축열, 난방쿠션

Description

축열식 난방 쿠션{A regenerating heat cush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 쿠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쿠션에 사용하는 축열난방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 난방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보온 쿠션재 2 - 쿠션
3 - 축열난방기구 4 - 전열선
5 - 발열부 6 - 축열부
7 - 단열 보온부 8 - 케이스
9 - 전원 단자
본 고안은 잠자리나 좌석 등을 따뜻하게 해주는 축열식 난방쿠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연결하고 있지 않아도 장시간 동안 온열을 느낄 수가 있으며, 쿠션이나 이부자리 속에 넣어 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축열식 난방 쿠션에 관한 것이다.
난방을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이 제안되어 있는바, 예컨대 전통적인 온돌방법에서부터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따뜻한 온기를 느낄 수 있게 하는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난방 방법은 개별적으로 사람이 직접 따뜻한 기운을 느끼게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 전열선을 내장시킨 패드 등과 같은 난방기구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전열선을 이용한 난방 기구는 전열선이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효과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보온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으나,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전열식 난방기구는 전원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류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자파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화재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화재의 위험과 전자파로 인한 문제 때문에 전열선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이부자리에 사용하는데에는 그만큼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는 문제점 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 때문에 전열식 난방기구를 어린아이가 사용하게 하기에는 곤란하였다.
한편,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전열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게 한 전열식 난방기구가 있기는 하나, 이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면 무겁고 폭발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로 인하여 가격이 비싸진다는 등의 단점도 있고, 무엇보다도 배터리와 전열기구를 연결하는 전선의 거추장스러움으로 인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열기를 이용한 난방기구의 문제를 해결하여, 전원이 없어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이 있는 이부자리에서도 어린아이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축열식 난방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축열식 난방 쿠션은, 천연 솜 또는 합성 솜 등과 같은 보온 쿠션재질로 채워진 쿠션의 내부에 축열난방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난방기구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이 내장된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을 저장하는 축열부, 상기 축열부의 열을 보온함과 더불어 축열부의 열이 그대로 발산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단열 보온부, 상기 단열 보온부의 바깥을 둘러싸면서 전체를 지지해 줌과 더불어 일정한 형틀을 유지하게 하는 케이스 및, 상기 발열부의 열선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축열식 난방 쿠션은 상기 축열 난방기구의 전원단자에 전원을 연결시켜 두면 발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축열부에 저장되고, 상기 축열부에 충분하게 열이 저장된 후에는 축열난방기구와 전원을 분리시킨 다음, 축열난방기구를 쿠션의 내부에 장착하여 축열부에 저장된 열을 3 ~ 4시간 동안 발산되게 함으로써 축열부의 열이 단열재와 케이스를 통하여 쿠션의 내부를 훈훈하게 데워주게 하여 별도의 난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따뜻한 잠자리나 좌석을 만들 수가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 쿠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쿠션에 사용하는 축열난방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쿠션은 천연 솜 또는 합성 솜 등과 같은 보온 쿠션재(1)로 채워진 쿠션(2)의 내부에 축열난방기구(3)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열난방기구(3)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4)이 내장된 발열부(5)와, 상기 발열부(5)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발열부(5)에서 발열된 열을 저장하는 축열부(6), 상기 축열부(6)의 열을 보온함과 더불어 축열부(6)의 열이 그대 로 발산되지 못하게 보온하는 단열 보온부(7), 상기 단열 보온부(7)의 외부를 둘러싸서 전체를 지지해 줌과 더불어 일정한 형틀을 유지하게 하는 케이스(8) 및, 상기 발열부(5)의 전열선(4)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9)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온 쿠션재(1)는 일반적으로 범용으로 사용하는 천연 또는 합성 솜을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쿠션이 있는 보온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상기 쿠션(2)은 여기서 사람이 소파 등에 앉거나 잠잘 때 기대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침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게는 소파에 앉을 때 기대거나 무릎위에 얹는 통상의 쿠션 형태를 이루게 할 수도 있고,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다란 베개의 형태로 만들어 사람이 잠잘 때 안고 잘 수 있는 보조 베게를 이루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5)의 전열선(4)은 일반적으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전열선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5)를 둘러싸고 있는 축열부(6)는 세라믹이나 주석 등과 같이 축열효과가 뛰어난 재질을 사용하는데, 그 사용량에 따라 축열량이 달라지게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약 3~4시간 동안 일정한 양의 열이 발산될 수 있을 정도의 열이 축열 되게 하는 정도의 크기로 한다.
특히 주석을 축열소재로 사용하면 그 축열 효과가 더욱 뛰어나게 된다.
상기 축열부(6)의 바깥에는 축열된 열이 오랜 시간 동안 유지 되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축열된 열이 발산되지 못하게 하는 단열 보온부(7)가 둘러싸고 있는데, 상기 단열 보온부(7)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열재를 사용하면 되는데, 열 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바깥으로 발산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소량의 열이 통과하여 바깥으로 전해지게 함으로써 본 고안에서 기대하는 축열식 보온기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단열 보온재로서는 일반적인 유리 섬유 등과 같이 널리 알려진 공지의 재료를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케이스(8)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케이스(8)는 상하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간단하게 결합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8)의 한쪽 측방에는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단자(9)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전원 단자(9)는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8)의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케이스(8)의 둥근 표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8)의 외부 표면이 매끈한 형태를 유지하게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기구(3)를 쿠션(2) 속에 내장할 때 돌출된 전원 단자(9)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축열식 난방기구(3)는 도면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8)의 윤곽이 부드러운 둥근 형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쿠션(2)속에 설치할 때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가 있고, 축열식 난방기구(3)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난방기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축열식 난방기구(3)의 축열부(6)에서 오 랜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사되는 열이 단열 보온부(7)와 케이스(8)를 통하여 쿠션(2)의 보온 쿠션재(1)로 전달되어, 쿠션(2)을 안고 있는 사람이 평온하고 따뜻한 기운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온기는 뜨겁지 않고 따뜻한 안락감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특히 어린아이가 추운 잠자리에서도 평온함을 느끼면서 깊은 잠을 잘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기구는 발열부(5)의 전열선(4)에서 발열하는 고온의 열이 축열성이 뛰어난 축열부(6)에서 축열되어지게 하고, 상기 축열부(6)의 바깥에 축열된 열을 조심씩 배출시키는 단열 보온부(7)를 설치하며, 상기 단열 보온부(7)의 바깥에 케이스(8)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이러한 축열식 난방기구를 보온성이 있는 쿠션재(1)가 충전된 쿠션(2)속에 내장 설치함으로써 이부자리 등에서 따뜻한 쿠션을 사용하여 안락함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난방쿠션은 전원에 연결하여 축열 한 후에 전원과 분리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잠자리 등에서 거추장스런 전원 케이블의 방해을 받지 않아도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천연 솜 또는 합성 솜 등과 같은 보온 쿠션재(1)로 채워진 쿠션(2)의 내부에 축열난방기구(3)가 설치되고; 상기 축열난방기구(3)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4)이 내장된 발열부(5)와, 상기 발열부(5)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발열부(5)에서 발열된 열을 저장하는 축열부(6), 상기 축열부(6)의 열을 보온함과 더불어 축열부(6)의 열이 그대로 발산되지 못하게 보온하는 단열 보온부(7), 상기 단열 보온부(7)의 외부를 둘러싸서 전체를 지지해 줌과 더불어 일정한 형틀을 유지하게 하는 케이스(8) 및, 상기 발열부(5)의 전열선(4)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9)로 이루어진 축열식 난방쿠션
KR2020070001635U 2007-01-29 2007-01-29 축열식 난방 쿠션 KR200437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635U KR200437420Y1 (ko) 2007-01-29 2007-01-29 축열식 난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635U KR200437420Y1 (ko) 2007-01-29 2007-01-29 축열식 난방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420Y1 true KR200437420Y1 (ko) 2007-11-30

Family

ID=4163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635U KR200437420Y1 (ko) 2007-01-29 2007-01-29 축열식 난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4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7391B (zh) 一种冬暖夏凉可调温的恒温垫
JP4663817B1 (ja) 保温可能な湿タオル保持具
KR200467271Y1 (ko) 온풍장치가 장착된 침대용 매트리스
ITMI20120621A1 (it) Dispositivo riscaldante con sistema di regolazione della temperatura migliorato
JPH1147181A (ja) 温熱治療応用具
KR101404029B1 (ko) 온수순환 매트리스
KR101517952B1 (ko) 침대용 온열보료
KR200437420Y1 (ko) 축열식 난방 쿠션
JP3193493U (ja) 温熱座席を備えた椅子
KR102325271B1 (ko) 온열 매트리스
CN213128827U (zh) 一种凉热两用垫
KR20110132778A (ko) 열선관이 내장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CN207754942U (zh) 一种枕头
KR101428515B1 (ko) 통기성 구조체를 구비한 공기 대류구조의 온열매트
CN207679872U (zh) 远红外理疗保健垫
CN211632526U (zh) 一种可水洗驱寒暖脚床护垫
CN220546081U (zh) 一种多功能电暖被
JP3125626U (ja) 低温熱傷害を防ぐ電気敷き布団
KR200293932Y1 (ko) 실리콘 카본히터를 이용한 온열 매트리스의 적층구조
CN218041804U (zh) 石墨烯复合电热板
KR200315789Y1 (ko) 전열식 돌침대 겸용 전열식 쇼파
CN203789532U (zh) 一种冬暖夏凉可调温的恒温垫
CN200970072Y (zh) 多功能枕头
JP2007275523A (ja) ヒーターを内蔵した掛け布団と敷き布団
JP3069116U (ja) 抱き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