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94Y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94Y1
KR200437094Y1 KR2020070001517U KR20070001517U KR200437094Y1 KR 200437094 Y1 KR200437094 Y1 KR 200437094Y1 KR 2020070001517 U KR2020070001517 U KR 2020070001517U KR 20070001517 U KR20070001517 U KR 20070001517U KR 200437094 Y1 KR200437094 Y1 KR 200437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oller
wheel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구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철 filed Critical 구본철
Priority to KR2020070001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2Devices for rocking or oscil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7Platforms to stand up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유모차는 한 쌍으로 대응된 수평프레임의 후방에 직립되게 수직프레임을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시킨 하우징에 포크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상기 포크브라켓 및 프레임 후방 양측에 굴림 회전되는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를 각각 장착시킨 바퀴부와, 상기 포크브라켓에 지지핸들바를 고정하되 상기 지지핸들바를 수직프레임의 상부 후방측으로 연장시켜 앞바퀴를 직접적으로 조향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시킨 한 쌍의 만곡부재를 일정각도로 회동되게 결합하되 상기 만곡부재 사이 공간에 기어의 치합 방식에 의한 전동이음수단을 통하여 일체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회동시켜 만곡부재의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바퀴부를 지면에서 띄워 프레임을 시소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소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방에 탑승판을 힌지 연결시킨 다음 탑승판의 하부에 굴림 회전되는 지지바퀴를 설치하여 유모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탑승판을 접철시키거나 보호자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탑승부로 구성한다.
유모차, 탑승, 흔들기능, 조행능력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도 1은 본 고안의 유모차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모차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모차에 보호자의 탑승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모차에 보호자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b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시소기능을 위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모차 110 : 프레임
111 : 수평프레임 111a : 걸림턱
112 : 수직프레임 112a : 걸림턱
113 : 연결프레임 120 : 바퀴부
121 : 앞바퀴 122 : 뒷바퀴
123 : 하우징 124 : 포크브라켓
130 : 핸들부 131 : 지지핸들바
131a : 고정부재 131b : 고정공
132 : 조향핸들바 133 : 연장핸들바
133a : 걸림돌기 134 : 경첩
135 : 브레이크레버 140 ; 시소부
141 : 만곡부재 142 : 전동이음수단
142a : 전동기어 142b : 종동기어
142c : 홀더 142d : 회전축
142e : 걸림부재 142f : 중심축
150 : 탑승부 151 : 탑승판
151a : 개구홈 152 : 지지바퀴
153 : 브레이크수단 153a : 가압부
153b : 브레이크패드 153c : 탄성부재
153d : 힌지축 154 : 보호바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직접적으로 조향 가능하도록 하여 유모차의 조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의 탑승 및 시소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아탑승부의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유모차를 밀어 바퀴의 구름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는 의자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지지하고 손잡이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하측 후방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에 설치되어 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는 정지레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모차는 통상적으로 지름이 작은 바퀴 4개로 구성되어 유모차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고속주행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유모차의 손잡이를 잡고 수동으로만 밀어 운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로 경사진곳을 지날 때 예를 들어 오르막길에서는 유모차를 미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고, 내리막길에서는 유모차가 내려가는 가속도가 붙어 이에 따라 유모차 손잡이를 놓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평지에서도 유모차를 오랫동안 장거리 운행시 불편함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248112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 하부에 설치된 전,후방바퀴(11,12)와, 받침대(10) 상부의 지지대(20)에 구성된 유아탑승부(21)와, 유아탑승부(21) 후방에 수동손잡이(22)가 설치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수동손잡이(22)는 절첩식으로 구성하고 일측에 탑승조향손잡이(30)를 설치하되 탑승조향손잡이(30)는 수직의 작동축봉(31) 상단에 형성되고 작동축봉(31) 하단은 전방바퀴(11)와 조향레버(33)로 연결하여서된 조향수단과, 후방바 퀴(12)는 브레이크(41) 및 클러치(42)가 구비된 동력전달축(40)과 연결하고 동력전달축(40)은 전원공급부(45)의 구동모터(43)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과, 후방바퀴(12) 상측 부분에 설치한 보호자 탑승발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모차는 수동 또는 자동운행수단이 함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유모차의 유아탑승부(21)에 유아를 태우고 그 후방의 호보자탑승발판(50)에 보호자가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장치의 동력전달수단에 적정속도를 구름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도 힘들지 않고 안정되게 유모차를 운행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유모차는 자동운행수단을 통하여 유모차를 주행시 보호자가 파지한 탑승조향손잡이(30)를 통하여 유모차를 조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탑승조향손잡이의 조향은 탑승조향손잡이(30), 작동축봉(31), 조향레버(33), 연결관(13), 바퀴(11,12) 순서로 조향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각각의 조향을 위한 수단을 수직 및 수평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어 보호자의 조향력이 수직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환되고 이를 다시 연결관의 수평방향으로의 시소방식 운전형태로 바퀴(11,12)를 조향함에 따라 조향력의 전달순서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로써, 조향을 위한 기계적 연결수단의 잔고장을 유발시켜 유모차의 조향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운행수단에서 수동으로 유모차를 운행할 경우 수동손잡이(22)가 지지대(20)에 결합되어 있어 바퀴의 직접적인 조향이 불가능하여 조향능력을 더욱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유모차의 앞바퀴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지지핸들바에 장착된 조향핸들바 및 연장핸들바를 통하여 유모차의 직접 조향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 주행을 위한 급회전, 급선회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에 지지바퀴를 설치한 탑승부를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모차가 내리막길 또는 평탄한 길을 주행 중 유모차가 자발적인 일정속도를 유지할 때 보호자가 유모차에 직접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모차의 운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의 프레임 바닥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철시켜 유모차가 시소 기능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탑승부에 브레이크수단을 장착하여 굴림 회전하는 지지바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유모차의 주행 속도를 제어할 수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유모차는 한 쌍으로 대응된 수평프레임의 후방에 직립되게 수직프레임을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시킨 하우징에 포크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상기 포크브라켓 및 프레임 후방 양측에 굴림 회전되는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를 각각 장착시킨 바퀴부와, 상기 포크브라켓에 지지핸들바를 고정하되 상기 지지핸들바를 수직프레임의 상부 후방측으로 연장시켜 앞바퀴를 직접적으로 조향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시킨 한 쌍의 만곡부재를 일정각도로 회동되게 결합하되 상기 만곡부재 사이 공간에 기어의 치합 방식에 의한 전동이음수단을 통하여 일체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회동시켜 만곡부재의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바퀴부를 지면에서 띄워 프레임을 시소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소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방에 탑승판을 힌지 연결시킨 다음 탑승판의 하부에 굴림 회전되는 지지바퀴를 설치하여 유모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탑승판을 접철시키거나 보호자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탑승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동이음수단은 수평프레임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전동기어와 홀더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동기어와 홀더에 만곡부재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전동기어의 사이 공간에는 수평프레임에 가로질러 설치시킨 연결프레임에 결합시킨 중심축에 의해 지지되는 종속기어를 종동기어에 치합시켜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시킨 회전축을 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시키되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직립되게 결합한 걸림부재가 수직프레임에 형성시킨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하여 전동기어에 의한 만곡부재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의 방향전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탑승부에는 지지바퀴의 제동력을 컨트롤할 수 있도 록 하여 유모차의 주행속도를 선택적으로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탑승판의 중앙에 개구홈을 형성시켜 상기 탑승판의 상부로 경사진 가압부를 부분 노출시키고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지지바퀴의 외주연에 근접되게 브레이크패드를 형성시켜 가압부의 선단을 탑승판에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힌지축으로 결합시켜 가압력이 해제된 후 브레이크패드가 지지바퀴에서 탄력적으로 이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포크브라켓에 결합시킨 다음 한 쌍으로 대응되게 분기시켜 수직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핸들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핸들바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고 바퀴부와 연계된 제동력을 컨트롤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장착한 조향핸들바와, 상기 조향핸들의 후방인 지지핸들바의 끝단에 경첩을 통하여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킨 연장핸들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모차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유모차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유모차에 보호자의 탑승상태를 나 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유모차에 보호자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a,b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시소기능을 위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a,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모차는 유모차(100)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굴림 회전되도록 설치한 바퀴부(120)와, 상기 바퀴부(120)를 조향시키는 핸들부(130)와, 상기 프레임(110)에서 접철 상태에 따라 프레임(110)을 시소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시소부(140)와,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주행 중 보호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대응된 수평프레임(111)을 삼각형 구조로 배치한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후방 단부에 수직프레임(112)을 직립되게 설치하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경사프레임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바퀴부(120)는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시킨 하우징(123)에 포크브라켓(124)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 상기 포크브라켓(124)에는 단수개의 앞바퀴(121)를 장착하고 프레임(110) 후방 양측에는 복수개의 뒷바퀴(122)를 장착하여 바퀴(121,122)의 굴림 회전에 의해 지면에서 프레임(110)의 주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핸들부(130)는 포크브라켓(124)에 결합시킨 다음 한 쌍으로 대응되게 분기시켜 수직프레임(112)의 후방으로 연장시킨 지지핸들바(131)와, 상기 한 쌍의 지지핸들바(131)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고 바퀴부(120)와 연계된 제동력을 컨트롤하는 브레이크레버(135)를 장착한 조향핸들바(132)와, 상기 조향핸들 바(132)의 후방인 지지핸들바(131)의 끝단에 경첩(134)을 통하여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킨 연장핸들바(133)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향핸들바(132)를 통하여 앞바퀴(121)를 직접적으로 조향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지지핸들바(131)의 외주연 하부에 고정공(131b)을 형성시킨 고정부재(131a)를 형성시키고, 연장핸들바(133)의 외주연 하부에 걸림돌기(133a)를 고정부재(131a)와 연접되게 형성시켜 지지핸들바(131)에서 연장핸들바(133)를 회전시켜 일직선상으로 펼쳐지도록 할 때 걸림돌기(133a)가 고정공(131b)에 걸림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지지핸들바(131)에서 연장된 연장핸들바(133)의 전환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소부(140)는 상기 수평프레임(111)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시킨 한 쌍의 만곡부재(141)를 일정각도로 회동되게 결합하되 상기 만곡부재(141) 사이 공간에 기어(142a,142b)의 치합 방식에 의한 전동이음수단(142)을 통하여 일체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회동시켜 만곡부재(141)의 직립된 상태에 의해 바퀴(121,122)를 지면에서 띄워 프레임(110)을 시소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동이음수단(142)은 수평프레임(111)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전동기어(142a)와 홀더(142c)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동기어(142a)와 홀더(142c)에 만곡부재(141)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전동기어(142a)의 사이 공간에는 연결축에 의해 지지되는 종속기어(142b)를 종동기어(142a)에 치합시켜 상기 종동기어(142b)에 결합시킨 회전축(142d)을 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시키되 상기 회전축(142d)의 끝단에 직립되게 결합한 걸림부재(142e)가 수직프레임(112)에 형성시 킨 걸림턱(112a)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하여 전동기어(142a)에 의한 만곡부재(141)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의 방향전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동기어(142b)와 회전축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의 수평프레임을 상호 잇는 연결프레임을 각각 가로질러 설치하되 종동기어의 중앙에 중심축을 결합하여 종동기어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축은 연결프레임에 고정시킨 지지하우징에 관통되도록 결합하여 프레임에서 종동기어 및 회전축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탑승부(150)는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후방에 탑승판(151)을 힌지 연결시킨 다음 탑승판(151)의 하부에 굴림 회전되는 지지바퀴(152)를 설치하여 유모차(100)의 주행상황에 따라 탑승판(151)을 접철 시키거나 보호자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탑승부(150)에는 지지바퀴(152)의 제동력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여 유모차(100)의 주행속도를 선택적으로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수단(153)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153)은 탑승판(151)의 중앙에 개구홈(151a)을 형성시켜 상기 탑승판(151)의 상부로 경사진 가압부(153a)를 부분 노출시키고, 상기 가압부(153a)의 하부로 지지바퀴(152)의 외주연에 근접되게 브레이크패드(153b)를 형성시켜 가압부(153a)의 선단을 탑승판(151)에 탄성부재(153c)를 수용하는 힌지축(153d)으로 결합시켜 가압력이 해제된 후 브레이크패드(153b)가 지지바퀴(152)에서 탄력적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또한, 탑승판(151)의 양측에는 보호바(154)를 상향으로 만곡되게 결합시켜 탑승부(150)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보호바(154)가 지면에 지지되면서 프레임(110)의 후방을 지면에서 띄워 만곡부재(141)의 회전상태를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탄하거나 오르막을 주행할 때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직접 끌고 다닐 경우 핸들부(130)의 지지핸들바(131)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 연장핸들바(133)를 회전시켜 유모차(100)의 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환 시킨 후 연장핸들바(133)를 파지한 후 밀어 유모차(100)를 주행시킨다.(도 4 참조)
이때, 탑승판(151)은 90ㅀ각도로 상향으로 직립되게 회전시켜 보호자가 보행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핸들부(130) 연장핸들바(133)를 통한 지지핸들바(131)로 유모차(100)의 직접적인 조향을 가능하다.
그리고, 유모차(10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거나 평탄한 길을 주행하는 등 유모차(100)가 일정 속도를 보장받은 상태로 주행 중일 때 핸들부(130)의 연장핸들바(133)를 조행핸들바(132) 측으로 접철시켜 조향핸들바(13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탑승판(151)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탑승부(150)의 지지바퀴(152)가 지면에서 굴림 회전되도록 한다.(도 3 참조)
이렇게 보호자의 탑승을 위하여 조향핸들바(132)와 탑승판(151)의 회전 상태를 전환시켜 보호자가 탑승판(151)에 탑승한 상태에서 조향핸들바(132)를 통하여 유모차의 조향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탑승판(151)에 장착된 브레이크수단(153)은 보호자가 탑승한 유모차(1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속도 제어를 위해서 보호자가 발을 이용하여 브레이크수단(153)의 가압부(153a)를 밟아 탑승판(151)의 개구홈 일측에 힌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브레이크패드(153b)가 지지바퀴(152)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바퀴(152)의 굴림 회전되는 지지바퀴(152)의 굴림 회전수를 컨트롤하여 유모차의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유모차를 정차시킨 후 반복적인 시소방식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탑승부(150)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보호바(154)가 지면에 지지되면서 프레임(110)의 후방을 지면에서 띄워 만곡부재(141)의 회전상태를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준비한 후 회전축(142d)을 회전시켜 종동기어(142d)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142a)와 일체로 고정된 만곡부재(141)가 하향으로 직립되게 90ㅀ각도로 회전시켜 지면에서 앞바퀴(121)와 뒷바퀴(122)를 띄워 만곡부재(141)에 의해 유모차(100)가 반복적인 시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도 5a, 5b 참조)
또한, 만곡부재(141)를 회전시킨 회전축(142d)은 상기 만곡부재(141)의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142d)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걸림부재(142e)를 수직프레임(112)에 결합시킨 걸림턱(112a)에 걸어 종동기어(142a)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만곡부재(141)가 직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도 5a, 5b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모차는 유모차의 앞바퀴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지지핸들바에 장착된 조향핸들바 및 연장핸들바를 통하여 유모차의 직접 조향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 주행을 위한 급회전, 급선회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유모차는 지지바퀴를 설치한 탑승부를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모차가 내리막길 또는 평탄한 길을 주행 중 유모차가 자발적인 일정속도를 유지할 때 보호자가 유모차에 직접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모차의 운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유모차는 유모차의 프레임 바닥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철시켜 유모차가 시소 기능 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유모차는 탑승부에 브레이크수단을 장착하여 굴림 회전하는 지지바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유모차의 주행 속도를 제어할 수 있 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한 쌍으로 대응된 수평프레임의 후방에 직립되게 수직프레임을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시킨 하우징에 포크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상기 포크브라켓 및 프레임 후방 양측에 굴림 회전되는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를 각각 장착시킨 바퀴부와,
    상기 포크브라켓에 지지핸들바를 고정하되 상기 지지핸들바를 수직프레임의 상부 후방측으로 연장시켜 앞바퀴를 직접적으로 조향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시킨 한 쌍의 만곡부재를 일정각도로 회동되게 결합하되 상기 만곡부재 사이 공간에 기어의 치합 방식에 의한 전동이음수단을 통하여 일체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회동시켜 만곡부재의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바퀴부를 지면에서 띄워 프레임을 시소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소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방에 탑승판을 힌지 연결시킨 다음 탑승판의 하부에 굴림 회전되는 지지바퀴를 설치하여 유모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탑승판을 접철시키거나 보호자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탑승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이음수단은 수평프레임 외주연 일측과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전동기어와 홀더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동기어와 홀더에 만곡부재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전동기어의 사이 공간에는 수평프레임에 가로질러 설치시킨 연결프레임에 결합시킨 중심축에 의해 지지되는 종속기어를 종동기어에 치합시켜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시킨 회전축을 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시키되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직립되게 결합한 걸림부재가 수직프레임에 형성시킨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하여 전동기어에 의한 만곡부재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의 방향전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에는 지지바퀴의 제동력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여 유모차의 주행속도를 선택적으로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탑승판의 중앙에 개구홈을 형성시켜 상기 탑승판의 상부로 경사진 가압부를 부분 노출시키고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지지바퀴의 외주연에 근접되게 브레이크패드를 형성시켜 가압부의 선단을 탑승판에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힌지축으로 결합시켜 가압력이 해제된 후 브레이크패드가 지지바퀴에서 탄력적으로 이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포크브라켓에 결합시킨 다음 한 쌍으로 대응되게 분기시켜 수직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핸들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핸들바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고 바퀴부와 연계된 제동력을 컨트롤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장착한 조향핸들바와,
    상기 조향핸들의 후방인 지지핸들바의 끝단에 경첩을 통하여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킨 연장핸들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2020070001517U 2007-01-26 2007-01-26 유모차 KR200437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17U KR200437094Y1 (ko) 2007-01-26 2007-01-26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17U KR200437094Y1 (ko) 2007-01-26 2007-01-26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94Y1 true KR200437094Y1 (ko) 2007-11-02

Family

ID=4163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517U KR200437094Y1 (ko) 2007-01-26 2007-01-26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650B1 (ko) 2020-09-24 2021-01-22 주식회사 올비트앤 인력에 의해 가동되는 차량용 바퀴 조향 각도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650B1 (ko) 2020-09-24 2021-01-22 주식회사 올비트앤 인력에 의해 가동되는 차량용 바퀴 조향 각도 조절 장치
US11446959B2 (en) 2020-09-24 2022-09-20 Orbitn Co., Ltd. Wheel steering angle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operated by man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583B1 (ko) 가변형 접이식 전기 스쿠터
CN109533152A (zh) 一种可拆卸儿童滑板车式卡丁车
KR101632185B1 (ko) 접이식 전동 유모차
RU2744777C1 (ru)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CN107891906B (zh) 一种多功能安全婴儿车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KR200437094Y1 (ko) 유모차
CN209757239U (zh) 具有离合结构的童车方向盘
KR200413288Y1 (ko)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100928688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접이장치
KR101708759B1 (ko) 다기능 전동유모차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CN104071273A (zh) 一种新型后控转向三轮童车
CN201357855Y (zh) 具有前轮刹车及插接式餐盘的儿童推车
CN201619593U (zh) 多功能童车
CN201012618Y (zh) 婴儿车前轮旋转定位装置
KR200248112Y1 (ko) 유모차
CN203064003U (zh) 儿童手推车
CN208646936U (zh) 脚踏电车以及利用脚踏电车驱动的超市专用电动购物车
CN206231516U (zh) 双前轮电动三轮车
CN205890966U (zh) 一种多功能婴儿车
CN206187237U (zh) 折叠车架及折叠三轮车
CN204137240U (zh) 可切换二轮三轮电动车
CN205131320U (zh) 一种扶手可联动折叠的童车
CN203844816U (zh) 多功能儿童三轮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