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709Y1 -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709Y1
KR200436709Y1 KR2020070008031U KR20070008031U KR200436709Y1 KR 200436709 Y1 KR200436709 Y1 KR 200436709Y1 KR 2020070008031 U KR2020070008031 U KR 2020070008031U KR 20070008031 U KR20070008031 U KR 20070008031U KR 200436709 Y1 KR200436709 Y1 KR 200436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and
wrap
air ca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태
Original Assignee
주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태 filed Critical 주정태
Priority to KR2020070008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랩장갑 내부에 에어캡이 형성되어 그 에어캡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기 때문에 손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상기 에어캡의 일부가 손에 밀착되어 랩장갑의 일부가 흘러내리거나 벗겨지지 않아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랩시트는 흡입롤러에 의해 성형 되어 다수개의 공기유입부를 갖는 에어캡시트와 상기 에어캡시트의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와 함께 손등부를 이루는 손등시트와 상기 손등부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에어캡시트의 상면이 손등시트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밀폐됨으로 인해 에어캡시트와 손등시트의 사이에 에어캡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와 손바닥시트의 절단테두리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랩시트를 일정하게 흡입하여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도록 에어캡시트를 성형하는 흡입롤러와 상기 흡입롤러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에어캡시트와 그의 상면으로 밀착되어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손등시트를 압착하여 에어캡이 형성된 손등부를 이루도록 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에서 압 착된 상기 손등부의 하면에 상기 랩장갑의 손바닥면을 이루는 손바닥시트가 밀착되어 밀착시트부를 이루도록 하는 손바닥시트롤러와 상기 손바닥시트롤러와 밀착된 상기 밀착시트부가 펼친 손 모양으로 절단되고 상기 손등부와 상기 손바닥시트의 절단테두리가 접착되어 랩장갑의 형태로 되게 하는 성형프레스와 상기 성형프레스에서 성형 되고 상기 절단테두리가 접착된 후 손이 랩장갑에 끼워지도록 상기 랩장갑의 일단에 형성된 손목부의 테두리를 커팅하여 상기 손목부의 끝단이 개구되도록 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에서 커팅된 상기 랩장갑을 제외한 불필요한 랩시트가 감겨 폐기되도록 된 권치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랩장갑, 에어캡, 공기유입부, 손목부, 랩시트, 흡입롤러, 히팅롤러

Description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WRAP GLOVES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RAP GLOV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 각각의 랩시트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랩시트를 밀착해놓은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랩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손목부에 구비된 구형상의 에어캡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손목부에 구비된 장공형상의 에어캡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 제조장치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
100 : 랩장갑 110 : 에어캡시트
112 : 에어캡 114 : 공기유입부
120 : 손등시트 130 : 절단테두리
140 : 손바닥시트 150 : 손묵부
152 : 개구부 160 : 손등부
170 : 랩시트
200 : 흡입롤러 210 : 히팅롤러
220 : 손바닥시트롤러 230 : 밀착시트부
240 : 성형프레스 250 : 커터
260 : 권치롤러
본 고안은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랩장갑 내부에 에어캡이 형성되어 그 에어캡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기 때문에 손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상기 에어캡의 일부가 손에 밀착되어 랩장갑의 일부가 흘러내리거나 벗겨지지 않아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을 만들 때 위생상 또는 각종의 양념 등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손에 착용하는 위생비닐장갑은 통상 비닐로 제조되며, 2장의 비닐을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선을 따라 2장의 비닐을 접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더불어, 일회용 비닐장갑은 김치, 나물, 생선 등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 및 취급해야 할 경우 및 머리염색, 도배, 페이트칠, 자동차 세차, 화학실험, 화초손질 등 각종 오염물질, 유해물질을 처리하는 경우에 각각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런 일회용 비닐장갑은 신축성과 내구성을 요하는 고무장갑과는 달리 위생처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재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일 회 사용 후 폐기 처분된다. 이로 인해, 일회용 비닐장갑은 일반적으로 약 0.003㎜의 얇은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재 비닐시트를 사용하며, 이런 한 쌍의 비닐시트를 접착하여, 1분에 120개씩 다량으로 성형 생산한다.
그리고, 합성수지재 일회용 비닐장갑은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손에 적합하도록 손목부의 입구를 넓게 형성한다.
하지만,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은 상기와 같이 손목부의 입구크기가 넓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착용 된 일회용 비닐장갑이 손으로부터 벗겨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목부위를 조이는 여러 수단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얇은 두께를 갖는 비닐장갑에 손목 조임 수단을 부착할 수 없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은 비닐의 특성상 비닐이 손에 밀착되어 손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외부의 공기와 단절되기 때문에, 손에 땀이 나게 되면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상태로 비닐장갑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랩장갑 내부에 에어캡이 형성되어 그 에어캡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기 때문에 손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상기 에어캡의 일부가 손에 밀착되어 랩장갑의 일부가 흘러내리거나 벗겨지지 않아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며, 특히, 랩장갑에 손을 넣는 손목부에 별도로 구형상의 다수개의 에어캡이 구비되고, 또는 손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상의 에어캡이 구비되어 상기 랩장갑을 손에 끼기가 용이하고 이렇게 끼워진 랩장갑은 손에 밀착되어 사용하는 동안 벗겨지지 않게 되는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는,
흡입롤러에 의해 랩시트가 성형 되어 다수개의 공기유입부를 갖는 에어캡시트와 상기 에어캡시트의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와 함께 손등부를 이루는 손등시트와 상기 손등부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 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에어캡시트의 상면이 손등시트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밀폐됨으로 인해 에어캡시트와 손등시트의 사이에 에어캡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와 손바닥시트의 절단테두리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흡입롤러에 의해 랩시트가 성형 되어 상기 손목부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를 갖는 에어캡시트와 상기 에어캡시트의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와 함께 손등부를 이루는 손등시트와 상기 손등부와 대응되도록 손목부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를 갖는 에어캡시트에 그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에어캡시트의 상면이 손등시트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밀폐됨으로 인해 에어캡시트와 손등시트의 사이중 상기 손목부에 에어캡이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와 손바닥시트의 절단테두리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흡입롤러에 의해 랩시트가 성형 되어 상기 손목부에 손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를 갖는 에어캡시트와 상기 에어캡시트의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와 함께 손등부를 이루는 손등시트와 상기 손등부와 대응되도록 손목부에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를 갖는 에어캡시트에 그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 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에어캡시트의 상면이 손등시트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와 손등시트의 사이중 상기 손목부에 에어캡이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와 손바닥시트의 절단테두리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랩시트를 일정하게 흡입하여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도록 에어캡시트를 성형하는 흡입롤러와 상기 흡입롤러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에어캡시트와 그의 상면으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가 밀폐되도록 손등시트를 압착하여 에어캡이 형성된 손등부를 이루도록 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에서 압착된 상기 손등부의 하면에 랩장갑의 손바닥면을 이루는 손바닥시트가 밀착되어 밀착시트부를 이루도록 하는 손바닥시트롤러와, 상기 손바닥시트롤러와 밀착된 상기 밀착시트부가 펼친 손 모양으로 절단되고 상기 손등부와 상기 손바닥시트의 절단테두리가 접착되어 랩장갑의 형태로 되게 하는 성형프레스와, 상기 성형프레스에서 성형 되고 상기 절단테두리가 접착된 후 손이 랩장갑에 끼워지도록 랩장갑의 일단에 형성된 손목부의 테두리를 커팅하여 상기 손목부의 끝단이 개구되도록 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에서 커팅된 상기 랩장갑을 제외한 불필요한 랩시트가 감겨 폐기되도록 된 권치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랩시트를 나타낸 다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랩시트를 밀착해놓은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랩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손목부에 구비된 구형상의 에어캡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의 손목부에 구비된 장공형상의 에어캡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 제조장치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는,
랩시트(170)는 흡입롤러(200)에 의해 성형 되어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와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함께 손등부(160)를 이루는 손등시트(120)와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의 상면이 손등시트(120)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의 사이에 에어캡(112)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손등 부(160)와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랩시트(170)는 흡입롤러(200)에 의해 성형 되어 상기 손목부(150)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와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함께 손등부(160)를 이루는 손등시트(120)와 상기 손등부(160)와 대응되도록 손목부(150)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에 그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110)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의 상면이 손등시트(120)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의 사이중 상기 손목부(150)에 에어캡(112)이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160)와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더해서, 상기 에어캡시트(110)는, 에어캡(112)의 모양이 사각형, 타원형, 반구형, 마름모 등의 모양을 더 포함해서 구성된다.
더불어, 랩시트(170)는 흡입롤러(200)에 의해 성형 되어 상기 손목부(150)에 손(10)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와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함께 손등부(160)를 이루 는 손등시트(120)와 상기 손등부(160)와 대응되도록 손목부(150)에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에 그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의 상면이 손등시트(120)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의 사이중 상기 손목부(150)에 에어캡(112)이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160)와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랩시트(170)를 일정하게 흡입하여 공기유입부(114)가 형성되도록 에어캡시트(110)를 성형하는 흡입롤러(200)와 상기 흡입롤러(200)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와, 그의 상면으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손등시트(120)를 압착하여 에어캡(112)이 형성된 손등부(160)를 이루도록 하는 히팅롤러(210)와, 상기 히팅롤러(210)에서 압착된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상기 랩장갑(100)의 손바닥면을 이루는 손바닥시트(140)가 밀착되어 밀착시트부(230)를 이루도록 하는 손바닥시트롤러(220)와, 상기 손바닥시트롤러(220)와 밀착된 상기 밀착시트부(230)가 펼친 손 모양으로 절단되고 상기 손등부(160)와 상기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어 랩장갑(100)의 형태로 되게 하는 성형프레스(240)와 상기 성형프레스(240)에서 성형 되고 상기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된 후 손(10)이 랩장갑(100)에 끼워지도록 랩장 갑(100)의 일단에 형성된 손목부(150)의 테두리를 커팅하여 상기 손목부(150)의 끝단이 개구되도록 하는 커터(250)와 상기 커터(250)에서 커팅된 상기 랩장갑(100)을 제외한 불필요한 랩시트(170)가 감겨 폐기되도록 된 권치롤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를 작동상태에 따라 설명하면,
도 1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장갑(100)은 복수 개의 랩시트(170)가 상호 접착되어 개구부(152)를 갖는 손목부(150)를 통해 인체의 손(10)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그 상태로 음식을 만들 때나 청소 등 위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망채(미도시)와 진공흡입관(미도시)을 갖는 흡입롤러(200)에 랩시트(170)중 에어캡시트(110)를 넣어 상기 진공흡입관에 의해 폴리염화랩수지(PVC)나 폴리염화랩리덴수지(PVDC) 또는 랩아세테이트공중합수지(EVA) 및 저밀도폴리에틸렌수지(LDPE) 등의 플라스틱의 소재로 된 상기 에어캡시트(110)에 일정하게 다수개의 공기흡입부(11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흡입부(114)는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일부가 물방울 모양의 구형으로 늘어난 형상이 되도록 하며, 이렇게 공기흡입부(114)가 형성된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히팅롤러(210)에 의해 손등시트(120)가 압착되어 물방울 모양의 상기 공기흡입부(114)가 밀폐되어 에어캡(112)이 되고, 이렇게 압착된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는 하나의 랩시트(170)인 손등부(160)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손등부(160)는 상기 에어캡(112)이 인체의 손(10)에서 손등에 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등시트(120)는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랩장갑(100)의 손등 방향으로 외면이 되게 된다.
더불어, 이렇게 압착된 상기 손등부(160)는 상기 에어캡(112)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랩장갑(100)중 손바닥면을 이루는 손바닥시트(140)가 손바닥시트롤러(220)에 의해 상호 밀착된 밀착시트부(230)을 이루고, 이렇게 밀착된 밀착시트부(230)는 밀착된 상태로 성형프레스(240)에 의해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되고, 이때 생긴 절단테두리(130)에 의해 각각의 절단테두리(130)가 압착되게 되며, 이렇게 절단 및 압착되도록 상기 성형프레스(240)에서 성형 된 밀착시트부(230)는 커터(250)에 의해 상기 손(10)이 끼워지도록 손목부(150)의 일단을 커팅하여 상기 손목부(150)의 일측에 개구부(152)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렇게 완성된 랩장갑(100)을 제외한 불필요한 랩시트(170)는 권치롤러(260)에 의해 권치 된 후 폐기된다.
또한, 망채(미도시)와 진공흡입관(미도시)을 갖는 흡입롤러(200)에 랩시트(170)중 에어캡시트(110)를 넣어 상기 진공흡입관에 의해 플라스틱의 소재로 된 상기 에어캡시트(110)중 손목부(150)가 될 곳에 다수개의 구형상의 공기흡입부(11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흡입부(114)는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일부가 물방울 모양의 구형으로 늘어난 형상이 되도록 하며, 이렇게 공기흡입부(114)가 형성된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히팅롤러(210)에 의해 손등시트(120)가 압착되어 물방울 모양의 상기 공기흡입부(114)가 밀폐되어 에어캡(112)이 되고, 이렇게 압착된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는 하나의 랩시트(170)인 손등부(160)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손등부(160)는 상기 에어캡(112)이 인체의 손(10)에서 손등에 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등시트(120)는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랩장갑(100)의 손등 방향으로 외면이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등부(160)와 대응되도록 손목부(150)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에 그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110)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가 구비되어 상기 손목부(150)에 구형상의 에어캡(112)이 형성된 랩장갑(100)이 된다.
한편, 망채(미도시)와 진공흡입관(미도시)을 갖는 흡입롤러(200)에 랩시트(170)중 에어캡시트(110)를 넣어 상기 진공흡입관에 의해 플라스틱의 소재로 된 상기 에어캡시트(110)중 손목부(150)가 될 곳에 다수개의 장공형상의 공기흡입부(11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흡입부(114)는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일부가 장공 형상으로 늘어난 형상이 되도록 하며, 이렇게 공기흡입부(114)가 형성된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히팅롤러(210)에 의해 손등시트(120)가 압착되어 장공형상의 상기 공기흡입부(114)가 밀폐되어 에어캡(112)이 되고, 이렇게 압착된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는 하나의 랩시트(170)인 손등부(160)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손등부(160)는 상기 에어캡(112)이 인체의 손(10)에서 손등에 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등시트(120)는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랩장갑(100)의 손등 방향으로 외면이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등부(160)와 대응되도록 손목부(150)에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에 그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110)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가 구비되어 상기 손목부(150)에 장공형상의 에어캡(112)이 형성된 랩장갑(100)이 된다.
또한, 상기 랩장갑(100)의 손등부(160)와 손목부(150)에 구비된 에어캡(112)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더욱더 조여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캡(112)은 사각형, 타원형, 반구형, 마름모 등 필요에 따라 또는 외관상으로 미려하게 보이기 위해 다양한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랩장갑(100)의 구성소재 중 하나인 랩 대신 비닐을 사용하여 비닐장갑을 제조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랩장갑 내부에 에어캡이 형성되어 그 에어캡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기 때문에 손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상기 에어캡의 일부가 손에 밀착되어 랩장갑의 일부가 흘러내리거나 벗겨지지 않아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며, 특 히, 랩장갑에 손을 넣는 손목부에 별도로 구형상의 다수개의 에어캡이 구비되고, 또는 손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상의 에어캡이 구비되어 상기 랩장갑을 손에 끼기가 용이하고 이렇게 끼워진 랩장갑은 손에 밀착되어 사용하는 동안 벗겨지지 않게 되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복수 개의 랩시트(170)가 상호 접착되어 개구부(152)를 갖는 손목부(150)를 통해 인체의 손(10)이 들어갈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랩장갑(100)에 있어서,
    상기 랩시트(170)는 흡입롤러(200)에 의해 성형 되어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와;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함께 손등부(160)를 이루는 손등시트(120)와;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의 상면이 손등시트(120)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의 사이에 에어캡(112)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160)와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장갑(100).
  2. 복수 개의 랩시트(170)가 상호 접착되어 개구부(152)를 갖는 손목부(150)를 통해 인체의 손(10)이 들어갈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랩장갑(100)에 있어서,
    상기 랩시트(170)는 흡입롤러(200)에 의해 성형 되어 상기 손목부(150)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와;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함께 손등부(160)를 이루는 손등시트(120)와;
    상기 손등부(160)와 대응되도록 손목부(150)에 구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에 그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에어캡시트(110)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의 상면이 손등시트(120)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의 사이중 상기 손목부(150)에 에어캡(112)이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160)와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장갑(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시트(110)는, 에어캡(112)의 모양이 사각형, 타원형, 반구형, 마름모 등의 모양을 더 포함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장갑(100).
  4. 복수 개의 랩시트(170)가 상호 접착되어 개구부(152)를 갖는 손목부(150)를 통해 인체의 손(10)이 들어갈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랩장갑(100)에 있어서,
    상기 랩시트(170)는 흡입롤러(200)에 의해 성형 되어 상기 손목부(150)에 손(10)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목부(150)를 조여주는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와;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의 상전면에 압착되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함께 손등부(160)를 이루는 손등시트(120)와;
    상기 손등부(160)와 대응되도록 손목부(150)에 장공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입부(114)를 갖는 에어캡시트(110)에 그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압착되며,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됨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는 손바닥시트(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에어캡시트(110)의 상면이 손등시트(120)의 하면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됨으로 인해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손등시트(120)의 사이중 상기 손목부(150)에 에어캡(112)이 형성되며, 상기 손등부(160)와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됨으로 인해 장갑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장갑(100).
  5. 복수 개의 랩시트(170)가 상호 접착되어 개구부(152)를 갖는 손목부(150)를 통해 인체의 손(10)이 들어갈 수 있는 랩장갑(100)을 제조하는 통상의 랩장갑(100)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랩시트(170)를 일정하게 흡입하여 공기유입부(114)가 형성되도록 에어캡시트(110)를 성형하는 흡입롤러(200)와;
    상기 흡입롤러(200)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구비된 상기 에어캡시트(110)와 그의 상면으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입부(114)가 밀폐되도록 손등시트(120)를 압착하여 에어캡(112)이 형성된 손등부(160)를 이루도록 하는 히팅롤러(210)와;
    상기 히팅롤러(210)에서 압착된 상기 손등부(160)의 하면에 상기 랩장갑(100)의 손바닥면을 이루는 손바닥시트(140)가 밀착되어 밀착시트부(230)를 이루도록 하는 손바닥시트롤러(220)와;
    상기 손바닥시트롤러(220)와 밀착된 상기 밀착시트부(230)가 펼친 손 모양으로 절단되고 상기 손등부(160)와 상기 손바닥시트(140)의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되어 랩장갑(100)의 형태로 되게 하는 성형프레스(240)와;
    상기 성형프레스(240)에서 성형 되고 상기 절단테두리(130)가 접착된 후 손(10)이 랩장갑(100)에 끼워지도록 상기 랩장갑(100)의 일단에 형성된 손목부(150)의 테두리를 커팅하여 상기 손목부(150)의 끝단이 개구되도록 하는 커 터(250)와;
    상기 커터(250)에서 커팅된 상기 랩장갑(100)을 제외한 불필요한 랩시트(170)가 감겨 폐기되도록 된 권치롤러(2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랩장갑(100) 제조장치.
KR2020070008031U 2007-05-16 2007-05-16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KR200436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031U KR200436709Y1 (ko) 2007-05-16 2007-05-16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031U KR200436709Y1 (ko) 2007-05-16 2007-05-16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709Y1 true KR200436709Y1 (ko) 2007-10-04

Family

ID=4162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031U KR200436709Y1 (ko) 2007-05-16 2007-05-16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7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283B2 (en) Hair washing shower ca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377020B1 (en) Ostomy bag waterproof cover and method
US20080034466A1 (en) Handwear item having a flexible impermeable liner
KR20050105117A (ko) 일회용 장갑 및 그 공급장치
WO2013075517A1 (zh) 抛弃式马桶卫生坐垫及其铺设方法
KR102005642B1 (ko) 미용 마스크 팩
KR200485337Y1 (ko) 미용 마스크 팩
KR200436709Y1 (ko) 랩장갑 및 랩장갑 제조장치
KR200485566Y1 (ko) 손목 밀폐형 비닐장갑
JP2004036060A (ja) 防水手袋
JP3092081U (ja) 通気性プラスチック手袋
KR200304325Y1 (ko) 부직포와 폴리에틸렌이 합지된 이중소재의 위생장갑
US20160037838A1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disposable glove
KR20170003788U (ko) 고무장갑용 속장갑
JP4146503B1 (ja) 汚物処理用手袋
JP3125564U (ja) フェースカバー
KR101698325B1 (ko) 마스크 팩 커버
EP2921096B1 (en) Disposable hand cover
CN214908390U (zh) 一种医用四肢创口清洗袋
TWI642414B (zh) 用於清潔口腔的清潔套
JP3083123U (ja) 浴用人体洗浄用ミトン
KR200215443Y1 (ko) 복합 기능 고무장갑
US20220088643A1 (en) Disposable hygenic cleaning mitt
JP3071320U (ja) 指ポケットを備えた洗顔用具。
CN205962973U (zh) 一种具有擦拭功能的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