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646Y1 -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646Y1
KR200436646Y1 KR2020060028271U KR20060028271U KR200436646Y1 KR 200436646 Y1 KR200436646 Y1 KR 200436646Y1 KR 2020060028271 U KR2020060028271 U KR 2020060028271U KR 20060028271 U KR20060028271 U KR 20060028271U KR 200436646 Y1 KR200436646 Y1 KR 200436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waste nutrient
filter
waste
fil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공인
김승희
이채식
강태경
황성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60028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6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는, 재배용 베드(300)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집수하는 집수탱크(110)와, 집수탱크(110)에 집수된 폐양액을 이송하기 위해 집수탱크(110)에 연결되는 폐양액 이송관(101)에 설치되는 폐양액 이송펌프(121)와, 폐양액 이송관(101)이 연결되는 입구(132) 및 출구(133)를 갖는 필터하우징(131)과 필터하우징(1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균필터(134)를 포함하고 폐양액 이송관(101)을 통해 이송되는 폐양액에 함유된 병원균을 제거하는 제균필터장치(130)와,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폐양액을 저장하기 위해 제균필터장치(130)의 출구(133)와 연결되는 저장탱크(160)와, 제균필터장치(130)와 저장탱크(1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균필터장치(130)에서 저장탱크(160)로 이동하는 폐양액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150)와, 제균필터(134)를 세척하기 위해 제균필터장치(130)의 입구(132)에 연결되는 세척수 공급관(106)과 제균필터장치(130)의 출구(133)에 연결되는 세척수 리턴관(107)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균필터(13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장치(170)를 포함한다.
수경재배, 폐양액, 필터, 제균, 살균

Description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drained nutrient solution of hydroponic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가 구비된 수경재배 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앵약 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제어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의 제균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의 자외선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폐양액 처리장치 110...집수탱크
101...폐양액 이송관 121...폐양액 이송펌프
130...제균필터장치 140...전처리 필터
150...자외선 살균장치 160...저장탱크
170...세척수 공급장치 171...보일러
172...세척수 순환펌프 180...제어장치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용 베드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회수하고 이 회수된 폐양액에 함유된 이물질과 병원균을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녹인 양액만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현재는 일반 작물뿐만 아니라 화훼 작물 또는 과수 등의 대형 작물도 이 방법으로 재배되고 있다. 수경재배에 이용되는 양액은 작물 각각의 표준적 생육을 도와주는 영양소와, 양액의 EC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제되며, 작물이 놓이는 재배용 베드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된다.
최근 농업선진국에서는 수경재배 방식이 비순환식에서 순환식으로 전환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첫째, 시설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수자원 및 토양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양액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고, 둘째, 순환식으로 재배하여도 작물의 수량이나 품질이 그다지 나빠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여기에서, 순환식 수경재배는 작물이 흡수하고 남은 양액이 양액탱크와 재배 용 베드 사이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15~40%에 이르는 잉여양액을 대부분 시설 밖으로 폐기하는 비순환식 수경재배에 비해 양액 배출에 의한 수자원과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물과 비료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경재배 면적이 최근 10년 사이에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수경재배방식에 있어서는 양액 배출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초기투자비용의 증가에 의한 경제적 부담 증가와, 작물별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의 미개발, 양액 재사용을 위한 양액 처리 및 관리기술 등 순환식 수경재배기술의 미확립으로 인해 일부 엽채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순환식으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비순환식 수경재배를 순환식 수경재배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커지고 있고, 이를 위해서 폐양액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폐양액의 처리에 있어서, 수경재배 특성상 양액 속에 병원균이 발생되면 토경재배에 비하여 뿌리와의 접촉기회가 많아 병원균의 확산이 빠르고 양액탱크를 경유해서 재배용 베드 전체에 만연되기 쉽기 때문에, 폐양액 속에 함유되는 이물질과 병원균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순환식 수경재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재배용 베드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회수하고, 회수된 폐양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병원균을 제거하여 폐양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는, 재배용 베드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집수하는 집수탱크와, 상기 집수탱크에 집수된 폐양액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집수탱크에 연결되는 폐양액 이송관에 설치되는 폐양액 이송펌프와, 상기 폐양액 이송관이 연결되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균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폐양액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폐양액에 함유된 병원균을 제거하는 제균필터장치와, 상기 제균필터장치를 통과한 폐양액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제균필터장치의 출구와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제균필터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균필터장치의 입구에 연결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제균필터장치의 출구에 연결되는 세척수 리턴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균필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장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고온의 세척수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세척수 순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는, 상기 제균필터장치와 상기 저장탱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균필터장치에서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하는 폐양액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균필터장치와 상기 저장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제균필터장치를 통과한 폐양액을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탱크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 유입관과 상기 집수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제균필터장치를 통과한 폐양액을 상기 집수탱크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폐양액 순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가 구비된 수경재배 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앵약 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제어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의 제균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의 자외선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는, 재배용 베드(300)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집수하는 집수탱크(110)와, 집수탱크(110)에 연결되는 폐양액 이송관(101)에 설치되는 폐양액 이송펌프(121)와, 폐양액 이송관(101)에 연결되어 폐양액에 함유된 병원균을 제거하는 제균필터장치(130)와,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폐양액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장치(150)와, 자외선 살균장치(150)를 통과한 폐양액을 저장하는 저장탱 크(160)와, 제균필터장치(130)를 세척하기 위해 제균필터장치(13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장치(170)와, 이들 구성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80)를 포함한다.
집수탱크(110)는 재배용 베드(300)로 공급된 양액 중에서 작물이 흡수하고 남은 폐양액을 집수한다. 작물이 놓이는 재배용 베드(300)에는 양액 공급탱크(210)와 연결되는 양액 공급관(220)이 연결되어 이 양액 공급관(220)을 통해 재배용 베드(300)로 양액이 공급되고, 작물이 흡수하지 못한 폐양액은 폐양액 회수관(250)을 통해 집수탱크(110)로 유입된다. 집수탱크(110)의 내부에는 집수되는 폐양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111)가 설치된다.
폐양액 이송펌프(121)는 집수탱크(110)에 연결된 폐양액 이송관(101)의 중간에 설치되어 집수탱크(110)에 집수된 폐양액을 저장탱크(160) 쪽으로 송출시킨다. 폐양액 이송펌프(121)의 하류에는 폐양액 이송펌프(121)와 함께 폐양액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폐양액 밸브(122)가 설치된다.
제균필터장치(130)는 제 1 폐양액 밸브(122)의 하류에 설치된다. 폐양액 이송관(101) 상의 제 1 폐양액 밸브(122)와 제균필터장치(130)의 사이에는 전처리 필터(140)가 설치되어 제균필터장치(130)로 이송되는 폐양액 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전처리 필터(140)는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약 5μm의 여과막을 구비한다. 전처리 필터(140)와 제균필터장치(130)의 사이에는 전처리 필터(140)를 통과한 폐양액의 유동압을 계측하기 위한 제 1 압력계(127)가 설치된다.
제균필터장치(130)는 폐양액 이송관(101)과 연결되는 입구(132) 및 출 구(133)를 갖는 필터하우징(131)과, 필터하우징(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폐양액 속에 함유된 병원균을 걸러내는 제균필터(134)를 포함한다. 제균필터(134)로는 중공사막방식의 정밀여과(MF, Micro Filtration)필터와, 한외여과(UF, Ultra Filtration)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폐양액 이송관(101)을 통해 필터하우징(131)의 입구(132)로 유입된 폐양액은 제균필터(134)를 통과하면서 병원균을 비롯한 이물질이 제거된 후 필터하우징(131)의 출구(133)로 배출된다. 필터하우징(131)의 출구(133)에는 자외선 살균장치(150)와 연결되는 연결관(102)이 연결되어 필터하우징(131)의 출구(133)로 배출된 폐양액은 자외선 살균장치(150)로 이송된다. 연결관(102)에는 제 2 폐양액 밸브(123)와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폐양액의 유동압을 계측하기 위한 제 2 압력계(128)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균필터(134)를 거치면서 여과되지 못한 폐양액은 필터하우징(1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회수구에는 후술하게 될 세척수 리턴관(107)이 연결되고 이 세척수 연결관(102)에는 집수탱크(110)와 연결되는 폐양액 순환관(105)이 연결되어서, 필터하우징(131)의 회수구를 통해 배출된 폐양액은 폐양액 순환관(105)을 통해 집수탱크(110)로 유입된다. 폐양액 순환관(105)에는 제 3 폐양액 밸브(124)가 설치된다.
자외선 살균장치(150)는 입구(152) 및 출구(153)를 갖는 램프하우징(151)과, 램프하우징(15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154)를 포함한다.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후 연결관(102)을 통해 이송되는 폐양액은 램프하우징(151)의 입구(152)를 통해 램프하우징(151)의 내부로 유입된 후 램프하우징(151)의 출 구(153)를 통해 배출된다. 폐양액이 램프하우징(151)을 통과할 때 자외선 램프(154)는 램프하우징(151)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폐양액을 살균한다.
저장탱크(160)는 자외선 살균장치(150)의 출구(153)와 연결되는 탱크 유입관(103)과 연결되어 자외선 살균장치(150)를 통과한 폐양액이 유입된다. 탱크 유입관(103)에는 제 4 폐양액 밸브(125)가 설치되고, 탱크 유입관(103) 상의 제 4 폐양액 밸브(125)의 상류에는 집수탱크(110)로 연결되는 폐양액 순환관(105)이 연결된다. 폐양액 순환관(105)은 자외선 살균장치(150)를 통과한 폐양액을 집수탱크(110)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것으로, 폐양액 순환관(105)에는 제 5 폐양액 밸브(126)가 설치된다. 저장탱크(160)의 내부에는 저장탱크(160)로 유입되는 폐양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160)가 설치된다.
세척수 공급장치(170)는 제균필터장치(130)의 제균필터(134)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세척수를 제균필터장치(130)의 입구(132)를 안내하기 위해 폐양액 이송관에 연결되는 세척수 공급관(106)과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세척수를 안내하기 위해 제균필터장치(130)의 출구(133)에 연결되는 세척수 리턴관(107)의 사이에 설치된다. 세척수 공급장치(170)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71)와, 보일러(171)에서 가열된 세척수를 제균필터장치(130)로 송출시키기 위해 세척수 공급관(106)에 설치되는 세척수 순환펌프(172)를 포함한다. 세척수 공급관(106)에는 제 1 세척수 밸브(173)가 설치되고, 세척수 리턴관(107)에는 제 2 세척수 밸브(174)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세척수 밸브(173)(174)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척수 순환펌 프(172)가 작동되면 보일러(171)에서 가열된 고온의 세척수가 전처리 필터(140)를 통과한 후 제균필터장치(130)의 입구(132)를 통해 필터하우징(131)의 내부로 유입된다. 필터하우징(131)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세척수는 제균필터(134)를 통과하여 제균필터(134)를 세척한 후 제균필터장치(130)의 출구(133)로 배출되어 세척수 리턴관(107)을 따라 다시 보일러(17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고온의 세척수과 순환되는 과정에서 전처리 필터(140)의 여과막과 제균필터장치(130)의 제균필터(134)에 달라붙어 있던 이물질과 병원균이 제거된다.
제어장치(180)는 폐양액의 이송, 세척수 공급장치(170)의 작동 등 폐양액 처리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18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집수탱크(110) 및 저장탱크(160)의 각 수위센서(111)(161)와 제 1 및 제 2 압력계(127)(128)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폐양액 이송펌프(121) 및 세척수 순환펌프(172), 제 1 내지 제 5 폐양액 밸브(122)(123)(124)(125)(126)와, 제 1 및 제 2 세척수 밸브(173)(174)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액 밸브(2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액 공급펌프(230)가 작동되면 양액 공급탱크(210)에 저장된 양액이 양액 공급관(220)을 통해 각 재배용 베드(300)로 공급된다. 재배용 베드(300)로 공급된 양액 중에서 작물이 흡수하고 남은 양액은 폐양액 회수관(250)을 통해 집수탱크(110)로 집수된다.
집수탱크(110) 및 저장탱크(160)의 수위가 정상인 경우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내지 제 4 폐양액 밸브(122)(123)(124)(125)는 개방되고, 제 5 폐양액 밸브(126)와, 제 1 및 제 2 세척수 밸브(173)(174)는 닫힌다. 그리고, 폐양액 이송펌프(121)가 작동되어 집수탱크(110)의 폐양액이 폐양액 이송관(101)을 통해 이송된다. 폐양액 이송관(101)을 통해 이송되는 폐양액은 전처리 필터(14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제균필터장치(130)로 유입된다.
제균필터장치(130)로 유입된 폐양액은 필터하우징(131) 내부의 제균필터(134)를 통과하면서 이에 함유된 병원균이 제거되고, 병원균이 제거된 폐양액은 연결관(102)을 따라 자외선 살균장치(150)로 이송된다. 그리고, 병원균이 제거되지 않은 폐양액은 폐양액 리턴관(104)을 통해 다시 집수탱크(110)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자외선 살균장치(150)를 통과한 폐양액은 살균처리된 후 탱크 유입관(103)을 통해 저장탱크(160)로 유입되어 새로운 양액으로 재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저장된다.
한편, 저장탱크(16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센서(161)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장치(18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180)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4 폐양액 밸브(125)를 닫고 제 5 폐양액 밸브(126)를 개방한다. 따라서, 자외선 살균장치(150)를 통과한 폐양액은 저장탱크(160)로 유입되지 않고 폐양액 순환관(105)을 따라 집수탱크(110)로 유입된다.
한편, 전처리 필터(140)의 여과막에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 집진되면 전처리 필터(140)의 유동 저항이 커져서 전처리 필터(140)를 통과한 폐양액의 유동압이 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균필터장치(130)의 제균필터(134)에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 집진되면 제균필터(134)의 유동 저항이 커져서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폐양액의 유동압이 떨어진다. 이때, 제어장치(180)는 제 1 압력계(127) 및 제 2 압력계(128)에서 계측된 폐양액의 유동압을 통해 전처리 필터(140) 또는 제균필터장치(130)에 대한 세척 시점을 결정한다.
전처리 필터(140) 또는 제균필터장치(130)에 대한 세척 작업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180)는 자외선 살균장치(150)를 끄고 제 1 내지 제 5 폐양액 밸브(122)(123)(124)(125)(126)를 닫고, 제 1 및 제 2 세척수 밸브(173)(174)를 개방함과 동시에 세척수 순환펌프(172)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폐양액의 이송은 정지되고, 보일러(171)에서 가열된 고온의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106)을 통해 전처리 필터(140) 및 제균필터장치(130)로 공급된다. 이렇게 전처리 필터(140) 및 제균필터장치(130)를 통과한 세척수는 전처리 필터(140)의 여과막 및 제균필터장치(130)의 제균필터(134)를 세척한 후 세척수 리턴관(107)을 통해 회수된다.
이렇게 전처리 필터(140)의 여과막 또는 제균필터장치(130)의 제균필터(134)를 고온의 세척수로 세척함으로써 전처리 필터(140) 및 제균필터장치(13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수 공급장치(170)의 작동은 제어장치(180)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재배용 베드로 공급되어 작물이 흡수하 고 남은 폐양액을 회수하여 이에 함유된 이물질과 병원균을 제거함으로써 폐양액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폐양액의 배출을 막아 수자원과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물과 비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순환식 수경재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5)

  1. 재배용 베드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 베드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집수하는 집수탱크와,
    상기 집수탱크에 집수된 폐양액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집수탱크에 연결되는 폐양액 이송관에 설치되는 폐양액 이송펌프와,
    상기 폐양액 이송관이 연결되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균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폐양액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폐양액에 함유된 병원균을 제거하는 제균필터장치와,
    상기 제균필터장치를 통과한 폐양액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제균필터장치의 출구와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제균필터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균필터장치의 입구에 연결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제균필터장치의 출구에 연결되는 세척수 리턴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균필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장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고온의 세척수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세척수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필터장치와 상기 저장탱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균필터장치에서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하는 폐양액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필터장치와 상기 저장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제균필터장치를 통과한 폐양액을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탱크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유입관과 상기 집수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제균필터장치를 통과한 폐양액을 상기 집수탱크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폐양액 순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KR2020060028271U 2006-10-23 2006-10-23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KR200436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71U KR200436646Y1 (ko) 2006-10-23 2006-10-23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71U KR200436646Y1 (ko) 2006-10-23 2006-10-23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646Y1 true KR200436646Y1 (ko) 2007-09-27

Family

ID=4162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271U KR200436646Y1 (ko) 2006-10-23 2006-10-23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64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202B1 (ko) * 2009-04-09 2011-07-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폐양액의 농업용수로의 재이용 방법
KR20130071010A (ko) * 2011-12-20 2013-06-28 코웨이 주식회사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KR20160118494A (ko) * 2015-04-02 2016-10-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순환형 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54080B1 (ko) * 2018-12-18 2020-01-22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20220049831A (ko) * 2020-10-15 2022-04-22 한국기계연구원 녹조 방지 양액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4707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대홍전기 수경재배용 배액 살균 및 양액 조절 공급 시스템
KR20230167211A (ko) 2022-05-30 2023-12-08 백인구 순환식 재활용 폐양액 살균 처리시스템
KR102626875B1 (ko) 2023-02-23 2024-01-19 주식회사 대홍전기 수경재배용 배액살균 및 양액공급 제어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202B1 (ko) * 2009-04-09 2011-07-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폐양액의 농업용수로의 재이용 방법
KR20130071010A (ko) * 2011-12-20 2013-06-28 코웨이 주식회사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KR20160118494A (ko) * 2015-04-02 2016-10-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순환형 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071B1 (ko) * 2015-04-02 2017-04-04 대한민국 순환형 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54080B1 (ko) * 2018-12-18 2020-01-22 주식회사 송백이엔에스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20220049831A (ko) * 2020-10-15 2022-04-22 한국기계연구원 녹조 방지 양액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527492B1 (ko) * 2020-10-15 2023-05-03 한국기계연구원 녹조 방지 양액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4707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대홍전기 수경재배용 배액 살균 및 양액 조절 공급 시스템
KR20230167211A (ko) 2022-05-30 2023-12-08 백인구 순환식 재활용 폐양액 살균 처리시스템
KR102626875B1 (ko) 2023-02-23 2024-01-19 주식회사 대홍전기 수경재배용 배액살균 및 양액공급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646Y1 (ko) 수경재배용 폐양액 처리장치
KR101339204B1 (ko)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순환식 수경재배 방법
KR101317699B1 (ko) 폐양액 재처리장치
JP6673922B2 (ja) 食品及び/又は食品を収容する容器を処理する方法並びに装置
KR102232881B1 (ko) 순환식 수경재배의 배액 재활용 시스템
CN108380053A (zh) 一种环保养殖用水处理装置和方法
KR101714025B1 (ko) 식물공장용 고효율 양액재순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물공장
KR101797212B1 (ko) 폐양액 재순환 시스템
JP2011078332A (ja) 排培養液の回収装置、排培養液の回収方法および水耕栽培装置
KR100902492B1 (ko) 가시광 응답형 산화티탄 광 촉매에 의한 수경재배의 배양액재이용 살균 및 정화 장치
JP5219083B2 (ja) 遺伝子組換え植物の養液栽培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775845B1 (ko)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폐양액 살균처리 방법
KR102098855B1 (ko) 변색 양액 재처리 시스템
JP2004009032A (ja) 純水の製造方法および養液栽培方法と装置
KR20200129418A (ko) 순환식 양액 재이용 시스템
CN208612198U (zh) 一种环保养殖用水处理装置
KR101578925B1 (ko)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CN208279451U (zh) 一种多功能自动净水系统
KR101547300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JP2017143779A (ja) 栽培システム及び栽培方法
EP4008174A1 (en) Aquaponic system
JP2001299116A (ja) 養液栽培方法
KR20170027905A (ko) 배액 재활용 시스템
EP400817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quaponic system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