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604Y1 -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 Google Patents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604Y1
KR200436604Y1 KR2020060028308U KR20060028308U KR200436604Y1 KR 200436604 Y1 KR200436604 Y1 KR 200436604Y1 KR 2020060028308 U KR2020060028308 U KR 2020060028308U KR 20060028308 U KR20060028308 U KR 20060028308U KR 200436604 Y1 KR200436604 Y1 KR 200436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larvae
vessel
beetle
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곤
Original Assignee
김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곤 filed Critical 김하곤
Priority to KR2020060028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60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30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30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 A01K67/34Insects
    • A01K67/35Silk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

Description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장치{The breeding and observation(larva to adult) cage for beetles}
도 1은 본 고안의 관찰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관찰장치에 씌우는 암막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관찰장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관찰장치 덮개의 측면 및 정면
4a는 덮개 측면도 4b는 덮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관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찰용기 2. 유충성장부(번데기방형성부)
3. 관찰용기의 빛을 차단하기위한 암막장치 4. 덮개
5. 발효톱밥(유충먹이) 6. 유충
7. 번데기방 8. 번데기(용)
9. 받침 10. 칸막이
11. 찍찍이(체결구) 12. 관찰구
13. 관찰도어 14. 통기구
15. 경첩 또는 회전 찍찍이 a. 제1절곡부
b. 제2절곡부 c.제3절곡부
d. 제1수평면 e. 덮개상부면
본 고안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찰장치 용기의 폭은 3령 유충의 체폭에 0.5~1.0㎝ 정도로 투명한 재질의 직사각형으로 제작하여 관찰용기 내에 발효톱밥을 담고 발효톱밥 내에 유충을 넣은 후 관찰용기의 덮개를 덮고 암막장치로 관찰용기의 빛이 차단되도록 덮은 후, 관찰하고자 할 때 유충에서부터 성충이 되는 변태과정을 관찰하는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애벌레→번데기→성충으로 변태되는 과정을 보려면 부엽토를 파보거나 나무를 쪼개보아야만 하는데 이 과정 중에 상처를 입거나 사망하는 개체가 발생하며, 또한 애벌레로 구입을 한다고 해도 애벌레가 번데기방을 만들고 번데기방 속에서 탈피를 하여 번데기가 되고 번데기가 다시 탈피를 하여 성충으로 되므로 연속으로 변태과정을 관찰하려면 번데기 방을 깨뜨려야만 관찰을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중에 번데기 방을 깨트리면 곤충이 죽어 연속적인 변태과정을 관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장수풍뎅이아 과(Dynastinae)에 속하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하고, 체장은 35-55㎜이며 체색은 적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수컷은 광택이 있고, 머리에는 대형의 각상돌기(角狀突起)가 있고, 성충은 6월 하순 - 8월 상순까지 출현하며 유충은 부식토에서 살며 살아있는 식물은 해를 가하지 않는다. 성충은 한여름에 참나무나 밤나무 등의 진에 모이며 야행성으로 불빛에 날아오고, 유충은 겨울을 난 후 5월 하순~ 6월에 번데기가 된다.
사슴벌레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는 사슴벌레(Lucanus maculifemoratus), 넓적사슴벌레(Serrognathus platymelus), 애사슴벌레(Macrodorcas recta), 홍다리사슴벌레(Nippondorcus rubeofemoratus), 톱사슴벌레(Prosopocoilus inclinatus), 왕사슴벌레(Dorcus hopei), 다우리아사슴벌레(Prismognathus dauricus), 두점박이사슴벌레(Metopodontus blanchardi) 등이 서식하고 있고 교육 및 애완용으로 사육된다.
하늘소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하늘소과(Cerambycidae)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20,000여 종이 살고 있으며 해마다 많은 신종이 기록되고 있으며, 산림에서 주요해충이다.
근래에 들어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 하늘소 등 곤충은 애완 및 교육용으로 그 수효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향후 더욱더 큰 시장이 형성되리라고 예측된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곤충은 주로 성충상태로 판매되어 성충이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나 교육적인 효과가 떨어지고, 애벌레로 구입을 한다고 해도 애벌레가 번데기방을 만들고 번데기방 속에서 탈피를 하여 번데기가 되고 번데기가 다시 탈피 를 하여 성충으로 되므로 연속과정을 관찰하려면 번데기 방을 깨뜨려야만 관찰을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중에 곤충이 죽어 연속적인 탈피과정을 관찰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안된 관찰장치를 활용하면 애벌레는 물론이고 애벌레가 번데기방을 만들고 번데기 방에서 번데기가 된 후 성충으로 변해가는 연속과정을 곤충에게 전혀 해를 주지 않고 관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벌레(유충), 번데기, 성충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관찰장치를 제공하여 유충에서 성충으로 변해가는 연속과정을 곤충에게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관찰할 수 있으며, 특히 번데기방속에 있는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하고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태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곤충학습에 교육적인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애벌레를 채집 또는 구입하여 애벌레는 발효톱밥으로 습도가 적절히 맞추어진 관찰용기의 유충성장부에서 사육한다.
또, 관찰용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번데기가 되도록 하고, 번데기 가 다시 성충이 되도록 유도한다.
또, 장수풍뎅이를 제외한 사슴벌레와 하늘소 유충은 사육용기에 1마리씩 넣거나, 칸막이가 설치된 또 다른 관찰용기에 1마리씩 넣어 관찰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장수풍뎅이를 예로 들어 보다 효과적인 관찰장치를 얻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 1-10〉 유충채집 및 우화 시험
장수풍뎅이 형태 측정은 11월에 3령 유충을 2000마리를 채집하여 참나무발효톱밥을 넣은 40 x 30 x 20㎝인 플라스틱 통에서 25마리씩 10회 반목으로 사육하여 우화시켰다.
발육조건은 30℃, 장일조건(16Light: 8Dark), 발효톱밥의 수분함량 70% 내외로 하였다.
〈시험구 11-50〉 형태 특징 시험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은 각각 10개씩 10회 반복으로 처리하였다
〈시험구 11-20〉 알
산란 당일에 알을 채집하여 길이와 폭, 무게를 측정하고, 사육장치에 넣어 사육하면서 부화 직전에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시험구 21-30〉 애벌레
1~3령 유충은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전기는 탈피한 다음날, 후기는 탈피 1~2일 전에 체장, 체폭, 두폭,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험구 31-40〉 번데기
전용기 초기는 용실(번데기방)을 만든 다음날 용실을 깨트려 측정하였으며, 후기는 우화직전에 체장, 체폭,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험구 41-50〉성충
우화 직후 체장, 체폭,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험구 51-60〉 산란수 시험
우화한 성충은 18 x 12 x 14㎝의 플라스틱 통에 1쌍씩 넣어 50회 반복으로 산란 시켰으며 성충의 먹이는 바나나를 사용하였다
산란은 30℃, 장일조건(16Light: 8Dark), 발효톱밥의 수분함량 70% 내외로 하여 산란 받았다.
〈시험구 61-70〉 부화기간과 부화율 시험
부화기간과 부화율시험은 25℃와 30℃, 장일조건(16Light: 8Dark), 발효톱밥의 수분함량 70% 내외로 하여 실험하였다.
〈시험구 71-80〉 유충의 발육기간 시험
1, 2, 3령 유충의 발육기간 시험은 25℃와 30℃, 장일조건(16Light: 8Dark), 발효톱밥의 수분함량 70% 내외로 하여 조사하였다.
〈시험구 81-90〉 전용기간과 용기간 시험
전용기간과 용기간 실험은 25℃와 30℃, 장일조건(16Light: 8Dark), 발효톱밥의 수분함량 70% 내외로 하여 조사하였다.
〈시험구 91-100〉 3령 유충의 성장 시험
3령 유충의 성을 감별하기 위하여 월동 후 4월에 장수풍뎅이 유충이 서식하 는 한곳을 택하여 모든 개체(800마리)를 채집하고 유충의 무게를 측정하여 도수분포표를 만들고 평균을 구하여 평균치를 기준으로 대(21g 이상), 소(20g 이하)로 나누어 30℃에서 각각 50마리씩 3회 반복으로 우화시켜 성비를 조사하였다.
3령 유충의 복부 끝 2번 째 마디에 V자 형태(Fig. 4)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관찰되어 21g 이상과 20g 이하로 나누어 V자의 유무를 확인하고, V자의 유무로 나누어 각각 50마리씩 3반복으로 30℃에서 사육하여 성비를 조사하였다.
〈시험구 101-110〉 수분함량이 산란에 미치는 영향시험
장수풍뎅이의 산란은 유충이 섭식할 수 있는 부엽토의 수분함량에 따라 산란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참나무 발효톱밥의 수분함량(30~85%)을 달리하여 직경 9㎝ x 높이 12㎝의 플라스틱 통에 7~10일간 산란을 억제시켰던 장수풍뎅이 암컷을 1마리씩 넣고 5마리를 한 조로하여 3회 반복으로 24시간 후에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1. 형태적 특징
산란 직후 알의 길이와 폭은 각각 3.4㎜, 2.5㎜(표 1)이고 마치 쌀알 모양이며, 부화가 진행됨에 따라 연한 황색으로 바뀐다.
발육이 진행됨에 따라 길이와 폭이 각각 4.5㎜, 3.9㎜로 장경이 31%, 단경이 53% 증가하여 장경보다는 단경의 증가율이 커서 부화 직전에는 거의 구형에 가깝게 된다.
장수풍뎅이는 산란 시 주변의 부엽토에 분비물을 분비하여 알집을 만들고 그 속에 산란하는데 이는 알집의 보습효과가 알의 부화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여 진다.
실내에서 사육한 유충은 두폭이 1, 2, 3령이 각각 3.1㎜, 5.8㎜, 11.3㎜로 뚜렷하게 차이가 있어 령기의 구분에 어려움이 없다. 두폭의 변이계수는 4~6%로 안정되어있으며, 무게의 변이계수는 3령 후기에서 22%로 가장 크며 두폭 증가율이 각각 90%, 94%였다.
성숙한 3령충은 주위의 부엽토에 분비물을 분비하여 계란 모양의 용실을 만들고, 몸이 쭈글쭈글해지고 체내 이물질을 모두 배설한다. 특히 미단(尾端)은 투명해지고 얇아져 작은 충격으로도 체액이 체외로 흘러나오고, 체액이 흘러나온 개체는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죽는다.
암컷 성충의 체장과 체폭은 44.5㎜와 21.6㎜이고 수컷은 45.5㎜, 23.0㎜수컷이 암컷이 비하여 크다.
2. 산란수
장수풍뎅이의 실내에서 산란수는 암컷 1마리당 1일 평균 산란수가 2.77개였으며, 총 산란수 평균은 23.7개였고, 암컷 한 마리당 최대 52개까지 산란하는 개체도 발견되었으며, 하루에 최고 10개까지 산란하는 개체도 있었다(표 2). 산란기간은 평균 14일 이었고 50% 산란일은 8일이었다.
3. 부화기간과 부화율
부화기간은 25℃와 30℃에서 사육한 결과 온도에 따라 16.2일, 12.1일이었다. 부화율은 34.5%, 42.4%로 30℃에서 높았으며, 25℃보다 30℃에서 부화기간이 약 4일 짧았다.
4. 유충의 발육기간
유충기간은 25℃와 30℃에서 각각 1령이 15.1일과 13.4일, 2령이 19.9일과 17.9일, 3령이 63.3일과 60.1일로 모두 사육온도가 25℃보다 30℃에서 2~3일 짧았다.
5. 전용(전번데기)기간과 용(번데기)기간
전용기간이 25℃와 30℃에 각각 11.8일과 7.9일로 30℃에서 5일 짧았고, 용기간은 15.0일과 12.2일로 30℃에서 약 3일 짧았다.
6. 성숙한 3령 유충의 성장
월동 후 4월에 장수풍뎅이 유충이 서식하는 한 곳을 택하여 모든 개체를 채집하고 유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20.3g을 평균으로 도수분포표가 만들어졌다(그림 1). 평균치를 기준으로 21g 이상과 20g 이하로 나누어 복부 9번째(끝에서 2번째) 마디에 나타나는 V자 형태의 무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1g 이상에서는 97%의 개체가, 20g 이하에서는 20%의 개체에 존재하였다(그림 2).
V자 형태 무늬의 유무에 따라 각각 200마리씩을 취하여 30℃에서 우화시켜 성비를 확인한 결과 95±3%의 범위에서 V자가 있는 것은 수컷으로, V자가 없는 것은 암컷으로 확인되었다(그림 3).
3% 범위의 오차는 유충에 따라 V자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은 개체들인 것에 기인한 오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20g 이하에서 V자형태가 나타난 개체들은 서식지의 환경이 불리하여 제대로 크지 못한 개체들로 보여 지며, 3령 유충에서 성의 감별은 크기 즉, 무게나, 복부 끝 2번째 마디의 V자 형태의 유무로 통계상 유의성이 있는 확인이 가능하였다.
7. 수분함량이 산란에 미치는 영향
발효톱밥의 수분함량에 따른 장수풍뎅이의 산란은 과습하거나 과건한 상태에서는 뚜렷이 산란수가 감소하였다(표 6).
수분함량 70%에서 5.8개로 가장 많이 산란하였다.
70%보다 낮거나 높으면 산란수가 적어져 최적 산란습도는 70% 내외로 보여 지며, 과건이나 과습이 산란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시험 결과 인공사육 시 최적의 습도는 70% 내외에서 산란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 1. 장수풍뎅이의 발육단계별 체장, 체폭, 체중 측정치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1
표 2. 장수풍뎅이의 산란수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2
표 3. 장수풍뎅이 알의 부화기간과 부화율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3
표 4. 유충의 발육기간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4
표 5. 전용기간과 용기간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5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6
표 6. 발효톱밥의 수분함량별 산란수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7
Figure 112006508322437-utm00008
결론
상기 과정을 통하여 장수풍뎅이 성충은 평균 23.7개의 알을 산란하며, 부화기간은 온도에 따라 25℃에서는 16.2일, 30℃에서는 12.1일 이었고 부화율도 30℃에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장수풍뎅이 유충은 부엽토(활엽수종이 썩은 유기물)를 먹고 자라며, 2회 탈피 후 번데기가 되며 유충의 발육기간도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아 사육온도가 30℃ 내외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성숙한 3령 유충은 주위의 부엽토를 활용하여 계란모양의 번데기 방을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는데 25℃와 30℃에서 각각 전용(전번데기)기간은 11.8일과 7.9일, 용(번데기)기간은 15.0일과 12.2일로 역시 30℃에서 짧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성숙한 장수풍뎅이 3령 유충은 생육지의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크기가 큰 개체(예 21g 이상)는 수컷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크기가 작은 개체(예 20g 이하)는 암컷일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또한 크기가 큰 개체는 복부 9번째 마디(끝에서 2번째 마디)에 V자 표시가 있었으며, 크기가 작은 개체는 없었다.
또, 장수풍뎅이 성충은 부엽토의 수분함량이 건조하거나 과습한 상태에서는 산란수가 감소하여 유충을 사육하는 최적의 수분함량은 70% 내외이고, 사육 최적 온도는 30℃ 내외임을 알게 되었다.
본 출원의 고안인은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에 근거하여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하는 관찰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연속적인 변태과정을 연속적으로 볼 수 있도록 관찰용기(1), 유충성장부(2), 덮개(4), 암막장치(3), 관찰도어(13)로 형성된 관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기는 폭이 3령 유충의 체폭(몸통의 폭) 보다 0.5~1.0cm 크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찰용기의 저부 양측에는 상기 관찰용기(1)가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관찰용기의 폭보다 크게 받침(9)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충성장부는 상기 관찰용기 내에 위치되어 있고 유충의 먹이가 되는 발효톱밥이 저장되고 번데기방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관찰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것으로 덮개 상부면의(e) 4면의 측면 끝부분에서 아래로 절곡된 제1절곡부(a)를 가지며, 상기 제1절곡부에서 상기 덮개상부면(e)과 평행하게 가운데 부분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b)를 가지며, 다시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관찰용기 아래로 절곡된 제3절곡부(c)를 가지며, 상기 제3절곡부에서 타측면들에서 동일하게 절곡되어진 부분과 서로 연결되어 제1수평면(d)이 형성되어지며, 상부에는 5~7개의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암막장치는 상기 관찰용기가 삽입되고 상기 관찰용기와 동일한 모형으로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고, 전면에 일정크기의 투명한 관찰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찰구 일측에 경첩 또는 회전 찍찍이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찍찍이(체결구)가 부착되어 상기 관찰용기에 투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상기 관찰도어는 상기 암막장치 전면에 형성된 투명한 상기 관찰구의 크기와 동일하고, 일측에 접이 및 개폐가 가능한 경첩 또는 찍찍이가 부착되며, 타측은 찍찍이가 부착되어져 상기 암막장치의 경첩 또는 찍찍이 부분과 결합되어지며, 상기 암막장치와 같이 상기 관찰용기 내부로 투사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변태관찰장치를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찰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관찰용기의 빛을 차단하는 암막장치 사시도이고, 도3은 덮개가 결합된 관찰용기의 측면도이고, 도4는 덮개의 측면(도4a) 및 정면도(도4b)이고, 도5는 관찰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상기 관찰용기(1)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된 직사각형용기로서 저부에는 상기 관찰용기(1)가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관찰용기의 폭보다 크게 받침(9)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관찰용기의 높이와 세로길이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운반이 용이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정도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높이 20~50㎝, 세로 20~30㎝의 크기로 하며, 상기 관찰용기의 폭은 상기 관찰용기 내에서 사육되는 3령기 유충(6)의 체폭(체폭은 3령 유충의 몸통의 폭을 말하고, 표1에 기재되어 있는 3령 유충의 후기의 체폭)에 비례하여 0.5~1.0㎝ 크게 만든다.
본 고안의 상기 관찰용기 안에 형성된 유충성장부(2)는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상기 유충(6)이 생활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고안의 상기 유충성장부에 채워지는 발효톱밥(5)은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는 포플러나 참나무로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충은 야행성이며 특히 장수풍뎅이는 야간에 상기 유충성장부(2)의 상부로 올라와 배변을 하고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충성장부(2)의 상기 발효톱밥의 높이는 상기 관찰용기 높이보다 5㎝ 정도 낮게 채워 상기 유충이 밖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고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관찰용기의 개방부분을 막는 덮개(4)는 상기 개방된 관찰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상부면(e) 4면의 측면 끝부분에서 아래로 절곡된 제1절곡부(a)를 가지며, 상기 제1절곡부에서 상기 덮개상부면(e)과 평행하게 가운데 부분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b)를 가지며, 다시 상기 제2절곡부에서 관찰용기 아래로 절곡된 제3절곡부(c)를 가지며, 상기 제3절곡부에서 타측면들에서 동일하게 절곡되어진 부분과 서로 연결되어 제1수평면(d)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덮개의 상부에는 5~7개의 통기구(14)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관찰용기 안으로 들어가는 빛을 차단하는 상기 암막장치(3)는 상기 직사각형의 관찰용기가 삽입되는 정도의 동일한 모형의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고 전면에 일정크기의 투명한 관찰구(11)를 형성하고, 상기 관찰구 일측에 경첩(15) 또는 찍찍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찍찍이(11)가 부착되어 상기 관찰용기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암막장치와; 상기 암막장치 전면에 형성된 투명한 관찰구의 크기와 동일하고, 일측에 접이 및 개폐가 가능한 경첩 또는 찍찍이가 부착되며, 타측은 찍찍이가 부착되어져 상기 암막장치와 결합되어지며, 상기 암막장치와 같이 빛이 차단되도록 제작되는 관찰도어로(13)로 이루어 진다.
상기 본 고안의 관찰장치를 이용하여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변태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하는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기 관찰용기(1) 내부의 유충성장부(2)에 포플러나 참나무로 발효시킨 상기 발효톱밥을 촉촉하게 하여 상기 관찰용기의 상부면에서 5㎝ 아래 까지 채우고, 상기 발효톱밥 속에 상기 유충(6)을 넣은 후에 상기 덮개(4)로 상기 관찰용기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유충들은 야행성이고, 조명이 있을 때에는 숨어 지내므로 상기 관찰용기 내부로 빛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암막장치(3)로 덮어 씌우고, 관찰하고자 할 때 상기 암막장치를 상기 관찰용기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암막장치 전면에 형성된 관찰도어를 열어 상기 관찰구로 상기 관찰용기 내부를 관찰한다.
이와 같이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변태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상기 3령기 유충(6)의 체폭에 비례하여 0.5~1.0㎝정도 크기로 제작되어진 상기 관찰용기 내부에서 유충이 성장하여 상기 유충성장부에 번데기방(7)을 만드는데 이때 상기 번데기방이 상기 관찰용기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지므로 상기 관찰용기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번데기방을 만들지 못하게 되어 상기 관찰용기 외부에서 상기 번데기방(7) 내부의 유충이 번데기(8)가 되어 변태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찰용기 외부에서 상기 관찰구를 통해서 변태과정을 살펴보면 매일 매일 변태과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교육에 효과적이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장수풍뎅이 유충은 여러 마리를 함께 넣어도 서로 물지 않으나, 사슴벌레나 하늘소는 여러 마리를 한곳에 넣어두면 본능적으로 서로 무는 습성이 있다. 이로 인해 물린 유충은 사망하므로 한 공간에 한 마리씩 사육하는 것이 안전하므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찰용기의 중간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연속적인 변태과정을 연속적으로 볼 수 있고, 특히 번데기방의 유충이 번데기가 되어 성충이되는 과정을 볼 수 있어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유치원과 초등학생용 곤충 생태학습에 활용되어 교육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하늘소류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연속적인 변태과정을 연속적으로 볼 수 있도록 관찰용기(1), 유충성장부(2), 덮개(4), 암막장치(3), 관찰도어(13)로 형성된 관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기는 폭이 3령 유충의 체폭(몸통의 폭) 보다 0.5~1.0cm 크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찰용기의 저부 양측에는 상기 관찰용기(1)가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관찰용기의 폭보다 크게 받침(9)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충성장부는 상기 관찰용기 내에 위치되어 있고 유충의 먹이가 되는 발효톱밥이 저장되고 번데기방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관찰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것으로 덮개 상부면의(e) 4면의 측면 끝부분에서 아래로 절곡된 제1절곡부(a)를 가지며, 상기 제1절곡부에서 상기 덮개상부면(e)과 평행하게 가운데 부분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b)를 가지며, 다시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관찰용기 아래로 절곡된 제3절곡부(c)를 가지며, 상기 제3절곡부에서 타측면들에서 동일하게 절곡되어진 부분과 서로 연결되어 제1수평면(d)이 형성되어지며, 상부에는 5~7개의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암막장치는 상기 관찰용기가 삽입되고 상기 관찰용기와 동일한 모형으로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고, 전면에 일정크기의 투명한 관찰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찰구 일측에 경첩 또는 회전 찍찍이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찍찍이(체결구)가 부착되어 상기 관찰용기에 투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상기 관찰도어는 상기 암막장치 전면에 형성된 투명한 상기 관찰구의 크기와 동일하고, 일측에 접이 및 개폐가 가능한 경첩 또는 찍찍이가 부착되며, 타측은 찍찍이가 부착되어져 상기 암막장치의 경첩 또는 찍찍이 부분과 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막장치와 같이 상기 관찰용기 내부로 투사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기는 높이 20~50㎝, 세로 20~30㎝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기의 내부에 채워지는 발효톱밥은 포플러나 참나무의 톱밥을 발효시킨 것이고, 상기 발효톱밥의 높이는 상기 관찰용기 높이보다 5㎝ 정도 낮게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 등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 장치.
KR2020060028308U 2006-10-24 2006-10-24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36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08U KR200436604Y1 (ko) 2006-10-24 2006-10-24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08U KR200436604Y1 (ko) 2006-10-24 2006-10-24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604Y1 true KR200436604Y1 (ko) 2007-09-10

Family

ID=4162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30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6604Y1 (ko) 2006-10-24 2006-10-24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6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89Y1 (ko) 2008-09-19 2010-11-08 경기도농업기술원 곤충 학습관찰용 용기
US20210144975A1 (en) * 2019-11-14 2021-05-20 Guangmeiyuan R & D Center, Key Laboratory of Insect Developmental Biology and Applied Technology, So American cockroach processing equipment for household food waste
US20210360946A1 (en) * 2018-05-28 2021-11-25 Nutri'earth Beetle powder and method for raising beetles comprising an ultraviolet treatment for preparing such a powd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89Y1 (ko) 2008-09-19 2010-11-08 경기도농업기술원 곤충 학습관찰용 용기
US20210360946A1 (en) * 2018-05-28 2021-11-25 Nutri'earth Beetle powder and method for raising beetles comprising an ultraviolet treatment for preparing such a powder
US12310341B2 (en) * 2018-05-28 2025-05-27 Nutri'earth Beetle powder and method for raising beetles comprising an ultraviolet treatment for preparing such a powder
US20210144975A1 (en) * 2019-11-14 2021-05-20 Guangmeiyuan R & D Center, Key Laboratory of Insect Developmental Biology and Applied Technology, So American cockroach processing equipment for household food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iels Amphibians of peninsular India
Borror et al. A field guide to insects: America north of Mexico
KR100941744B1 (ko) 복합영농방법
CN105284747A (zh) 一种朱红毛斑蛾的室内饲养方法及装置
CN106508794A (zh) 一种蟾蜍早繁育高产立体化工厂养殖方法及应用
KR20170000656A (ko) 누리관총채벌레의 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 방제방법
CN103518673B (zh) 林蛙立体养殖方法
KR200436604Y1 (ko)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변태과정 관찰장치
CN104585072A (zh) 放养柴鸡室外运动场
CN109122597A (zh) 一种蜂箱小甲虫的饲养方法
Splawski et al. Mulch effects on floral resources and fruit production of squash, and on pollination and nesting by squash bees
Brace A guide to ozone injury in vascular plants of the Pacific Northwest
Snow The Arthropoda of wet tree holes
Zwart Pathophysiology: Assessment of the husbandry problems of reptiles on the basis of pathophysiological findings: A review
Vosoghi et al. Breeding of the black-winged kite Elanus caeruleus in Fars Province, Iran
CN209105987U (zh) 组合式生态养殖棘胸蛙基地
CN107018962A (zh) 一种草蛉幼虫释放器
Kimsey et al. Novel Biology for Tephrochlamys rufiventris (Meigen, 1830)(Diptera: Heleomyzidae)
Hidayat et al. Diversity of Phytophagous and Entomophagous Insect on Yellow Alder Flower (Turnera subulata JE SM and Turnera ulmifolia L.) Around The Palm Oil (Elaeis guineensis J.) Plantations
Bažok et al.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he ground beetles Pterostichus melanarius (Illiger, 1798) and Pseudoophonus rufipes (De Geer, 1774) in corn fields in Croatia
Cooper Terrestrial reptiles: lizards, snakes and tortoises
Caspers et al. EAZA Amphibian Taxon Advisory Group Best Practice Guidelines (striped) fire salamander, Salamandra salamandra (terrestris)
CN215912996U (zh) 一种螵虫越冬装置
Vasudevan et al. Ex-situ management of amphibians in Indian zoos, Central Zoo Authority, New Delhi
CN212464591U (zh) 粟叶甲幼虫生物学饲养观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0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06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09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