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417Y1 -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417Y1
KR200436417Y1 KR2020060029610U KR20060029610U KR200436417Y1 KR 200436417 Y1 KR200436417 Y1 KR 200436417Y1 KR 2020060029610 U KR2020060029610 U KR 2020060029610U KR 20060029610 U KR20060029610 U KR 20060029610U KR 200436417 Y1 KR200436417 Y1 KR 200436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shaft
motor
chemical liquid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다텍
김문기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다텍, 김문기, 김명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다텍
Priority to KR2020060029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28Centrifug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35Driving means; Parts thereof, e.g. turbine, shaft, b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관(21)을 매개로 약통(2)과 그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34) 내부의 공동이 연통되며, 축(34)의 끝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멍(38)을 통해 흡입된 약액을 관통시키도록 된 관통모터(3)와; 이 관통모터(3)의 배출구멍(38)과 연통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무구멍(41)을 내부에 갖추어 상기 축(34)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약액을 분무하도록 된 원판(4);을 구비하여서, 약액을 대상물에의 접촉이 용이한 초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하게 되므로 작용효과가 우수하게 되고, 특히 소독시에는 해당 공간의 구석구석까지 침투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분무장치 {Spray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요부, 즉 관통모터와 원판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무장치에 구비된 원판의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액을 초미립자 형태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입자의 크기나 분무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원심회전판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를 에어로졸 입자로 만들어 분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스를 추진제로서 사용한다. 예전에는 추진제로서 거의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였으나 프레온 가스가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규명되면서 현재는 액화석유가스등과 같은 대체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추진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은 대개가 가연성 액화가스의 형태로 충전되므로 화재의 우려가 있고 액체를 분무할 때 즉시 가스화되어 대부분이 공기 중으로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충제 또는 농약으로 사용되는 약액의 분무입자는 크기가 너무 커서 분무 즉시 밑으로 내려앉는 경향이 있어 구석구석 약액이 미치지 못하므로 손실이 많고, 특히 밀폐된 온실이나 청결이 유지되어야 하는 공간에서는 그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이후 뒷정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이러한 분무방식에 의해서는 분무 직후 해충이나 작물에의 작용 효과가 미약하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미리 조제된 약액을 초미립자 형태로 살포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는바, 즉 재래식 분무방식에서는 약액에 물을 희석하여 사용해서 분무입자를 작게 형성시키다 보면 물이 곧바로 증발되어 해충이나 작물에의 작용력이 좋지 못하였으나, 초미립자 형태의 살포방식에서는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분무입자의 크기를 50㎛ 이하로 형성시키게 되더라도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초미립자 형태의 살포방식은 통상 콘형상 노즐, 압축공기용 노즐, 회오리식 노즐 등의 장치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살포방식에서는 약액의 분무입자 크기가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발생한 분무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서 분무 후 곧바로 바닥에 떨어지므로 깨끗한 환경을 요구하는 공간에서는 사용이 곤란하고, 눈에 보이는 곳, 즉 노출된 부분에만 분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약통으로부터 흡입된 약액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관통모터를 통과한 후, 관통모터에 고정되고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홈을 갖추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된 원판을 통해 초미립자의 형태로 균일하게 분무되도록 하는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예컨대 소독에 사용될 경우에 약액을 초미립자로 분무되게 함으로써 소독하고자 하는 공간을 구석구석 침투하여 살균 내지 방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노즐이나 펌프가 필요 없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서, 궁극적으로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한편, 광범위한 사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는 지지용 프레임과; 이 프레임 상에 놓이거나 별도로 위치된 약통;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서 연결관을 매개로 하여 약통과 그 축 내부의 공동이 연통되며, 이 축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흡입된 약액을 관통시키도록 된 관통모터 및; 그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분무구멍을 갖추고 이들 분무구멍이 관통모터의 배출구멍과 연통되게 고정되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약액을 분무하도록 된 원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지지 용 프레임(1)과, 약통(2), 관통모터(3) 및, 원판(4)을 구비한다.
지지용 프레임(1)은 구성요소들을 장착하기 위한 부재로서, 재료나, 형태, 크기 등이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용 프레임(1)이 후술하는 약통(2)을 받치고 있기 위한 수평판(12)과, 후술하는 관통모터(3) 및 원판(4)을 지지하는 수직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다수의 바퀴(14)를 갖추어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대(13)가 예컨대 힌지 등을 매개로 관절이음된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용 프레임(1)의 수평판(12)에 위치될 수 있는 약통(2)은 약액을 공급하는 부재인데, 이는 수평판(12)에 고정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되거나, 별도로 위치된 용기로 되어도 좋다. 이 약통(2)은 임의의 정량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약액을 정량으로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요부, 즉 관통모터와 원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분무장치에 구비된 원판의 평단면도로서, 관통모터(3)는 본체를 이루는 케이싱(31)과, 이 케이싱(31)의 안쪽 내주면에 위치하고서 반원통형상으로 된 2개의 자석(32) 및, 이들 자석(32)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위치된 아마츄어(33)를 구비한다. 또한, 이 아마츄어(33)는 축(34) 상의 코어(35)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36)이 코어(35)의 둘레에 감겨 있다. 상기 축(34)은 케이싱(31)의 양끝부분 안쪽에 설치된 베어링(37)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통상의 모터와 같이, 전선(39)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여 브러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코 일(36)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축(34)과 함께 아마츄어(33)가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에 사용되는 관통모터(3)의 주요 특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34)의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관통모터(3)의 축(34)의 한쪽 끝,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끝이 약통(2)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21)에 조절밸브(22)를 매개로 하여 연통되어 있는 한편, 축(34)의 반대쪽 끝,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끝이 후술하는 원판(4)에 연통되어 있다. 이 축(34)의 상부끝 근처에서는, 그 단면의 직경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어 있으며, 방사상 방향으로 뚫려 있는 다수의, 바람직하기로는 6개의 배출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약통(2)으로부터 연결관(21)을 통해 공급된 약액은 관통모터(3)의 축(34)을 관통하여 배출구멍(38)으로 나올 수 있게 되고 이어서 원판(4)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조절밸브(22)는 조절나사식으로 된 것으로, 이 조절밸브(22)에 의해 통과하는 약액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입자의 크기나 분무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원판(4)은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것으로, 축(34)의 상부끝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축(34)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원판(4)은 도 3의 평단면도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즉 그 중심으로부터 외주 쪽으로 뻗은 다수의 분무구멍(41)을 구비하되, 이 분무구멍(41)은 축(34)의 배출구멍(38)과 연통되게 되어 있으며, 중심쪽 구경보다는 외주쪽의 구경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예컨대 중심쪽은 대략 4.5mm 이고, 외주쪽에서는 8.5mm 이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판(4)과 축(34)은 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착되거나, 나사 및 밀봉재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될 수 있으며, 연결을 위한 어댑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축(34)의 상부끝에는 마개(40)가 부착될 수 있다.
이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무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통(2)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별도로 갖춘 약통(2)을 연결관(21) 및 조절밸브(22)를 매개로 하여서 관통모터(3)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약통(2)은 일반적인 물이나 소독약, 살충제, 해충제 등을 수용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는 액체인 약액은 물론, 분말형태로 된 가루약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약통(2)을 연결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에 전선(39)을 매개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관통모터(3)가 구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인버터 내지 제어기를 추가로 구비하고서 여기에다 용도에 따라 온도계, 습도계, 회전수(rpm) 조절기, 타이머 등을 부착하면, 분무장치를 자동으로 구동 및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관통모터(3)의 축(34)과 이에 고정된 원판(4)이 약 25000rpm 정도의 회전수로 고속 회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원판(4) 내에, 특히 분무구멍(41) 내에 있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원판(4) 내부가 거의 진공처럼 되게 되고, 이에 따라 축(34)의 내부 공동을 통해 약액을 빨아들여 원판(4)의 분무구멍(41)으로 약액을 분무하게 된다. 상기 고속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서, 약액을 흡입하고 분무시키게 됨과 더불어 그 분무입 자 크기를 1 ~ 0.3㎛까지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펌프 및 노즐이 필요 없게 된다.
이렇게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약액 분무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밸브(22)를 조작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분무장치는 약액을 대상물에의 접촉이 용이한 초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하게 되므로 작용효과가 우수하게 되고, 특히 소독시에는 해당 공간의 구석구석까지 침투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소독에 사용될 경우에 약액을 초미립자로 분무되게 함으로써 소독하고자 하는 공간을 구석구석 침투하여 살균 내지 방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이나 펌프가 필요 없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서, 궁극적으로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한편, 위생, 방역, 식품, 의료, 환경, 전자, 축산 등 초미립자형의 분무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지지용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상에 놓이거나 별도로 위치되는 약통(2);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무구멍(41)을 내부에 갖추고서 공동(空洞)의 축(34)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흡입된 약액을 분무하도록 된 원판(4);을 구비하는 분무장치에 있어서,
    연결관(21)을 매개로 하여 상기 약통(2)과 연통되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축(34)을 내부에 갖추고서 이 축(34)의 끝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멍(38)을 통해 축(34)에 고정된 상기 원판(4)으로 흡입된 약액을 관통시켜 내보내도록 된 관통모터(3)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1)에는 조절밸브(22)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
KR2020060029610U 2006-11-14 2006-11-14 분무장치 KR200436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610U KR200436417Y1 (ko) 2006-11-14 2006-11-14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610U KR200436417Y1 (ko) 2006-11-14 2006-11-14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417Y1 true KR200436417Y1 (ko) 2007-08-13

Family

ID=4163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610U KR200436417Y1 (ko) 2006-11-14 2006-11-14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4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446A (ko) * 2018-06-13 2021-02-22 듀르 시스템스 아게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간, 특히 사람을 위한 거주 공간을 소독하는 장치
WO2021255301A1 (es) * 2020-06-16 2021-12-23 Fso Internacional, S.L. Cabezal de pulverizació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446A (ko) * 2018-06-13 2021-02-22 듀르 시스템스 아게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간, 특히 사람을 위한 거주 공간을 소독하는 장치
US11951224B2 (en) 2018-06-13 2024-04-09 Dürr Systems Ag Disinfection device
KR102665042B1 (ko) * 2018-06-13 2024-05-13 듀르 시스템스 아게, 슈트트가르트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간, 특히 사람을 위한 거주 공간을 소독하는 장치
WO2021255301A1 (es) * 2020-06-16 2021-12-23 Fso Internacional, S.L. Cabezal de pulverizació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0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US81771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US8359984B1 (en) Portable automated vent cover
US9789508B2 (en) Aerosol Extraction Apparatus
US10213803B1 (en) Destratification aerosol generator
EP2759308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contamination by means of ultrasonic atomization of a disinfectant
JP3232973U (ja) 室内殺菌消毒装置
KR20200110643A (ko) 소형 인클로저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814420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KR200436417Y1 (ko) 분무장치
US10322431B1 (en) Stratification detection and aerosol distribution system
JP2021526919A (ja) 少なくとも1つの部屋、特に、人々のための住空間を、噴霧器により、消毒するための装置
CN111249496B (zh) 一种智能雾化消毒器
KR101929013B1 (ko) 탁상형 약액 분무장치
WO2010134164A1 (ja) 害虫防除方法及び超音波式害虫防除装置
KR101579300B1 (ko) 무인 자동화 방역장치
CN105381492A (zh) 向空间环境释放二氧化氯的方法和装置
JP5364257B2 (ja) 害虫防除方法及び超音波式害虫防除装置
CN111249513B (zh) 一种手持式雾化消毒器
US20090304763A1 (en) Insect Attractant Composition
KR102493428B1 (ko)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JP5068046B2 (ja) 害虫防除方法
KR100432065B1 (ko) 원심회전판식의 분무장치
JP5433896B2 (ja) ポンプ式噴霧装置
KR200449574Y1 (ko)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