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331Y1 -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6331Y1 KR200436331Y1 KR2020070004367U KR20070004367U KR200436331Y1 KR 200436331 Y1 KR200436331 Y1 KR 200436331Y1 KR 2020070004367 U KR2020070004367 U KR 2020070004367U KR 20070004367 U KR20070004367 U KR 20070004367U KR 200436331 Y1 KR200436331 Y1 KR 2004363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ning rod
- boss
- support
- rod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6/00—Signals and indicators
- Y10S116/26—Light rod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나 혹은 납작한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모두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되는 단위(unit)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피뢰침을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소정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되며, 일측에 원기둥 타입의 동봉 또는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스부와 함께 상기 동봉 또는 상기 부스바를 밀착 가능하게 지지하되, 피뢰침의 하단에 형성된 피뢰침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뢰도선, 피뢰침 베이스, 지지금구, 겸용, 동봉, 부스바(BUS BAR)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피뢰침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피뢰침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뢰침 1a : 피뢰침축
1b : 첨예부 1c : 피뢰침볼
7 : 동봉 8 : 부스바
10 : 베이스플레이트 10a,10b : 앵커홀
20 : 보스부 22 : 수용부
31,32 : 지지부 31a : 볼홈
32a : 통과공 32b : 연통공
32c,32d : 경사면 40 : 체결부재
본 고안은,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나 혹은 납작한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모두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되는 단위(unit)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피뢰침을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뇌운이 접근하면 지표에 있는 도전성이 있는 뾰족한(첨예한) 물체 등에서 뇌운을 향해 방전하기 시작하고, 뇌운도 상기 뾰족한 물체 등을 향해 방전하기 시작한다.
뇌운과 뾰족한 물체 사이의 기상조건이 좋아지면 공기의 절연이 소실되어 각각의 방전이 연결되는 현상을 낙뢰라고 한다. 이때 뾰족한 물체 등의 선단이 예각일수록 뇌운을 향한 방전이 생기기 쉽고, 소위 천둥 유발효과가 높아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피뢰침(lightening rod)은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낙뢰로 인하여 생기는 건물의 화재, 파손 및 인축에 대한 상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피뢰침은 돌침부, 피뢰도선 및 접지전극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돌침부의 돌침은 구리 또는 용융아연도금을 한 철 또는 강으로 된 지름 12 mm 이상 막대기를 사용하는 것이며, 피뢰도선은 구리를 사용하는 것은 단면적 30 ㎟ 이상,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은 50 ㎟ 이상의 도선을 사용한다. 또한 접지전극은 두께 1.4 mm, 면적 0.35 ㎡ 이상의 강판, 두께 3 mm 이상, 면적 0.35 ㎡ 이상의 아연도금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접지효과가 있는 막대기 모양 등을 사용하여 접지저항이 10Ω 이하가 되도록 지하에 매설하게 된다.
한편, 근자에 들어서는 건축물의 미관을 고려하여 별도의 보조피뢰침을 설치하기도 한다.
보통 보조피뢰침은 접지되는데, 이 때 옥상에 설치하는 피뢰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단이 요구된다. 이처럼 피뢰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단으로서 피뢰도선 지지구가 사용되며 도처에 널리 사용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도선 지지구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나 혹은 납작한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중에서 선택된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즉, 동봉용 피뢰도선 지지구와 부스바용 피뢰도선 지지구가 각기 개별적으로 존재해 왔기 때문에 동봉이나 부스바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도선 지지구는, 그 대부분이 황동주물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왔기 때문에 비용이 비싸고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상호 조립되는 부분, 다시 말해 세부적인 단위(unit) 부품들이 많은 관계로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 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도선 지지구에 설치되는 피뢰침은 움직일 수 없는 고정된 타입으로만 존재하여 왔기 때문에 피뢰도선 지지구의 설치 위치에 다소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나 혹은 납작한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모두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되는 단위(unit)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피뢰침을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되며, 일측에 원기둥 타입의 동봉 또는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스부와 함께 상기 동봉 또는 상기 부스바를 밀착 가능하게 지지하되, 피뢰침의 하단에 형성된 피뢰침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부스바가 배치되는 사각 함몰부; 및 상기 사각 함몰부의 저면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더 함몰되어 상기 동봉이 배치되는 원형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부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 함몰부 및 상기 원형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보스부의 횡단면 내에서 십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스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피뢰침볼이 부분적으로 수용 배치되는 볼홈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지지부; 및 피뢰침축이 통과하는 통과공과, 상기 통과공을 외부와 연통시킨 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원반 형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의 직경은 상기 피뢰침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피뢰침볼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 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제1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보스부에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보스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에는 다수의 앵커홀(anchor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피뢰침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피뢰침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는 피뢰침(1)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크게 베이스플레이트(10), 보스부(20) 및 지지부(31,32)를 포함한다.
우선, 피뢰침(1)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피뢰침(1)은 봉 형상의 피뢰침축(1a)과, 피뢰침축(1a)의 상단을 이루는 뾰족한 첨예부(1b)와, 피뢰침축(1a)의 상단을 이루는 구 형상의 피뢰침볼(1c)을 구비한다.
이러한 피뢰침(1)은 자세히 후술할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결합되어 낙뢰를 접지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참고로 피뢰침(1)은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략 10 mm의 굵기와 500 내지 1200 mm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수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의 한 구성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는, 평평한 판상 체로 형성되며 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가 설치될 설치면(5, 도 3 참조)에 배치된다. 설치면(5)에 배치된 후에는, 별도의 앵커볼트 등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가 설치면(5)에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판면에는 다수의 앵커홀(10a,10b, anchor hole)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앵커홀(10a,10b)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는 다른 조건 하에서 크기가 다른 앵커볼트를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다수의 앵커홀(10a,10b))의 크기는 서로 동일해도 무방하다.
보스부(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 중앙 영역에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스부(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금속 재질이나 혹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성형할 때, 보스부(20)와 베이스플레이트(1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보스부(20)가 별개로 제작된 후에,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용접이나 본딩되어도 좋다.
보스부(20)는 원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보스부(20)에는 원기둥 타입의 동봉(7, 도 6 참조) 또는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8, 도 5 참조, BUS BA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2)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수용부(22)는 부스바(8, 도 5 참조)가 배치되는 사각 함몰부(22a)와, 사각 함몰부(22a)의 저면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더 함몰되어 동봉(7, 도 6 참조)이 배치되는 원형 함몰부(22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볼 때, 수용부(22)에는 부스바(8, 도 5 참조)와 동봉(7, 도 6 참조)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수용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부(20)의 횡단면 내에서 십자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보스부(20)의 횡단면 내에는 수용부(22)가 배치되지 않은 4개의 부채꼴 부분(24)이 형성되는데, 이 영역에는 체결부재(40)가 체결되는 체결공(24a)이 형성된다.
지지부(31,32)는 보스부(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보스부(20)와 함께 동봉(7, 도 6 참조) 또는 부스바(8, 도 5 참조)를 밀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일 뿐만 아니라 피뢰침(1)의 하단에 형성된 피뢰침볼(1c)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부(31,32) 역시, 보스부(20)와 마찬가지로 원반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지지부(31,32)로 분리된다.
제1 지지부(31)는 보스부(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31)의 상부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피뢰침볼(1c)이 부분적으로 수용 배치되는 볼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볼홈(31a)에 피뢰침볼(1c)의 하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피뢰침볼(1c)은 자리를 잡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뢰침볼(1c)이 볼홈(31a)에 배치됨으로써 피뢰침(1)은 도 3의 실선 및 점선과 같이, 그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2)는 제1 지지부(31)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2 지지부(32)의 중앙 영역에는 피뢰침축(1a)이 통과하는 통과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통과공(32a)의 직경이 피뢰침볼(1c)의 직경보다 크다면, 피뢰침볼(1c)이 통과공(32a)을 통해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통과공(32a)의 직경은 피뢰침볼(1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통과공(32a) 영역과 관련해서 살펴볼 때,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공(32a)이 형성된 제1 지지부(31)의 내벽면에는 피뢰침볼(1c)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 경사면(32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32c)은 볼홈(31a)과 제1 지지부(31)의 상면 사이의 공간을 보다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경사면(32c)의 상단에는 제1 경사면(32c)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32d)이 더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32d)은 모서리 가공에 해당하므로 필요에 따라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통과공(32a)에는 제2 지지부(32)의 외부와 통과공(32a)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32b)가 더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32b)는 피뢰침(1)을 제1 및 제2 지지부(31,32)에 결합시킬 때, 피뢰침축(1a)이 통과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한편, 제2 지지부(32)에는 전술한 보스부(20)의 체결공(24a)과 연통되는 위치에 복수의 통공(32e)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40)는 제1 및 제2 지지부(31,32)를 보스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체결부재(40)는 제2 지지부(32) 측으로 삽입된 후 제1 지지부(31)를 경유하여 보스부(20)에 체결하는 4개의 볼트가 적용되고 있다. 즉, 4개의 체결부재(40)는, 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동봉(7, 도 6 참조) 또는 부스바(8, 도 5 참조)가 장착되고, 이어 피뢰침(1)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32)에 형성된 통공(32e)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부(31)를 경유하여 보스부(20) 의 체결공(24a)에 체결된다. 따라서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결합된 동봉(7, 도 6 참조) 또는 부스바(8, 도 5 참조), 그리고 피뢰침(1)의 이탈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8)와 피뢰침(1)을 장착하고자 한다면, 우선, 체결부재(40)를 풀어 보스부(20)에 대해 제1 및 제2 지지부(31,32)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수용부(22)의 사각 함몰부(22a)에 도 5와 같이,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8)를 배치한다. 그리고는 보스부(20)의 상면으로 제1 지지부(31)를 배치한다.
다음, 제1 지지부(31)에 형성된 볼홈(31a)에 피뢰침볼(1c)의 하단을 배치하고, 피뢰침축(1a)이 제2 지지부(32)의 연통공(32b)으로 통과되도록 하면서 제2 지지부(32)를 제1 지지부(31)의 상면에 배치한다.
그리고는, 4개의 체결부재(40)를 제2 지지부(32)에 형성된 통공(32e)으로 삽입하여 제1 지지부(31)를 경유하도록 한 후, 보스부(20)의 체결공(24a)에 체결함으로써 부스바(8, 도 5 참조) 및 피뢰침(1)에 대한 조립을 완료한다. 물론, 체결부재(40)를 체결하기 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뢰침(1)의 각도를 미리 조절해 두어도 좋고, 혹은 체결부재(40)를 체결한 후에 강제로 피뢰침(1)의 각도를 조절해도 무방하다.
만약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에 원기둥 타입 의 동봉(7)을 장착하고자 한다면, 전술한 과정 중에 수용부(22)의 원형 함몰부(22b)에 동봉(7)을 배치하고, 나머지 작업을 동일하게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기둥 타입의 동봉(7, 도 6 참조)이나 혹은 납작한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8, 도 5 참조) 모두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되는 단위(unit)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피뢰침(1)을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스부와 제1 및 제2 지지부 모두가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었으나,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다각 형상 등의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만약에,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하나의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를 제작할 경우, 그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으로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원기둥 타입의 동봉이나 혹은 납 작한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모두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되는 단위(unit) 부품들의 수가 감소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피뢰침을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소정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되며, 일측에 원기둥 타입의 동봉 또는 직사각형 바아(bar) 타입의 부스바(BUS BA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스부;상기 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스부와 함께 상기 동봉 또는 상기 부스바를 밀착 가능하게 지지하되, 피뢰침의 하단에 형성된 피뢰침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상기 지지부를 상기 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부는,상기 부스바가 배치되는 사각 함몰부; 및상기 사각 함몰부의 저면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더 함몰되어 상기 동봉이 배치되는 원형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보스부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상기 사각 함몰부 및 상기 원형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보스부의 횡단면 내에서 십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상기 보스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피뢰침볼이 부분적으로 수용 배치되는 볼홈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제1 지지부; 및피뢰침축이 통과하는 통과공과, 상기 통과공을 외부와 연통시킨 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원반 형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통과공의 직경은 상기 피뢰침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피뢰침볼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경사면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 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제1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보스부에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스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며,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에는 다수의 앵커홀(anchor hol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4367U KR200436331Y1 (ko) | 2007-03-16 | 2007-03-16 |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4367U KR200436331Y1 (ko) | 2007-03-16 | 2007-03-16 |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6331Y1 true KR200436331Y1 (ko) | 2007-08-01 |
Family
ID=4508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4367U KR200436331Y1 (ko) | 2007-03-16 | 2007-03-16 |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6331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0402B1 (ko) * | 2016-04-29 | 2017-11-22 | 주식회사 에스디 | 태양광 발전기의 낙뢰 피해 방지 시스템 |
KR101841651B1 (ko) * | 2017-10-16 | 2018-03-23 | 주식회사 에스디 |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CN110336241A (zh) * | 2019-08-16 | 2019-10-15 | 南京晓庄学院 | 一种多阴雨地区的智能化配电网的防雷保护方法及装置 |
KR102344960B1 (ko) | 2020-07-06 | 2021-12-31 | 광동지엘씨(주) | 조립형 피뢰침 지지대 |
CN117559227A (zh) * | 2024-01-11 | 2024-02-13 |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通化供电公司 | 一种电路铁塔的避雷针减晃动装置 |
-
2007
- 2007-03-16 KR KR2020070004367U patent/KR20043633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0402B1 (ko) * | 2016-04-29 | 2017-11-22 | 주식회사 에스디 | 태양광 발전기의 낙뢰 피해 방지 시스템 |
KR101841651B1 (ko) * | 2017-10-16 | 2018-03-23 | 주식회사 에스디 |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CN110336241A (zh) * | 2019-08-16 | 2019-10-15 | 南京晓庄学院 | 一种多阴雨地区的智能化配电网的防雷保护方法及装置 |
KR102344960B1 (ko) | 2020-07-06 | 2021-12-31 | 광동지엘씨(주) | 조립형 피뢰침 지지대 |
CN117559227A (zh) * | 2024-01-11 | 2024-02-13 |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通化供电公司 | 一种电路铁塔的避雷针减晃动装置 |
CN117559227B (zh) * | 2024-01-11 | 2024-03-12 |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通化供电公司 | 一种电路铁塔的避雷针减晃动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6331Y1 (ko) | 다기능 피뢰침 베이스 | |
US7902455B2 (en) | Lightning arrester | |
KR101053514B1 (ko) |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 |
KR100880880B1 (ko) |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 |
KR101773800B1 (ko) | 전절연 리드선 부착형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 |
KR200384709Y1 (ko) | 피뢰도선용 지지구 | |
US9912135B2 (en) | Cross arm covers for utility poles and related methods | |
KR200436146Y1 (ko) | 피뢰도선 지지구 | |
US5909005A (en) | Combination bearing plate and electrical grounding apparatus | |
US20080308288A1 (en) | Utility pole grounding plate | |
KR101085173B1 (ko) | 피뢰도선 지지구 | |
KR100958815B1 (ko) | 이상전류 흡수가 용이한 내진동 피뢰기 지지체 | |
KR100228417B1 (ko) | 가공송전선로용 점퍼장치 | |
KR100250634B1 (ko) | 점퍼스페이서 | |
KR100550180B1 (ko) | 분전반 | |
EP1884001B1 (en) | Cabinet for electrical switchboard | |
JP3874568B2 (ja) | 導体支持碍子 | |
US6177630B1 (en) | Equipment installation concrete pad having integrated equipotential grounding plane and method for installing equipment using same | |
JP5383420B2 (ja) | 垂直布設バスダクトの防水構造 | |
KR200203663Y1 (ko) | 배전선로 하향점퍼선 고정용 라인포스트 애자 | |
KR200359420Y1 (ko) | 전주용 궁지선 금구 | |
CN220439332U (zh) | 一种复合绝缘子伞裙装置 | |
CA2021868C (en) | Transmission wire supporting crossarm | |
JP4032012B2 (ja) | アーキングホーン金具およびその取付構造 | |
KR200430695Y1 (ko) | 저압접속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