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069Y1 -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069Y1
KR200436069Y1 KR2020070002874U KR20070002874U KR200436069Y1 KR 200436069 Y1 KR200436069 Y1 KR 200436069Y1 KR 2020070002874 U KR2020070002874 U KR 2020070002874U KR 20070002874 U KR20070002874 U KR 20070002874U KR 200436069 Y1 KR200436069 Y1 KR 200436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water
air
bottom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화
Original Assignee
이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화 filed Critical 이동화
Priority to KR2020070002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의 수질을 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수족관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서 실내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내장된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세라믹 볼에 의해 수족관 내의 악취물질이나 기타 부패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함에 따라 냄새제거와 수질 정화기능을 갖추게 되며, 그에 따라 수족관 내의 물을 장기간에 걸쳐 교환하지 않고서도 수중생물이 건강하게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Purification Apparatus for aquarium wat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족관용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족관용 정화장치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바닥판
12 : 커버 13 : 발포수지
20 : 공기유입구 21 : 공기분산기구
211 : 공기분산공 22 : 송풍기
30 : 세라믹 볼 40 : 고정구
P : 통공
본 고안은 수족관의 수질을 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관 내의 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줌은 물론 수족관 내의 냄새제거와 수질 정화기능을 겸비하여 물을 장기간에 걸쳐 교환하지 않고서도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수중생물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기타 공공장소에서는 실내공간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하여 관상용 수족관을 설치하고 있는데, 수족관은 민물이나 바다에서 생활하는 생물을 길러 그 생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족관은 주지된 바와 같이 투명한 수조 내부에 모래와 자갈, 각종 수중 조형물을 내재시킨 상태에서 물을 채워 넣고, 여기에 각종 물고기를 포함한 각종 수중생물을 투입한 다음 일정간격으로 먹이를 공급하여 수중 생물을 기르게 된다. 이외에도 수족관에는 수조 내부에 공기공급기가 설치되어 수중생물의 활동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족관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수중생물에게 공급된 먹이의 잔류물이나 수중생물의 배설물에 축적되어 수조내의 물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중생물의 먹이 잔류물이나 배설물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수족관 물의 용존산소를 고갈시키게 되고, 질산이온이나 암모늄이온 등과 같은 분해산물이 증가되어 수중생물이 폐사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기간을 주기로 수조 내의 물을 갈아주고, 수조 내부를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전술한 수족관 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다량의 미세기포 발생에 의해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주어 수조내의 물을 자연정화 되도록 한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들이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들은 단순히 기포발생기와, 부직포 등의 필터 정화 수단을 조합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음에 따라 수질내의 부유물을 걸러내는 데에는 다소 유용하나 독성물질의 제거가 곤란함에 따라 물의 교환 및 청소작업 시기를 늦추는 정도에 불과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조관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주어 실내 가습은 물론 수족관 내의 냄새제거와 수질 정화기능을 겸비하여 수족관 내의 물을 장기간에 걸쳐 교환하지 않고서도 장기간에 걸쳐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수중생물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한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샷핀닝에 의해 표면에 이산화티탄 광촉매가 코팅된 세라믹 볼과; 바닥판과 커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세라믹 볼이 내장된 몸체와;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어 송풍기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몸체 내부에 공기를 강하게 공급하여 주는 곳으로 공급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바닥판의 통공으로 수족관의 물이 유입된 후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공기와 물이 함께 외부로 분산배출 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족관용 정화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는 샷핀닝에 의해 표면에 이산화티탄 광촉매가 코팅된 세라믹 볼(30)과, 바닥판(11)과 커버(12)에 다수의 통공(P)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세라믹 볼(30)이 내장된 몸체(10)와, 상기 바닥판(11)에 연결되어 송풍기(22)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몸체(10) 내부에 공기를 강하게 공급하여 주는 곳으로 공급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바닥판(11)의 통공(P)으로 수족관의 물이 유입된 후 상기 커버(12)에 형성된 통공(P)을 통해 공기와 물이 함께 외부로 분산배출 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0)는 바닥판(11)과 커버(12)에 다수의 통공(P)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샷핀닝에 의해 표면에 이산화티탄 광촉매가 코팅된 세라믹 볼(30)이 내장된다. 바닥판(11)에 형성된 통공(P)은 수족관 내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 여 형성된 것이고, 커버(12)에 형성된 통공(P)은 몸체(10) 내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함께 분산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수족관 내부의 물이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통공(P)을 통해 유입되는 것은 공기유입구(20)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강한 압력으로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이며, 공기의 흐름에 의해 몸체(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커버(12)의 통공(P)을 통해 공기와 함께 외부로 분산배출되게 된다. 이때, 바닥판(11)과 커버(12)에 형성된 통공(P)은 몸체(10)에 내장되는 세라믹 볼(30)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면 충분하다. 특히 바닥판(11)과 커버(12)에 형성된 통공(P)의 직경은 물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최소 1㎜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와 바닥판(11)은 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체(10)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용접 등 다양한 접합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몸체(10) 내부에 내장되는 세라믹 볼(30)은 수족관 내부의 물이 몸체(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유입된 후 커버(12)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수질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즉, 물이 몸체(10)의 바닥판(11)을 통해 유입된 후 커버(12)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라믹 볼(30)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라믹 볼(30)들은 유동하면서 서로 부딪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며, 이 원적외선은 물에 함유된 악취나 부패물질을 분해시켜 제거하게 된 다. 또한 세라믹 볼(30)의 표면에는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는데, 이 광촉매 역시 물에 함유된 악취나 부패물질을 분해시켜 제거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는 공기공급에 의한 자연정화능력과 함께 내장된 광촉매가 코팅된 세라믹 볼(30)의 냄새제거와 유해물질의 제거 능력이 상호 보완되면서 우수한 수질 정화능력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광촉매는 자외선이 조사되어야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자외선을 조사를 받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양호하게 광촉매 기능을 발휘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10) 내부에 내장되는 세라믹 볼(30)로 국내특허 제457769호에서 제시한 산소결핍 경사구조를 가지는 산화금속 피막을 갖는 세라믹 볼, 특히 산화금속 피막으로 이산화티탄을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국내특허 제457769호에서 제시된 기술은 세라믹 볼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이용해 고속분사를 실시하여 금속분체를 피처리 제품의 표면에 용융부착시킴과 동시에, 이 용융부착시에 피막의 최외각 표면이 산화되어 피막이 얻어지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샷핀닝에 의해 형성된 산화금속 피막은, 피막의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산소와의 결합이 점차적으로 결핍되는 산소결핍 경사구조로서 자외선보다 장파장의 전자파인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전파에 대해서도 응답성을 가져 실내등의 자외선을 조사를 받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양호하게 광촉매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이산화티탄 광촉매가 코팅된 입자의 경우에는 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자외선램프가 동시에 구비되어야 하나, 상기와 같이 샷핀닝에 의 해 산화금속 피막을 포함하는 광촉매 입자의 경우 일반적인 실내등만으로도 광촉매의 환원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나다는 것이다.
상기 세라믹 볼(30)은 3∼15㎜의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직경이 작을수록 몸체(10) 내부를 순환하는 수족관의 물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수질 정화에 유리하나, 바닥판(11)의 통공(P)의 경우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져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세라믹 볼(30)은 4∼15㎜의 직경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세라믹 볼(30)을 사용화게 되면, 광촉매에 의한 환원작용과 함께 세라믹 볼(3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부패물이 제거되며, 악취물이 분해되어 제거되게 된다. 이와 같은 세라믹 볼(30)의 작용에 의하여 특히 내장된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세라믹 볼(30)에 의해 수족관 내의 악취물질이나 기타 부패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함에 따라 냄새제거와 수질 정화기능을 갖추게 되며, 그에 따라 수족관 내의 물을 장기간에 걸쳐 교환하지 않고서도 수중생물이 건강하게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1)에는 공기유입구(20)가 연결된다. 상기 공기유입구(20)는 몸체(10) 내부에 공기를 강하게 공급하여 주는 곳으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바닥판(11)의 통공(P)으로 물이 유입된 후 상기 커버(12)에 형성된 통공(P)을 통해 공기와 물이 함께 외부로 분산배출 되도록 도와준다. 상기 공 기유입구(20)는 송풍기(22)와 연결되어 있으며, 송풍기(2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정화장치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족관용 정화장치는 수족관 내부에 침적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데, 송풍기(22)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공기공급기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강하게 공급된다. 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커버(12)를 통해 외부로 분산 배출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몸체(10) 내부에 유입된 수족관물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며, 공기와 물은 함께 커버(12)의 통공(P)을 통해 외부로 분산 배출되게 된다.
그에 따라 바닥판(11)의 통공(P)을 통해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게 되고, 유입되는 물은 커버(12)의 통공(P)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결구 수족관의 물은 순환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유해물질들이 세라믹 볼(3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세라믹 볼(30)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에 의해 분해 제거되면서 수질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0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정화장치를 수족관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삼각대를 몸체(10) 하단에 고정시킨 일 예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수족관 유리 벽면에 압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압착판을 몸체(10)에 고정시켜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에 연결된 공기유입구(20) 단부에는 유입된 공기를 몸체(10) 내부로 분산시키면서 공급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의 공기분산공(211)을 갖는 공기분산기구(21)가 형성된다. 이 경우 공기는 분산되면서 몸체(10) 내부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공기와 물의 접촉이 넓어지게 되어 공기에 의해 자연정화 능력이 극대화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 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측 상단으로 세라믹 볼(30)과 커버(12) 사이에 흡음재인 발포수지(13)가 내장된다. 이 경우 수족관의 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해주게 된다. 발포수지(13)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폴리 스틸렌 발포체나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수지 발포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측면에 다수의 통공(P)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P)을 통해 몸체(10) 외측의 물이 몸체(10) 내부로 함께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보다 원활한 수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수족관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서 실내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내장된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세라믹 볼 에 의해 수족관 내의 악취물질이나 기타 부패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함에 따라 냄새제거와 수질 정화기능을 갖추게 되며, 그에 따라 수족관 내의 물을 장기간에 걸쳐 교환하지 않고서도 수중생물이 건강하게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수족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한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샷핀닝에 의해 표면에 이산화티탄 광촉매가 코팅된 세라믹 볼과;
    바닥판과 커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세라믹 볼이 내장된 몸체와;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어 송풍기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몸체 내부에 공기를 강하게 공급하여 주는 곳으로 공급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바닥판의 통공으로 수족관의 물이 유입된 후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공기와 물이 함께 외부로 분산배출 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연결된 공기유입구 단부에는 유입된 공기를 몸체 내부로 분산시키면서 공급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의 공기분산공을 갖는 공기분산기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 상단으로 세라믹 볼과 커버 사이에 흡음재인 발포수지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몸체 외측의 물이 몸체 내부로 함께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KR2020070002874U 2007-02-16 2007-02-16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KR200436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874U KR200436069Y1 (ko) 2007-02-16 2007-02-16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874U KR200436069Y1 (ko) 2007-02-16 2007-02-16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069Y1 true KR200436069Y1 (ko) 2007-05-07

Family

ID=4163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874U KR200436069Y1 (ko) 2007-02-16 2007-02-16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490A (ko) 2018-09-20 2020-03-30 한재형 어항 수질관리 자동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490A (ko) 2018-09-20 2020-03-30 한재형 어항 수질관리 자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01B1 (ko) 공기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US7722708B2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2316148A (ja) 汚水の浄化装置
KR20160101352A (ko) 빗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세정수의 순환사용이 가능한 순환수세 화장실처리시스템
JPH11290848A (ja) 濾過方法及び装置
WO2004028246A1 (ja) 酸素供給水冷却装置及び濾過装置並びにこれ等を用いた濾過機能付随水冷却装置
JP2007069124A (ja) 水処理装置
KR101039472B1 (ko) 전시용 수족관 사육수 여과장치
KR200436069Y1 (ko) 수족관용 수질 정화장치
KR100841428B1 (ko) 취수성 유해가스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JP3142931U (ja) 水槽用水質浄化装置
JP2708086B2 (ja) 浄水装置
JPH01288395A (ja) 水槽のオゾン浄化装置
KR20110098073A (ko) 공기 청정 및 살균장치
JP2005000054A (ja) 鑑賞魚用水槽浄化装置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H07195068A (ja) 浄水装置
JP4203793B2 (ja) 殺菌装置
JP3607693B2 (ja) 曝気方法及び装置並びに前記曝気装置を備えた浄化装置
KR100801493B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2002224525A (ja) 空気浄化プランター
KR20230172064A (ko) 가습 공기 살균청정기
JPH07264953A (ja) 観賞魚飼育槽の浄化方法とその装置
JPH0677897U (ja) 水浄化装置
JP3027404U (ja) 携帯用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