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985Y1 -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 Google Patents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985Y1
KR200435985Y1 KR2020060032771U KR20060032771U KR200435985Y1 KR 200435985 Y1 KR200435985 Y1 KR 200435985Y1 KR 2020060032771 U KR2020060032771 U KR 2020060032771U KR 20060032771 U KR20060032771 U KR 20060032771U KR 200435985 Y1 KR200435985 Y1 KR 200435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mark
porous tube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차순
Original Assignee
허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차순 filed Critical 허차순
Priority to KR2020060032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 F16L9/128Reinforc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공관의 외주면에 임의의 색상을 갖는 식별표시띠를 형성하여 용도별로 사용되는 다공관의 식별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한 식별표시띠는 다공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더욱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공관, 나선형, 식별표시띠

Description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synthetic pip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공관 110 ; 비틀림 공간
200 ; 식별표시띠
본 고안은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공관의 외주면에 임의의 색상을 갖는 식별표시띠를 형성하여 용도별로 사용되는 다공관의 식별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한 식별표시띠는 다공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더욱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서 하수관, 폐수관, 급수관등으로 사용되는 관은 금속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금속관은 중량이기 때문에 운반과 취급이 불편하고 설치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관 자체가 부식되는 관계로 수시로 관을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내구성 내마모성을 충족하는 합성수지재의 합성수지관 또는 다공관이 안출된 바 있다.
합성수지관은 통상 단면이 정사각형 형태를 취하는 프로파일을 압출다이를 이용하여 연속 압출 성형한 후, 압출된 프로파일을 나선 성형드럼에 나선형으로 감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프로파일과 프로파일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수지를 공급하여 이를 일체로 연결 접착 함으로써 파이프 형태의 관 형태로 제작 사용하고 있다.
다공관은 파이프 형태로 압출 성형시 다공관을 비틀어 내벽에 나선형의 비틀림 공간을 형성한 후, 이를 진공 냉각함으로써 파이프 형태의 관 형태로 제작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 또는 다공관을 이용하여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관을 사용 용도별로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 용도별로 구분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폐기시 용도별로 구분하지 어려워 효과적으로 폐기처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공관의 외주면에 임의의 색상을 갖는 식별표시띠를 형성하여 용도별로 사용되는 다공관의 식별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한 식별표시띠는 다공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더욱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다공관의 외주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식별표시띠를 형성하되, 이 식별표시띠는 임의의 색상을 갖으며 나선형으로 비틀림 형성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공관(100)도 파이프 형태로 압출 성형될 때 내벽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나선형의 비틀림 공간(110)이 형성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폐수관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으며, 이러한 다공관(100)을 압출 성형시 비틀림 공간을 성형하는 장치는 본 고안이 청구하고자 하는 기술사항과 무관하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별표시부(200)를 갖는 다공관(100)은 도1에서와 같이 다공관(100) 외주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식별표시띠(200)가 형성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식별표시띠(200)는 도면에서는 4개소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많이 형성하거나 또는 적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식별표시띠(200)는 임의의 색상을 갖으며 다공관(10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수관에 사용되는 색상은 노란색으로 지정하고, 폐수관에 사용되 는 색상은 빨강색으로 지정하여 각각의 색상을 부여하면 사용시나 폐기시 용도별로의 구분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공관(100)은 공지의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파이프 형태로 압출 성형됨과 동시에 비틀림 회전할 때 내벽에 나선형의 비틀림 공간(110)이 형성된다. 이때 다공관(100)의 외주면에 별도의 식별표시띠 압출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식별표시띠(200)가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식별표시띠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단계가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한 식별표시띠(200)는 비틀림 공간(110)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비틀어지면서 다공관(10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공관(10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식별표시띠(200)는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육안으로의 식별 확인이 더욱 쉽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식별표시띠(200)가 다공관(10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만을 주요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식별표시띠 형성 방법은 상관 하지 않는다. 따라서 식별표시띠(200)가 다공관(10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면 다공관을 압출 성형시 상기한 다공관 외주면에 나선형의 띠홈을 형성하고, 별도의 식별표시띠를 마련한 후 상기 식별표시띠를 띠홈에 결합 함으로써, 다공관(100)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식별표시띠(200)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공관의 외주면에 임의의 색상을 갖는 식별표시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도별로 사용되는 다공관의 식별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한 식별표시띠는 다공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더욱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이프 형태로 압출 성형될 때 내벽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나선형의 비틀림 공간(110)이 형성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폐수관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다공관(100)에 있어서, 상기 다공관(100)의 외주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식별표시띠(200)를 형성하되, 이 식별표시띠(200)는 임의의 색상을 갖으며 나선형으로 비틀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KR2020060032771U 2006-12-28 2006-12-28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KR200435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71U KR200435985Y1 (ko) 2006-12-28 2006-12-28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71U KR200435985Y1 (ko) 2006-12-28 2006-12-28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187A Division KR20070023884A (ko) 2005-08-25 2005-08-25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985Y1 true KR200435985Y1 (ko) 2007-03-30

Family

ID=4156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771U KR200435985Y1 (ko) 2006-12-28 2006-12-28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9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483A2 (ko) * 2011-03-23 2012-09-27 Hwang In Soo 식별이 용이한 산업용 에어 튜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483A2 (ko) * 2011-03-23 2012-09-27 Hwang In Soo 식별이 용이한 산업용 에어 튜브
WO2012128483A3 (ko) * 2011-03-23 2012-11-22 Hwang In Soo 식별이 용이한 산업용 에어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RP20190869T1 (hr) Postupak oblikovanja priteznog prstena i pritezni prsten
JP5413657B2 (ja) 摩耗検知機能を有する輸送用ホース
US20100051131A1 (en) Pressure hose for a water carrying system
KR200435985Y1 (ko)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JP6161200B2 (ja) 管体
US20120222765A1 (en) Flexible hose with wear indicator
KR20070023884A (ko) 식별표시부를 갖는 다공관
US20120222766A1 (en) Flexible hose with wear indicator
US5647401A (en) Reinforcing-thread-buried resin pipe
JP5819062B2 (ja) 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
KR100632781B1 (ko) 기능성 합성수지관
JP2007100837A (ja) 耐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6150A (ko) 내부에 보호층이 형성된 식별표시 이중관
KR200367454Y1 (ko) 이중벽 나선형 하수관의 내외 분류표시구조
KR200435948Y1 (ko) 겹층관이 구비된 나선형 합성수지 다공관
KR20060086151A (ko) 내부에 보호층이 형성된 식별표시 복층관
KR100632779B1 (ko) 프로파일 나선형 합성수지관 코팅 직관 파이프
KR20090017172A (ko) 다중의 스크류 리브를 갖는 합성수지관
JPS616485A (ja) 高温流体用輸送管
DK173479B1 (da) Rør til foring af underjordiske rørledninger
RU238381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иральновитых труб из термопласта с полой стенкой замкнутого профиля
KR200348812Y1 (ko) 합성수지 하수관용 연결장치
KR200179465Y1 (ko)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KR20060004207A (ko) 겹층의 공간을 갖는 합성수지관
KR200418101Y1 (ko) 고강선 피복형 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