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82Y1 - 그릇 받침대 - Google Patents

그릇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82Y1
KR200435582Y1 KR2020060021550U KR20060021550U KR200435582Y1 KR 200435582 Y1 KR200435582 Y1 KR 200435582Y1 KR 2020060021550 U KR2020060021550 U KR 2020060021550U KR 20060021550 U KR20060021550 U KR 20060021550U KR 200435582 Y1 KR200435582 Y1 KR 200435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support
frame
pedest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창희
Original Assignee
배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창희 filed Critical 배창희
Priority to KR2020060021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을 담는 그릇을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릇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대 중앙에 촛불, 고체연료나 액체연료 등을 담는 발열체 용기를 수용하거나 음식물에서 생성된 기름수집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 받침부를 구비하되, 그 구조를 간이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릇 받침대가 개시된다.
그릇, 받침대, 핸들, 프레임, 펜스

Description

그릇 받침대{Supporter of food vesse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일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그릇 받침대 11 : 받침 프레임
12 : 받침 발 13 : 핸들프레임
20 : 용기 받침부 21 : 연결프레임
22 : 지지프레임 23 : 펜스프레임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담는 그릇을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대 중앙에 고체연료나 액체연료 등을 담는 발열체 용기를 수용하거나 음식물에서 생성된 기름수집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 상의 용기 받침부를 구비하되, 그 구조를 간이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부침개, 전골이나 찌개류의 음식은 식으면 맛이 없으므로 보통 뜨거운 상태에서의 취식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일반 접시나 냄비, 뚝배기 등에 담을 경우 얼마 지나지 않아 쉽게 식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뜨거운 상태의 냄비나 뚝배기를 식탁이나 밥상에 그대로 올려놓게 되면, 그릇이 놓여진 부분이 까맣게 그을리거나 변형되기도 하며, 식탁 위에 유리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급격한 열 상승으로 유리가 파손되는 일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 그릇의 하단을 받쳐서 고열이 직접 밥상이나 식탁 면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그릇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릇 받침대는 단순히 열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 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었다.
이에 보통 찌개나 전골 등의 뜨거운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그 맛을 충분히 지속시키기 위해서 휴대용 가스버너에 얹어 놓은 후 불을 약하게 점화시킨 상태에서 취식하고 있지만, 휴대용 가스버너를 식탁에 올려놓을 경우,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다른 반찬을 놓을 장소가 마땅치 않게 되거나 반대편에 있는 반찬을 집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뜨거운 음식물을 담은 그릇의 열이 식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기능을 가지면서도 음식물의 보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보온 기능과 음식물에서 생성된 기 름 등을 용이하게 배출하게 하는 그릇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릇받침대를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하는 그릇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그릇 받침대는 상기 그릇 받침대 외곽에 소정 높이의 받침 발이 구비되어 그릇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되고, 내측 저부에 소형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 받침부가 구비되되 상기 용기 받침부의 높이는 받침 발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릇 받침대는, 그릇을 받칠 수 있도록 외곽을 형성한 주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받침부는, 양단이 주프레임에 고정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중앙부를 하향 굴곡시켜서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펜스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본 고안은, 그릇 받침대(10) 내부에 용기 받침부(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릇 받침대(10)는, 그릇을 받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타원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주프레임(11)과, 상기 주프레임(11)에 고정되 고 하부로 연정되어 주프레임(11)을 지지하는 받침 발(12)과, 상기 주프레임(11)의 외곽에 형성된 핸들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프레임(11)은 하나 또는 크기가 다른 원형 프레임 2개가 동일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게 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하고, 상기 하나의 주프레임(11)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하거나 또는 2개의 주프레임(11) 간을 연결하는 받침 발(12)이 하부로 더 연장되어 그릇 받침대(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프레임(11)의 최 외곽에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반원형의 핸들프레임(13)이 구비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주프레임(11) 중 내부에 위치한 주프레임은 외부에 위치한 주프레임보다 높이를 낮게 설치하여 그릇이 안정감 있게 놓이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그릇 받침대(10)는 그릇을 받칠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 것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강선을 이용한 프레임이 아닌 금속판재를 타발 가공하여 그릇을 받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용기 받침부(20)는, 양단이 주프레임(11)에 고정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21)과, 상기 연결프레임(21)의 중앙부를 하향 굴곡시켜서 형성된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 상부에 위치한 펜스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1)과 지지프레임(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뿐만 아니라, 펜스프레임(23) 내부에 발열체 용기(도 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개수와 연결 형태 및 절곡 형태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때 용기 받침부(20)의 하단은 지면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를 유지시키 도록 받침 발(12)의 길이보다 용기 받침부(20)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일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 받침대(10) 상에 따뜻한 음식물을 담은 그릇(30)을 얹어 놓고 용기 받침부(20) 내부에는 발열체 용기(31)를 안착시킨 형태이다.
상기 발열체 용기(31)는, 불을 점화시킬 수 있는 메탄알코올과 같은 액상연료 또는 비누가루와 메탄알코올을 중합시킨 것이나 초와 같은 고체연료를 저장한 용기로서, 여기에 불을 붙이면 연료가 장시간 타면서 불꽃을 발생시키고 이 불꽃이 그릇(30)을 가열시켜 음식물을 따뜻한 상태로 보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다른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 받침대(10) 상에 돼지고기나 닭고기와 같은 기름진 음식물을 담은 그릇(30)을 얹어 놓고 용기 받침부(20) 내부에는 기름수집 용기(40)를 안착시킨 형태이다.
이때, 사용하는 그릇(30)은 내측 중심으로 경사지게 되고, 내부 중앙에 배출구(32)가 구비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그릇(30)에 담긴 음식물에서 기름이 발생하더라도 기름이 중앙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어 기름수집 용기(40)에 수집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릇 받침대(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의 용기 받침부(20)(20a)(20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 받침부(20)(20a)(20b)는 주프레임(11) 내부에서 다양한 형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또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용기 받침부를 복수 개 형성하면, 상기 도 3 및 도 4의 사용형태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바, 즉 어느 하나의 용기 받침부에 발열체 용기를 안착시키고, 다른 용기 받침부에는 기름수집 용기를 안착시켜서 보온상태 유지와 동시에 음식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의 그릇 받침대에 의하면, 그릇 받침대 내부에 발열체 용기 및/또는 기름수집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릇 받침기능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따뜻한 상태로 보온을 유지하면서 취식할 수 있는 보온기능이 제공되며, 아울러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기름 수집기능까지 제공된다.
게다가 그릇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제작되므로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므로 저가로 판매할 수 있게 되어 가정에 국한되지 않고 소형 또는 대형 음식점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그릇을 받칠 수 있도록 외곽을 형성한 주프레임과, 주프레임의 외곽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지지하는 받침발을 포함하는 그릇 받침대와;
    상기 그릇 받침대의 내측 저부에 소형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높이는 받침 발 높이보다 낮으며, 양단은 상기 그릇 받침대의 주프레임에 고정되는 용기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받침부는: 양단이 그릇 받침대의 주프레임에 고정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중앙부를 하향 굴곡시켜서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펜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이격(離隔) 설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 외주변에 핸들프레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KR2020060021550U 2006-08-10 2006-08-10 그릇 받침대 KR200435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50U KR200435582Y1 (ko) 2006-08-10 2006-08-10 그릇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50U KR200435582Y1 (ko) 2006-08-10 2006-08-10 그릇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82Y1 true KR200435582Y1 (ko) 2007-02-01

Family

ID=4161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50U KR200435582Y1 (ko) 2006-08-10 2006-08-10 그릇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88B1 (ko) 2009-09-03 2011-06-20 박숙희 휴대 가능한 다도용 받침대
KR20220130545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즉석 팝콘 튀김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88B1 (ko) 2009-09-03 2011-06-20 박숙희 휴대 가능한 다도용 받침대
KR20220130545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즉석 팝콘 튀김 용기
KR102489577B1 (ko) * 2021-03-18 2023-01-17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즉석 팝콘 튀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099B2 (en)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US6505746B1 (en) Multiple utensil rest providing prevention of food commingling
US4458585A (en) Rack for barbecue grill
WO2012125844A2 (en) Multi-functional platform food preparation device
US20170099998A9 (en) Lid holding device
US5345062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sian WOKS on modern kitchen ranges
KR200435582Y1 (ko) 그릇 받침대
US20120067902A1 (en) Volcano chicken pan
EP0974031B1 (en) Spitting device for use in a microwave oven
US6216586B1 (en) Device for cooking fowl
JP6395805B2 (ja) アルコールを用いた食品加熱調理器具および方法
US20120216686A1 (en) Side flame stove top grill
KR101495738B1 (ko) 구이 장치
RU99119486A (ru) Вер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KR200473713Y1 (ko) 휴대용 그릴
US20140209084A1 (en) Camp Fire Set
JP2007319639A (ja) ガスコンロに取付可能な串焼き装置
KR20100039478A (ko) 복수의 개별 요리가 가능한 냄비 조리장치
KR200385652Y1 (ko) 프라이 팬 거치대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064128B1 (ko) 불판용 다기능 받침대
CN107781863B (zh) 燃气灶用可翻转锅支架及带有该锅支架的燃气灶
JP2001057939A (ja) グリルの焼物載置台
KR20110002817U (ko) 테이블 에 장착 되어진 보조 선반
CN208371611U (zh) 一种电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