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352Y1 - 조경용 등반부재 - Google Patents

조경용 등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352Y1
KR200435352Y1 KR2020060025268U KR20060025268U KR200435352Y1 KR 200435352 Y1 KR200435352 Y1 KR 200435352Y1 KR 2020060025268 U KR2020060025268 U KR 2020060025268U KR 20060025268 U KR20060025268 U KR 20060025268U KR 200435352 Y1 KR200435352 Y1 KR 200435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pole
climbing member
landscap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2020060025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3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03Access covers or lock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 또는 전주의 기둥에 등반부재를 중첩되게 설치함으로써 가로등 또는 전주의 기둥의 하단에 식재된 식물이 등반부재를 따고 올라가면서 자랄 수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해 거리를 보다 효과 있게 녹화함으로써 거리 미관을 미려하게 조경할 수 있는 것이며, 설치된 등반부재로 인하여 광고지등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도로 및 거리의 옹벽에 등반부재를 설치하여 간편하면서도 빠른 시간에 거리를 친환경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조경용 등반부재
등반부재, 식생식물, 덩굴식물. 옹벽, 조경

Description

조경용 등반부재{Clinbing red for landscape architeture }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측에 나무잎형 걸이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배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의 도 4의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을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
도 11a.b는 본 고안을 용벽에 실시한상태를 나타낸 평면 및 정면예시도
*도면의 간단한 부호설명*
10...등반부재. 11...통기공
12...무늬모양부 13a...상측부
13b...하측부 14a.b...단턱부
15...돌기삽입공 16..나무잎형 걸이부재 삽입공
17...돌기부 18...미세돌기
19...나무잎형 걸이부재
20...지지부재 21....상단부
22...하단부. 23...뒤쪽면부
24...밴드 25...밴드공
26...지지부 27...요홈부
28...일측면부 29a.29b...볼트체결공
30...받침부재
본 고안은 조경용 등반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가로등이나 전주(電柱)주위에 등반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광고지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식재된 덩굴식물에 의하여 거리주변 및 도로의 옹벽을 환경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게 한 조경용 등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전주에 불법광고지의 부착에 의하여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고 또한 상기 부착된 불법광고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목보호대를 (특허등록 10- 0468886호)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수목보호대는 식재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로등, 전주의 하단에 삽입관을 설치하고 상기 삽입관의 상면에 다수개의 수목보호대를 고정설치한 후 하단에 설치된 삽입관에 수목을 식재하고 식재된 수목의 나뭇가지 및 나뭇잎이 수목보호대의 주연에 천공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표출되고 또는 수목보호대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목보호대는 단지 도로의 가로등, 전주에 부착되는 불법광고지를 못 붙이게 하는 역할을 할 뿐 도로주변의 미관을 향상시키기에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로등, 전주의 주위에 등반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거리 미관을 미려하게 녹화할 수 있도록 조경용 등반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 전주의 주위에 설치되는 등반부재를 중첩되게 설치하여 일정높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등반부재의 전면에 다수개의 형상모양과 표면에 미세한 돌기를 구성하여 식재된 덩굴식물이 잘 감아 올라갈 수 있도록 조경용 등반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로 또는 거리의 옹벽에 덩굴식물이 식재된 등반부재를 설치하여 간편하면서도 빠른 시간에 환경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조경용 등반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인 등반부재(10)의 전면에는 통기공(11)을 천공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무늬 모양부(12)을 다수 개 구성하여 덩굴식물이 잘 감아 올라 갈 수 있도록 관통되게 구성한다.
상기 등반부재(10)의 상측부(13a)는 내측으로 단턱부(14a)를 구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다수개의 돌기삽입공(15)과 나무잎형 걸이부재(19)를 삽입시킬 수 있는 나무잎형 걸이부재삽입공(16)을 천공하여 상기 구성하고 등반부재의 하측부(13b)에 구성된 단턱부(14b)에는 돌기부(17)를 구성한다.
그리고 등반부재(10)의 전체 면에는 미세돌기(18)를 구성하여 식재된 덩굴식물의 줄기 또는 덩굴손이 잘 올라 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등반부재(10)의 뒷면에는 가로등 및 전주에 지지되는 지지부재(20)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단부(21)는 요철형상으로 구성하고 하단부(22)에는 상단부의 요철형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뒤쪽면부(23)(가로등, 전주와 접촉하는 부위)의 상부 중부 하부에 등반부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밴드(24)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밴드공(25)과 밴드가 지지되는 지지부(26)를 구성하고 일측면부(28)(즉 등반부재의 뒷면)에는 반원상태의 요홈부(27)를 천공하였으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볼트체결공(29a)(29b)을 천공하여 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일측에는 미리 식재하여 키운 덩굴식물의 줄기 또는 덩굴손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받침부재(30)를 삽입 설치한다.
미설명 부호 100은 가로등 또는 전주. 101은 덩굴식물. 102는 상부 받침부. 103은 하부 보호대. 104는 옹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1내지 도3과같이 구성된 등반부재(10)를 중첩되게 설치하는데, 상기 등반부재의 뒤쪽에 설치된 받침부재(30)를 분리시킨 후 도 7과 같이 등반부재(10)의 상측부(13a)에 또 다른 등반부재(10)의 하측부(13b)를 중첩시키면 상측부(13a)와 하측부(13b)에 가각 구성된 단턱부(14a)(14b)가 서로 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측부(13b)에 전면에 구성된 돌기부(17)가 상측부(13a)에 천공된 돌기삽입공(15)에 끼어 맞춤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고 등반부재(10)의 뒷면에 설치된 지지부재(20)는 상단부(21)에 형성된 요철형상부에 하단부에 (22)에 형성된 요홈형상부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는 한편 결합된 지지부재가 유동되지 않토록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천공된 볼트체결공(29a)(29b)에 볼트를 체결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첩된 등반부재(10)는 가로등 또는 전주(100)에 도 9 및 도 10과 같이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등반부재는 등반부재(10)의 뒷면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부재(20)의 뒤쪽면부(23)(가로등, 전주와 접촉하는 부위)의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된 밴드공(22)에 밴드(24)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밴드(24)가 지지부(26)를 지지하게 되어 등반부재(2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 설치된 등반부재는 도 8과 같이 가로등 및 전주(100)의 기둥에 3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는 등반부재의 크기를 적게 하여 다수 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식재된 덩굴식물은 등반부재의 전체 면에 구성된 미세돌기(18)에 의해 등반부재(10)을 타고 올라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등반부재의 전면에 구성된 무늬모양부(12)에 사이사이에 천공된 통기공(11)과 지지부재(20)에 천공된 요홈부(27)를 통해 위로 감아 올라가면서 등반부재의 전체에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환경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쪽에 설치된 등반부재(10)에는 식재된 덩굴식물(101)을 지나가는 물체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하부 보호대(103)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식재된 덩굴식물이 상부까지 올라온 상태에서 등반부재의 상단일측에 설치된나무잎형 걸이부재삽입공(16)에 삽입 설치된 나뭇잎형 걸이부재(19)를 타고 아래로 늘어지게 되어 거리를 환경 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것이며 혹 가로등 및 전주(100)를 타고 위로 더 올라온 덩굴식물은 상측에 설치된 상부받침부(102)에 의하여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도록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1a. 도11b와 같이 도로 또는 거리의 옹벽(104)에 덩굴식물을 미리 식재시킨 등반부재를 설치하여 간편하면서도 빠른 시간에 환경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 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인 등반부재(10)의 전면에는 통기공(11)을 천공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무늬 모양부(12)을 다수 개 구성하여 덩굴식물이 잘 감아 올라 갈 수 있도록 관통되게 구성한다.
상기 등반부재(10)의 상측부(13a)는 내측으로 단턱부(14a)를 구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다수개의 돌기삽입공(15)과 나무잎형 걸이부재(19)를 삽입시킬 수 있는 나무잎형 걸이부재삽입공(16)을 천공하여 상기 구성하고 등반부재의 하측부(13b)에 구성된 단턱부(14b)에는 돌기부(17)를 구성한다.
그리고 등반부재(10)의 전체 면에는 미세돌기(18)를 구성하여 식재된 덩굴식물의 줄기 또는 덩굴손이 잘 올라 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등반부재(10)의 뒷면에는 가로등 및 전주에 지지되는 지지부재(20)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단부(21)는 요철형상으로 구성하고 하단부(22)에는 상단부의 요철형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뒤쪽면부(23)(가로등, 전주와 접촉하는 부위)의 상부 중부 하부에 등반부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밴드(24)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밴드공(25)과 밴드가 지지되는 지지부(26)를 구성하고 일측면부(28)(즉 등반부재의 뒷면)에는 반원상태의 요홈부(27)를 천공하였으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볼트체결공(29a)(29b)을 천공하여 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일측에는 미리 식재하여 키운 덩굴식물의 줄기 또는 덩굴손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받침부재(30)를 삽입 설치한다.
미설명 부호 100은 가로등 또는 전주. 101은 덩굴식물. 102는 상부 받침부. 103은 하부 보호대. 104는 옹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1내지 도3과같이 구성된 등반부재(10)를 중첩되게 설치하는데, 상기 등반부재의 뒤쪽에 설치된 받침부재(30)를 분리시킨 후 도 7과 같이 등반부재(10)의 상측부(13a)에 또 다른 등반부재(10)의 하측부(13b)를 중첩시키면 상측부(13a)와 하측부(13b)에 가각 구성된 단턱부(14a)(14b)가 서로 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측부(13b)에 전면에 구성된 돌기부(17)가 상측부(13a)에 천공된 돌기삽입공(15)에 끼어 맞춤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고 등반부재(10)의 뒷면에 설치된 지지부재(20)는 상단부(21)에 형성된 요철형상부에 하단부에 (22)에 형성된 요홈형상부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는 한편 결합된 지지부재가 유동되지 않토록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천공된 볼트체결공(29a)(29b)에 볼트를 체결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첩된 등반부재(10)는 가로등 또는 전주(100)에 도 9 및 도 10과 같이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등반부재는 등반부재(10)의 뒷면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부재(20)의 뒤쪽면부(23)(가로등, 전주와 접촉하는 부위)의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된 밴드공(22)에 밴드(24)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밴드(24)가 지지부(26)를 지지하게 되어 등반부재(2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 설치된 등반부재는 도 8과 같이 가로등 및 전주(100)의 기둥에 3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는 등반부재의 크기를 적게 하여 다수 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식재된 덩굴식물은 등반부재의 전체 면에 구성된 미세돌기(18)에 의해 등반부재(10)을 타고 올라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등반부재의 전면에 구성된 무늬모양부(12)에 사이사이에 천공된 통기공(11)과 지지부재(20)에 천공된 요홈부(27)를 통해 위로 감아 올라가면서 등반부재의 전체에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환경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쪽에 설치된 등반부재(10)에는 식재된 덩굴식물(101)을 지나가는 물체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하부 보호대(103)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식재된 덩굴식물이 상부까지 올라온 상태에서 등반부재의 상단일측에 설치된나무잎형 걸이부재삽입공(16)에 삽입 설치된 나뭇잎형 걸이부재(19)를 타고 아래로 늘어지게 되어 거리를 환경 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것이며, 혹 가로등 및 전주(100)를 타고 위로 더 올라온 덩굴식물은 상측에 설치된 상부받침부(102)에 의하여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도록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1a. 도11b와 같이 도로 또는 거리의 옹벽(104)에 덩굴식물을 미리 식재시킨 등반부재를 설치하여 간편하면서도 빠른 시간에 환경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가로등 또는 전주의 기둥에 등반부재를 중첩되게 설치함으로써 가로등 또는 전주의 기둥의 하단에 식재된 식물이 등반부재를 따고 올라가면서 자랄 수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해 거리를 보다 효과 있게 녹화함으로써 거 리 미관을 미려하게 조경할 수 있는 것이며, 설치된 등반부재로 인하여 광고지등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도로 및 거리의 옹벽에 등반부재를 설치하여 간편하면서도 빠른 시간에 거리를 친환경적으로 조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상측부(13a)내측으로 단턱부(14a)와 외측으로는 다수개의 나뭇잎형 걸이부재 삽입공(16)을 천공하고 하측부(13b)에 구성된 단턱부(14b)에 다수개의 돌기부(15)를 구성하였으며 전체 면에는 미세돌기(18)를 구성하고 전면에 구성된 무늬모양부(12)에 통기공(11) 구성한 등반부재(10)의 뒷면에 지지부재(20)를 일체로 구성하여 가로등 및 전주의 기둥에 고정설치 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등반부재.
  2. 1항에 있어서 등반부재(10)의 뒷면에 구성된 지지부재(20)의 뒤쪽면부(23)일측에는 밴드공(25)을 천공하고 이의 일측에 지지부(26)를 구성하였으며 타측면부(28)에는 다수개의 요홈부(27)를 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등반부재.
  3. 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의 상단부(21)는 중앙부에 요철형상으로 구성하고 하단부(22)에는 상단부의 요철형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형상으로 구성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볼트체결공(29a)(29b)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등반부재
KR2020060025268U 2006-09-20 2006-09-20 조경용 등반부재 KR200435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68U KR200435352Y1 (ko) 2006-09-20 2006-09-20 조경용 등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68U KR200435352Y1 (ko) 2006-09-20 2006-09-20 조경용 등반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991 Division 2006-09-20 2006-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352Y1 true KR200435352Y1 (ko) 2007-01-17

Family

ID=4155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68U KR200435352Y1 (ko) 2006-09-20 2006-09-20 조경용 등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3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52B1 (ko) 2007-04-20 2008-09-24 박상희 조경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52B1 (ko) 2007-04-20 2008-09-24 박상희 조경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0664B2 (en) Plant container
KR101167716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200435352Y1 (ko) 조경용 등반부재
KR100805780B1 (ko) 조경 식물용 등반안내 구조
KR200387463Y1 (ko)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101399110B1 (ko) 생태 기둥 조립체
KR100859852B1 (ko) 조경용 구조물
JP2018007650A (ja) 緑化構造体及び簡易フェンス又は広告表示体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0778327B1 (ko) 가로등용 식생플랜지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200401009Y1 (ko) 가로등용 식생플랜지
KR20190123903A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200378407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대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JP3122456U (ja) 植木鉢保持具
KR200404519Y1 (ko) 가로수 토사유실 및 잡초발생 방지장치
KR20150100179A (ko) 미관성을 향상시킨 수목보호대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12712Y1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2589308B1 (ko) 작물 보호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