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327A - 수목보호판 - Google Patents

수목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327A
KR20130024327A KR1020110087713A KR20110087713A KR20130024327A KR 20130024327 A KR20130024327 A KR 20130024327A KR 1020110087713 A KR1020110087713 A KR 1020110087713A KR 20110087713 A KR20110087713 A KR 20110087713A KR 20130024327 A KR20130024327 A KR 2013002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ee
permeable
block
pi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001B1 (ko
Inventor
정선호
Original Assignee
(주)삼이블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이블록 filed Critical (주)삼이블록
Priority to KR102011008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0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수목보호판이 수목이 자라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식생공간)을 점유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목이 자라기 위해 필요한 공간위로 투수블록을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지탱해주는 경계석 또한 투수 경계석을 사용하여 보도와 미관상 재료를 통일화 하고 수목을 덮는 땅 위쪽에 일정한 공간을 띄워 수목주위로 투수블록을 덮어도 수목이 자라는데 전혀 지장이 없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사용공간을 넓히도록 하였다. 또한, 주철을 사용한 기존의 수목보호대는 수목이 생장할때 수목의 뿌리가 올라오거나 흙속에서 뿌리가 굵어져 지반이 올라와 수목보호대가 뒤틀리는 현상이 생기지만 본원 발명에의한 수목보호판은 투수블록이 누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도로에 깔린 기존블록과 비슷한 느낌의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도로가 넓어보이고 깔끔하게 미화된다.

Description

수목보호판{TREE GUARD}
본 발명은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나무를 심을 때에는 나무를 심을 곳을 어느 정도 파내어 뿌리를 넣고 나무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을 세우고 뿌리 위쪽으로 다시 흙을 덮게 된다. 그런데 가로수와 같은 경우 가로수 옆을 지나다니는 보행자에 의하여 흙이 유실되고 비가 오는 경우에도 흙이 유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수의 경우 수목보호판을 씌우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은 주철을 사용하여 만든 수목보호대 혹은 수목보호판을 씌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목보호대는 보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서 보도의 폭을 좁힐 뿐 아니라 보도와 수목이 심겨져 있는 부분의 소재에 차이가 커서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나무가 생장함에 따라 수목의 뿌리가 올라오거나 흙속에서 뿌리가 굵어져 지반이 올라오면서 수목보호대가 뒤틀리는 현상이 생기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자연석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4-0002692호 ' 자연석 수목보호대'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수목보호대를 제공하였지만 수목이 자라기 위해서 필요한 물과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자연석에 일일이 구멍을 뚫어야 하였기에 자연석을 가공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갔으며 구멍이 없는 경우 나무가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 되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목보호판을 설치해도 보도의 폭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나무의 생장에도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보도를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는 수목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나무가 심겨져 있는 곳의 흙이 유실되지 않게 하면서 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물과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만드는 수목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목의 생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수목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목보호판을 제공하는데 상기 수목보호판은
격자형으로 뼈대를 이루며 블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곽에서 프레임과 맞닿아 프레임을 지탱해주는 프레임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는 수목이 통과할 수 있는 수목생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는 블록과 블록사이에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공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갖는 투수판이 형성되며 프레임에는 블록이 올려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대는 투수경계석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는 지면과 프레임을 이격시키는 받침다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목생장부의 주변 프레임에도 식생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다수개의 프레임조각을 끼워맞춰서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목보호판에 의하여 보도에서 수목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보도에 사용되는 재료와 차이가 없는 재료로 수목이 자라는 공간을 채움으로써 도로가 넓어보이도록 하며 외관이 수려한 도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수목보호판위에 올려지는 투수블록의 무게로 인하여 수목이 생장할 때 생기는 뿌리 뒤틀림을 위쪽에서 눌러주면서도 수목의 생장에 필요한 물과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로수의 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수목보호판은 투수 경계석위에 올려지기 때문에 기존에 보도를 이루는 투수블록이나 기타 다른 블록과 이질감이 없어 외적인 통일성을 가질수 있으며 우기시 보도와 수목보호판을 단절시키지 않아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일실시예를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4내지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을 위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목보호판은 다수의 프레임(14)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프레임(14)은 여러개로 구획되어 있고 받침이 있어 그 위에 투수블록(12)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블록(12)은 일반 블록이 아닌 투수블록을 사용한다. 또한, 투수블록과 투수블록사이의 프레임 일부는 투수판(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수판(13)으로는 물과 공기등이 출입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은 주철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기계적인 특성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경우 주철로 제작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서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중앙에는 수목이 통과하기 위한 수목생장부(15)가 뚫려 있으며 네귀퉁이에는 수목지지대를 세우기 위한 지지대고정구(16)가 형성되어 있다. 투수 경계석(11)은 외부에서 프레임을 지탱한다.
프레임은 세로방향 프레임과 가로방향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수블록을 올려놓을 공간을 마련하게 되며 받침다리(17)는 나무가 심겨 있는 땅과 프레임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물과 공기가 저장되며 나무가 심겨 있는 땅부분이 물이나 공기와 만나게 되는 면적을 넓히게 된다. 프레임과 투수 경계석(11)은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별개의 것으로 분리되어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제로 나무를 심은후 프레임을 올려놓은 후 그 위를 투수블록으로 덮게 되는데 나무가 밖으로 나오는 부분인 수목생장부(15) 이외에는 보도블록과 같은 재질의 투수블록으로 덮이기 때문에 발로 밟아도 문제가 없으며 비가오더라도 투수블록에 의해 땅속으로 흡수되거나 투수블록 위를 흘러 길에 있는 배수구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또한 발로 여러 차례 밟아도 문제가 없으며 보도와 같은 재질이기 때문에 보도에서 나무를 심기 위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투수블록으로 덮은 부분은 자전거도로나 인도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투수 경계석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경계석등을 사용하는 경우 보도블록과 재질이 달라 이질감을 느끼게 하며 표면이 미끄러워서 안정성이 떨어지며 투수성이 없기 때문에 수목의 생장에 방해가 되며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물의흐름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투수 경계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투수율이 높아 수목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미끄럼 저항치가 높아 비가 올때도 위험하지 않으며 도로와 비슷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도로가 넓어 보이게 하며 시각적인 안정감과 보행자에게 좀 더 넓은 보도를 제공하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을 위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녹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프레임의 색깔이며 회색은 투수블록의 색깔이다. 그리고 검정색은 뚫려 있는 곳으로서 위에서 보았을 때 수목생장부(15)와 지지대고정구(16)및 투수판(13) 일부는 뚫려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부분으로 물이나 공기가 스며들게 된다. 투수블록은 회색인데 완전히 뚫린 것이 아니라 물이나 액체가 스며들어 아래쪽의 땅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있어서 수목의 입장에서는 물과 공기가 드나드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만든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을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아래에서 볼때는 받침다리(17)의 형상이 명확하게 보이며 받침다리와 받침다리 사이의 공간은 비게 되기 때문에 위쪽에서 내려온 공기와 물이 머물 수 있게 되어 흙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게 된다. 프레임(14)은 투수블록(12)을 아래와 옆에서 받치도록 되어 있으며 프레임(14)은 2개로 나뉘어져 있어 연결부(18)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즉, 프레임은 여러개의 프레임 조각을 맞춰 하나로 구성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투수판(13)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다. 투수판(13)은 투수블록과 투수블록사이나 프레임(14)위에 세워져 수목보호판 위쪽의 공기와 물이 나무쪽으로 직접 옮겨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투수판(13)에는 식생공간(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식생공간(21)은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4에서는 이러한 예중 일부를 예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을 도시하는데 두개의 프레임을 하나로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수목보호판의 프레임은 같은 모양 두개를 이어 붙이면 도5와 같은 모양이 나오기 때문에 한개당 제작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약된다.
도6은 투수 경계석과 투수블록과 프레임을 조립한 모습을 도시한다.
11:수목지지대 12:투수블록
13:투수판 14:프레임
15:수목생장부 16:지지대고정구
17:받침다리 18:연결부
21: 식생공간

Claims (5)

  1. 수목보호판으로서,
    격자형으로 뼈대를 이루며 투수블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곽에서 프레임과 맞닿아 프레임을 지탱해주는 투수 경계석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는 수목이 통과할 수 있는 수목생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는 투수블록과 투수블록사이에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공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갖는 투수판이 형성되며 프레임에는 투수블록이 올려지는.
    수목보호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대는 투수 경계석일 수 있는, 수목보호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는 지면과 프레임을 이격시키는 받침다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생장부의 주변프레임에도 식생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수개의 프레임조각을 끼워맞춰서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판.
KR1020110087713A 2011-08-31 2011-08-31 수목보호판 KR101250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713A KR101250001B1 (ko) 2011-08-31 2011-08-31 수목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713A KR101250001B1 (ko) 2011-08-31 2011-08-31 수목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27A true KR20130024327A (ko) 2013-03-08
KR101250001B1 KR101250001B1 (ko) 2013-04-03

Family

ID=4817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713A KR101250001B1 (ko) 2011-08-31 2011-08-31 수목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862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선로드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CN112813765A (zh) * 2021-01-06 2021-05-18 万志芳 一种防滑和排水效果更佳的景观步道透水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200Y1 (ko) * 2000-07-27 2001-06-15 한상관 투수(透水)경계 불럭
KR200365228Y1 (ko) * 2004-07-23 2004-10-15 (주) 동산조경 식생 수목 보호판
KR100815231B1 (ko) * 2007-08-13 2008-03-19 (주)청원산업 조립식 투수성 가로수분 및 그 시공방법
KR101027006B1 (ko) * 2010-04-20 2011-04-11 정영희 투수블록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862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선로드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CN112813765A (zh) * 2021-01-06 2021-05-18 万志芳 一种防滑和排水效果更佳的景观步道透水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001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5370A (ko) 가로수용 수목 보호판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1797588B1 (ko) 수목 보호 블럭
KR20190123903A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200392392Y1 (ko) 화단 조경용 경계블록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100558468B1 (ko) 도로 조경용 화단
KR101186671B1 (ko) 띠녹지용 가로수 보호덮개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CN213144113U (zh) 一种园林景观植物护栏
KR101179690B1 (ko) 수목 보호용 다기능 조립식 포장 블록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CN203416672U (zh) 绿化植物种植框
CN210226326U (zh) 一种市政绿化架
CN102487751A (zh) 多功能植物栽培单元及套装
KR20100113771A (ko) 조립식 잔디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