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57Y1 -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 Google Patents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957Y1
KR200434957Y1 KR2020060026956U KR20060026956U KR200434957Y1 KR 200434957 Y1 KR200434957 Y1 KR 200434957Y1 KR 2020060026956 U KR2020060026956 U KR 2020060026956U KR 20060026956 U KR20060026956 U KR 20060026956U KR 200434957 Y1 KR200434957 Y1 KR 200434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ole
protection structure
oi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석
Original Assignee
동명통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통산(주) filed Critical 동명통산(주)
Priority to KR2020060026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Manufacturing of the fuel inlet or connecting elements to fuel inlet, e.g. pipes or ven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에 관한 것으로, 제작자가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기가 간편해지고 다른 공정에 비해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주유구 보호구조의 제작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상부를 성형시키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코어금형;과 상기 코어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하부를 성형시키는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금형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내측성형부;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주유공성형부;와 상기 주유공성형부 일측에 연결되어 주유공성형부가 주유공을 성형시키도록 주유공성형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MOLD FOR STRUCTURE PROTECTING HOLE OF GASOLINE INJECTION}
도 1은 종래의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에서 코어금형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금형으로 제작된 주유구 보호구조가 장착되는 주변 구조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의 상하부금형과 코어금형을 측면결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금형의 코어금형에서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와 인출시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개방부
12. 주유공 13. 개폐수단설치공
21. 주유구안착홈 22. 주유구커버
23. 주유구 24. 주유구캡
100. 상부금형 110. 중간분할면
111. 결합홈 120. 상부성형부
200. 코어금형 210. 내측프레임
211. 결합공 220. 내측성형부
221. 주유공성형부 230. 실린더
231. 실린더몸체 232. 피스톤
233. 실린더고정부 300. 하부금형
310. 중간분할면 311. 결합봉
320. 하부성형부
본 고안은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과정에서 금형 중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코어금형의 주유공성형부를 용이하게 직선운동시키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구는 주유구커버를 열고 주유구캡을 열어 주유구를 통해 차량의 연료탱크에 오일을 주유시키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주유구를 통해 오일을 주유시키면 주유구 주변의 차체가 긁혀 상하거나 더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주유구 주변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주유구의 주위를 보호하기 위해 주유구 보호구조를 주유구 주변 구조에 설치시킨다.
종래의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은,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상부를 성형시키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코어금형;과 상기 코어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하부를 성형시키는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금형(2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내측성형부(220);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주유공성형부(221);와 상기 주유공성형부 일측에 연결되어 주유공성형부가 주유공을 성형시키도록 주유공성형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이동수단(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에서 코어금형의 구성상태도이다.
이동수단(90)은 이동나사봉과 고정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이동나사봉(91) 일단부에는 주유공성형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회전손잡이(92)가 연결된다. 고정나사부(93)는 코어금형의 외측프레임(212)의 외측에 고정된다. 이동나사봉의 외주연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나사부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동나사봉은 외측프레임에 접촉되지 않게 관통되면서 고정나사부에 치합된다.
이동수단은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 이동나사봉이 고정나사부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 밀착시키고, 주유구 보호구조의 인출시 이동나사봉이 고정나사부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금형은 제작자가 직접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제작자가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기가 번거롭고 다른 공정에 비해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너무 많이 할애되어 주유구 보호구조의 제작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작자가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기가 간편해지고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주유구 보호구조의 제작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은,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상부를 성형시키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코어금형;과 상기 코어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하부를 성형시키는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금형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내 측성형부;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주유공성형부;와 상기 주유공성형부 일측에 연결되어 주유공성형부가 주유공을 성형시키도록 주유공성형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몸체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몸체는 실린더고정부에 의해 코어금형의 외측프레임에 고정되며, 피스톤 단부에는 주유공성형부가 연결되고,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 피스톤이 실린더몸체에서 이완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 밀착시키며, 주유구 보호구조의 인출시 피스톤이 실린더몸체에서 수축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금형 일측에 결합봉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금형의 일측에 결합공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금형 일측에 결합홈이 요홈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이 결합공에 관통되면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정하고, 도면의 수직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정하며, 도면의 중앙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정하며 내측의 반대방향을 외측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의 구성을 나타내는 내측 평면상태도이다. 도 3(a)는 상부금형의 구성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코어금형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며, 도 3(c)는 하부금형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도 3(a)의 상부금형은 내측부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은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금형으로,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되, 금형 중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코어금형의 주유공성형부를 용이하게 직선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유구 보호구조은 자동차 주유구의 주위를 보호하기 위해 주유구의 주위에 장착시키는 것이고, 주유공은 주유용 구멍이다.
본 고안의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을 설명하기 전에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유구 보호구조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유구 보호구조가 장착되는 통상적인 주유구의 주변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고 본 고안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유구 보호구조를 설명 한 후 설명된 주유구에 맞춰 주유구 보호구조를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금형으로 제작된 주유구 보호구조가 장착되는 주변 구조상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주유구의 주변 구조는 주유구홈, 주유구커버, 주유구 및 주유구캡 등으로 이루어진다. 차량의 기름통 일측에 주유구홈(21)이 요홈 형성되고, 주유구홈의 일측에는 주유구커버(22)가 개폐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주유구홈에는 주유구(23)가 관통되며, 주유구에 기름 이 충진된 후 기름이 새지 않도록 주유구캡(24)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유구 보호구조는 본체, 개방부, 주유공 및 개폐수단설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일측에 개방부(11)가 개방되고, 본체의 타측에 주유공(12)이 관통 형성된다. 본체의 측부에는 개폐수단설치공(13)이 관통 형성된다. 개폐수단설치공은 주유구 주변구조에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닫히지 않고 일부가 절단된 구조이다.
주유구 보호구조가 주유구홈에 안착되어 주유구홈이 보호된다. 주유구 보호구조의 개방부는 주유구홈이 개방되는 부위에 위치된다. 주유공은 주유구에 끼움 결합되고, 개폐수단설치공에는 개폐수단이 조립된다.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은 상부금형, 코어금형 및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하부금형 사이에 코어금형이 위치된다.
상부금형(100)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주유구 보호구조의 상부를 성형시킨다. 상부금형은 전술된 개폐수단설치공이 위치되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본체 상측부분과 주유공의 일부를 성형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일실시예는 4개의 주유구 보호구조를 제작할 수 있는 금형이다. 상부금형의 중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평평한 중간분할면(110)이 요홈 형성되어 상부금형을 분할시킨다. 중간분할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부성형부(120)가 성형하고자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상부형상에 맞게 각각 2개씩 요홈 형성된다.
상부성형부에 있어서 주유구 보호구조의 개방부를 성형시키는 부위가 상부금형의 중간분할면에 위치되고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부위가 중간분할면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상부금형의 중간분할면의 양측에는 결합홈(111)이 상측을 향해 요홈 형성되어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 코어금형과 하부금형과 결합된다. 상부금형의 상부 일측에는 내측의 상부성형부로 주입구(130)가 관통되어 용융물이 주입된다.
하부금형(300)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어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주유구 보호구조의 하부를 성형시킨다. 하부금형은 개폐수단설치공이 위치되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본체 반대쪽 하측부분과 주유공의 일부를 성형시킨다.
하부금형의 중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평평한 중간분할면(310)이 요홈 형성되어 하부금형을 분할시킨다. 중간분할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부성형부(320)가 성형하고자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하부형상에 맞게 각각 2개씩 요홈 형성된다.
하부성형부에 있어서 개방부를 성형시키는 부위가 하부금형의 중간분할면에 위치되고,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부위가 중간분할면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하부금형의 중간분할면의 양측에는 결합봉(311)이 돌출 형성되어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 상부금형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다.
코어금형(200)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의 하측과 하부금형의 상측에 위치되어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킨다. 코어금형은 내외측프레임, 내측성형부, 주유공성형부 및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어금형은 사각형의 외측프레임(212)이 구비되고 외측프레임의 중간에 내측 프레임(210)이 가로질러 외측프레임을 분할시킨다. 내측프레임의 양측에는 내측성형부가 일체 형성되고, 내측성형부와 일정한 각도를 축으로 외측프레임에 주유공성형부와 실린더가 설치된다.
내측프레임은 상하부금형과 결합시 중간분할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내측프레임은 하부금형의 결합봉이 관통되는 결합공(211)이 관통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금형의 결합봉은 내측프레임의 결합공에 관통되고 상부금형의 결합홈에 끼워져 상하부금형과 코어금형을 결합시킨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의 상하부금형과 코어금형을 측면결합상태도이다.
내측성형부에 있어서 주유구 보호구조의 개방부가 성형되는 부위는 내측프레임의 양측에 위치되고, 주유공이 성형되는 부위는 그 반대쪽에 위치된다.
내측성형부(220)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킨다. 내측성형부는 상하부금형의 상하부성형부에 대응하여 주유구 보호구조 본체의 내측부를 성형시킨다. 내측성형부는 성형시키고자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내측성형부에 있어서 개폐수단설치공이 성형되는 부위는 상부금형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개폐수단설치공이 완전히 관통되게 성형되도록 한다.
주유공성형부(221)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킨다. 주유공성형부는 상하부금형에 의해 성형되지 못 하는 주유공의 주변부위를 성형시킨다. 주유공성형부는 내측성형부에 있어 주유공이 성형되는 부위와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주유공이 완전히 관통되도록 성형시킨다.
실린더(230)는 주유공성형부 일측에 연결되어 주유공성형부가 주유공을 성형 시키도록 주유공성형부를 직선운동시킨다.
실린더는 실린더몸체(231)와 피스톤(232)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몸체는 실린더고정부(233)에 의해 외측프레임에 고정되고, 피스톤 단부에는 주유공성형부가 연결된다. 실린더몸체는 외측프레임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피스톤은 외측프레임을 관통하여 직선운동한다.
실린더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이 실린더몸체에서 이완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 밀착시킨다. 실린더는 주유구 보호구조의 인출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이 실린더몸체에서 수축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서 이격시킨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금형의 코어금형에서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a)와 인출시(b)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의 피스톤을 실린더몸체로부터 직선이동시켜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 밀착시킨다(도 5(a)). 그 다음 하부금형 상측에 코어금형을 위치시키고 코어금형 상측에 상부금형을 위치시킨다. 이때 하부금형의 결합봉이 코어금형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부금형의 결합홈에 끼워짐으로써 상하부금형과 코어금형이 결합된다(도 4).
상하부금형과 코어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금형의 주입구를 통해 용융물을 주입시킨다. 주입구는 상하부성형부와 내측성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 간에 용융물을 주입시킨다.
용융물이 각각의 성형부에 주입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하부금형과 코어금형을 해체시킨다.
그 다음 실린더의 피스톤을 실린더몸체로부터 직선이동시켜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로부터 이격시킨 후 완성 성형된 주유구 보호구조를 인출시킨다(도 5(b)). 실린더의 피스톤을 주유공성형부에 연결시켜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공정이 이루어진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은 제작자가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기가 간편해지고 주유공성형부를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주유구 보호구조의 제작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 다.

Claims (3)

  1. 주유구 보호구조를 성형시키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상부를 성형시키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코어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하부를 성형시키는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금형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내측부를 성형시키는 내측성형부;
    상기 주유구 보호구조의 주유공을 성형시키는 주유공성형부;
    상기 주유공성형부 일측에 연결되어 주유공성형부가 주유공을 성형시키도록 주유공성형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몸체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몸체는 실린더고정부에 의해 코어금형의 외측프레임에 고정되며, 피스톤 단부에는 주유공성형부가 연결되고,
    주유구 보호구조의 성형시 피스톤이 실린더몸체에서 이완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 밀착시키며, 주유구 보호구조의 인출시 피스톤이 실린더몸체에서 수축되어 주유공성형부를 내측성형부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 일측에 결합봉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금형의 일측에 결합공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금형 일측에 결합홈이 요홈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이 결합공에 관통되면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KR2020060026956U 2006-09-29 2006-09-29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KR200434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56U KR200434957Y1 (ko) 2006-09-29 2006-09-29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56U KR200434957Y1 (ko) 2006-09-29 2006-09-29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881A Division KR100790936B1 (ko) 2006-09-29 2006-09-29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957Y1 true KR200434957Y1 (ko) 2007-01-02

Family

ID=4155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56U KR200434957Y1 (ko) 2006-09-29 2006-09-29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587B2 (en) Plastic valve cover with integrated metal
CN101568473B (zh) 用于制造开启装置的半成品
US10119437B2 (en) Receptacle for a fluid, in particular engine oil pan or transmission oil pan for a motor vehicle
CN103764991A (zh) 进气歧管的树脂成型模具、进气歧管和进气歧管的树脂成型方法
WO2019102977A1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1904331B2 (en) Dispenser container
US20160252149A1 (en) Axially Damping Elastomer Bearing,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20190356076A1 (en) Dummy pin
JP3150283U (ja) 2連シリンダ式バルブゲート構造及び前記2連シリンダ式バルブゲート構造を有する金型用ブロック
KR200434957Y1 (ko)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WO2019172037A1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0936B1 (ko) 주유구 보호구조용 성형금형
CN205291477U (zh) 立体角式模穴形成装置
JP2006347032A (ja) 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用金型、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方法
JP3910226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法並びに固定接点ベースの製法
JP6859124B2 (ja) 棒状成形体の射出成形金型、および棒状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7283498A (ja) 金型及びガス抜き方法
JP4657704B2 (ja) パッキンの製造方法
JP6682139B2 (ja) 合成樹脂製パイプの製造方法
US6318984B1 (en) Molding element for tire
JP4757015B2 (ja) 合成樹脂製のl型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2007005153A (ja) コネクタ
US20240165863A1 (en) Apparatus for fixing insert member in mold, mold apparatus, and insert molding method
JP6819962B2 (ja) インペラの製造方法
JP695487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