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75Y1 - 주사기 물감용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물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75Y1
KR200434775Y1 KR2020060026151U KR20060026151U KR200434775Y1 KR 200434775 Y1 KR200434775 Y1 KR 200434775Y1 KR 2020060026151 U KR2020060026151 U KR 2020060026151U KR 20060026151 U KR20060026151 U KR 20060026151U KR 200434775 Y1 KR200434775 Y1 KR 200434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yringe
container
present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단아
Original Assignee
정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단아 filed Critical 정단아
Priority to KR2020060026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3Hand tools of the syring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사기 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는 배출구와, 배출구의 외주면에 제1 나사부를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물감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마련한 투명한 재질의 본체; 일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요홈의 내벽에 제1 나사부와 결합되는 제1 나선부가 형성되는 돌림마개; 및 가압부와 손잡이를 구비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사기 형상의 용기로서, 주사기 입구 부분에 돌림마개를 구비하여 물감의 누출을 방지하고, 피스톤원리를 이용하여 물감을 남김없이 쓸 수 있으며, 밖으로부터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사용 후 장기간 보관하여도 물감이 굳거나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색표기를 보지 않고도 물감의 색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물감을 다 사용하면 물감을 리필함으로써 물감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물감, 용기, 주사기

Description

주사기 물감용기{Dye dispens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감 10: 본체
11: 수용부 12: 배출구
13: 제1 나사부 14: 제2 나사부
20: 돌림마개 22: 제1 나선부
30: 피스톤 31: 가압부
32: 손잡이 33: 손잡이홀더
34: 체결부 40: 뚜껑
42: 제2 나선부 21,41: 요홈
23,35,43: 돌기
본 고안은 주사기 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 형상으로, 주사기 입구 부분에 돌림마개를 구비하여 물감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밖으로부터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물감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피스톤원리를 이용하여 물감의 전량사용이 가능한 주사기 물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감용기를 튜브 또는 병을 이용함으로써, 용기를 개봉하여 물감을 사용 후 마개를 닫아두어도 시간이 지나면 용기 안에 담겨 있는 물감이 굳어지므로, 못쓰게 되어 물감과 함께 용기를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주사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물감을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남김없이 쓸 수 있으며, 사용 후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물감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 물감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색표기를 찾지 않고도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주사기 물감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주사기 물감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과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주사기 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는 배출구(12)와,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제1 나사부(13)를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물감(1)이 수용되는 수용부(11)를 마련한 투명한 재질의 본체(10); 일면에 요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1)의 내벽에 상기 제1 나사부(13)와 결합되는 제1 나선부(22)가 형성되는 돌림마개(20); 및 가압부(31)와 손잡이(32)를 구비하는 피스톤(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사기 물감용기는 본체(10), 돌림마개(20) 및 피스톤(30)을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30)의 가압부(31)와 손잡이(32)는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타단에 뚜껑(40);을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31)의 밑면은 상기 수용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돌림마개(20) 및 피스톤(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물감(1)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가 마련되고, 본체(10)의 일단에 물감(1)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마련되며, 타단은 개방된 형태로, 상기 피스톤(30)을 밀착하여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색표기를 찾지 않고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배출구(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1 나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돌림마개(20)는 일면에 상기 배출구(12)를 수용할 수 있는 요홈(21)이 형성된다. 돌림마개(20)를 배출구(12)에 체결시, 상기 요홈(21)은 내벽에 제1 나선부(22)가 마련되어, 배출구(12)의 제1 나사부(13)와 맞물려 밀접하게 결합된다. 또한, 돌림마개(20)는 외측면에 돌기(23)가 마련되어, 돌림마개(20)를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돌림마개(20)는 배출구(12)로부터 물감(1)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스톤(30)은 본체(10) 내부에 있는 물감(1)을 밀어낼 수 있도록 가압부(31)와 손잡이(3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피스톤(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내에 수용되는 물감(1)을 밀어내기 위한 가압부(31)와, 타단에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손잡이(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31)는 고무패킹으로 구비하고, 가압부(31)의 밑면은 상기 본체(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물감(1)의 전량을 사용가능하고,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사용 후 장기간 보관하여도 물감(1)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의 차단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가압부(31)의 고무패킹을 2중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주사기 물감용기는 물감(1)을 사용시엔 상기 피스톤(30)을 전진시켜 물감을 배출구로 밀어내고, 물감을 리필할 때는 상기 피스톤(30)을 후퇴시켜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물감(1)을 다시 채울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는 상기 피스톤(30)의 가압부(31)와 손잡이(32)가 결합 또는 분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타단에 뚜껑(40)을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물감용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피스톤(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홀더(33)를 포함하여 가 압부(31)와 손잡이(32)로 결합 또는 분리가 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2)의 일단에 가압부(31)의 손잡이홀더(33)에 결합되는 체결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34)는 상기 손잡이홀더(33)에 넣어 돌려서 결합시킬 경우, 손잡이(32) 타단의 측면에 돌기(35)가 형성되어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상기 본체(10)는 개방된 타단의 외주면에 제2 나사부(14)가 마련된다. 상기 뚜껑(40)은 일면에 본체(10)의 개방된 형태의 타단을 덮을 수 있도록 요홈(41)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41)의 내벽에 본체(10)의 제2 나사부(14)와 밀접하게 끼울 수 있는 제2 나선부(42)를 구비한다.
측면에 돌기(43)가 형성되어 뚜껑(40)을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주사기 물감용기는 물감(1)을 사용시엔 상기 손잡이(32)를 상기 손잡이홀더(33)에 연결시키고, 가압하여 물감(1)을 배출구(12)로 밀어내고, 사용 후 보관시에는 손잡이홀더(33)로부터 손잡이(32)를 분리하고, 상기 뚜껑(40)을 본체(10)의 제2 나사부(14)에 결합시켜 상기 가압부(31)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유입의 차단을 막아 물감(1)의 변질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물감(1)을 리필할 때는 뚜껑(40)을 열고, 손잡이홀더(33)에 손잡이(32)의 체결부(34)를 결합시킨 피스톤(30)을 후퇴시켜 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물감(1)을 다시 채울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사기 형상의 용기로서, 주사기 입구 부분에 돌림마개를 구비하여 물감의 누출을 방지하고, 피스톤원리를 이용하여 물감을 남김없이 쓸 수 있으며, 밖으로부터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사용 후 장기간 보관하여도 물감이 굳거나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색표기를 보지 않고도 물감의 색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물감을 다 사용하면 물감을 리필함으로써 물감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사기 물감용기에 있어서,
    일단에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는 배출구(12)와,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제1 나사부(13)를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물감(1)이 수용되는 수용부(11)를 마련한 투명한 재질의 본체(10);
    일면에 요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1)의 내벽에 상기 제1 나사부(13)와 결합되는 제1 나선부(22)가 형성되는 돌림마개(20); 및
    가압부(31)와 손잡이(32)를 구비하는 피스톤(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물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물감용기는,
    본체(10), 돌림마개(20) 및 피스톤(30)을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30)의 가압부(31)와 손잡이(32)는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물감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타단에 뚜껑(40);을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물감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1)의 밑면은 상기 수용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물감용기.
KR2020060026151U 2006-09-27 2006-09-27 주사기 물감용기 KR200434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51U KR200434775Y1 (ko) 2006-09-27 2006-09-27 주사기 물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51U KR200434775Y1 (ko) 2006-09-27 2006-09-27 주사기 물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75Y1 true KR200434775Y1 (ko) 2006-12-27

Family

ID=4178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51U KR200434775Y1 (ko) 2006-09-27 2006-09-27 주사기 물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681B1 (ko) 2012-11-29 2013-03-06 기능건설산업 주식회사 조색제 포장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681B1 (ko) 2012-11-29 2013-03-06 기능건설산업 주식회사 조색제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975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용액 토출유도구의 구조
US20170043365A1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KR101141669B1 (ko) 분리용기
US3228057A (en) Combination applicator brush and dispenser
US8066510B2 (en) Dental agent applicator
JP2010006451A (ja) 液体噴出器
KR200434775Y1 (ko) 주사기 물감용기
JP5340405B2 (ja) 筆記用具、および筆記用具のための内表面溝を有するキャップ
KR101533378B1 (ko)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1475680B1 (ko) 액체 도포구
KR20120111540A (ko) 액상화장품 용기
KR101832086B1 (ko) 컵 세척수단
KR100932782B1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200486824Y1 (ko) 리필 가능한 치약 용기 세트
KR200335626Y1 (ko) 리필용 화장솔
KR200227219Y1 (ko) 일회용 화장품 용기
JP2000255656A (ja) カートリッジ式吐出容器
KR100891939B1 (ko) 액상용기
KR20110139085A (ko)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KR200270376Y1 (ko) 매니큐어 용기
KR200425617Y1 (ko) 매니큐어
KR20130059664A (ko)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