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441Y1 - 지폐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441Y1
KR200434441Y1 KR2020060022248U KR20060022248U KR200434441Y1 KR 200434441 Y1 KR200434441 Y1 KR 200434441Y1 KR 2020060022248 U KR2020060022248 U KR 2020060022248U KR 20060022248 U KR20060022248 U KR 20060022248U KR 200434441 Y1 KR200434441 Y1 KR 200434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case
identification device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2Length or wid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지폐의 식별과 함께, 최근 발행되고 있는 신권까지 식별 가능한 지폐 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지폐 식별 장치는 몸체를 이루며, 전면에 지폐가 투입될 수 있는 지폐 투입구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좌우측 상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의 좌우측 하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광부는 다수의 수광셀이 평형하게 배열된 수광칩을 포함한다.
지폐 식별 장치

Description

지폐 식별 장치{Paper money identification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의 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인쇄 회로 기판 120; 발광부
130; 수광부
본 고안은 지폐 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지폐의 식별과 함께, 최근 발행되고 있는 신권까지 식별 가능한 지폐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식별 장치는 지폐를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광 또는 투과광으로부터 색상을 감지함으로써 지폐위에 형성된 인쇄모양 등을 식별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지폐의 형태를 식별하거나 그 지폐가 진짜인지 위조된 것인지를 판별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폐 식별 장치는 하나의 종류에 국한된 지폐만을 감지한다. 따라서, 정해진 다른 종류의 지폐, 특히, 지폐의 크기 및 디자인이 변하여 신권이 발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의 지폐식별기가 주로 사용되는 자판기와 같은 장치의 경우 신권지폐가 발행될 경우 종래의 지폐식별장치를 사용할 수 없어, 지폐식별장치와 함께 장치 자체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지폐의 식별과 함께, 최근 발행되고 있는 신권까지 식별 가능한 지폐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지폐의 식별과 함께, 최근 발행되고 있는 신권까지 식별 가능한 지폐 식별 장치가 부착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폐 식별 장치는 몸체를 이루며, 전면에 지폐가 투입될 수 있는 지폐 투입구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 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좌우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좌우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발광부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는 다수의 수광셀이 평행하게 배열된 수광칩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광셀은 실리콘 재질의 포토다이오드, 실리콘 재질의 포토트랜지스터 및/또는 포토IC이며, 바람직하게는 포토다이오드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광칩은 상기 지페의 폭에 따른 감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수광셀들이 나란히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광셀들이 평행하게 배열된 수광칩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각 수광셀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징된 수광칩은 외부 환경과 격리 보호하는 몰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는 케이스(110),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10)는 지폐 식별 장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를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전면에 지폐가 투입될 수 있는 지폐 투입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좌우측 상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 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발광부(120)는 일반적인 반사형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120)는 화합물 반도체로 만들어지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의 광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좌우측 상단에 설치된 발광부(12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거나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수광부(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좌우측 하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 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발광부(120)가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 좌우측에 설치되면, 상기 수광부(130)는 상기 케이스(110) 하단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120)가 상기 케이스(110) 하단의 좌우측에 설치되면, 상기 수광 부(130)는 상기 케이스(110) 상단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좌우측 하단에 설치된 수광부(13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져, 수광부(130) 쌍을 이룬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의 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의 수광부(130)는 소정의 금속 패턴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131) 상에 하나의 수광칩(132)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수광칩(132)은 수광되는 광의 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소자이다. 상기 수광칩(132)상에는 수광된 광원에 반응하는 다수의 수광셀, 여기서는 포도다이오드셀(133)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각 포토다이오드셀(133)들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 균일하게 이격되거나 또는 연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포토다이오드 셀들이 지폐투입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다이오드셀(133)의 수는 지폐폭의 차이에 상응하도록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포토다이오드셀(133)들은 각각 도전성 와이어(134)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 전극패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광칩(132)과 인쇄회로기판 전극패드(135)는 소정의 몰딩부(136)를 통하여 외부 환경과 격리되어 보호된다. 즉, 상기 몰딩부(136)는 상기 수광칩(132) 및 인쇄회로기판 전극패드(135)가 외부의 공기나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몰딩부(136)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공정에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의 작동은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발광부(120)가 빛을 발광하는 동안에, 상기 케이스(110)의 지폐 투입구(115)를 통하여 지폐가 투입된다.
지폐가 투입되면, 상기 발광부(120)에서 발광된 빛의 일부는 상기 지폐에 의하여 상기 수광부(130)에서 감지되지 않게 된다.
즉, 지폐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의 수광부(130)에서 빛을 감지하는 상태를 100%라고 가정하면, 상기 지폐가 투입된 상태의 수광부(130)에서 빛을 감지하는 상태는 100% 미만이 된다.
반대로, 지폐가 투입된 상태의 수광부(130)에서 빛을 감지하는 상태를 "1"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지폐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의 수광부(130)에서 빛을 감지하는 상태는 "1" 을 초과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지폐의 투입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지폐가 투입되면, 상기 수광부(130)의 수광칩(132)을 통하여 지폐의 크기를 감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폐가 투입되었을 때, 상기 수광부(130) 쌍의 전체 수광칩(132) 중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다이오드셀(133)의 갯 수가 지폐의 크기마다 다르다. 즉, 일만원권과 오천원권(신권, 구권 포함) 및 일천원권 마다 크기가 다르므로,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상기 포토다이오드셀(133)의 갯 수가 지폐 크기마다 다르게 된다.
또한, 상기 수광부(130)가 쌍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110)의 좌우측 하단에 설치되므로, 지폐의 위치가 좌우 균일하게 위치하지 않더라도,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셀(133)의 갯수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게 되므로, 지폐의 크기에 따른 식별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좌우 수광부(130)는 어레이된 포토다이오드셀(133) 숫자가 5개씩인 수광칩의 경우 각 지폐에서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셀(133)의 갯 수는 항상 일천원권 6개, 오천원권 4개, 일만원권 2개, 신권 오천원권 8개로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떠한 지폐가 들어오더라도 상기 수광부(130)의 포토다이오드셀(133)의 갯수 및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지폐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식별 장치는 수광칩에 실장되어 있는 수광셀의 수 및 그 배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지폐가 투입되더라도 지폐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지폐의 식별과 함께, 최근 발행되고 있는 신권까지 식별 가능한 지폐 식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몸체를 이루며, 전면에 지폐가 투입될 수 있는 지폐 투입구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좌우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좌우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발광부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광부는 다수의 수광셀이 평행하게 배열된 수광칩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셀은 실리콘 재질의 포토다이오드, 실리콘 재질의 포토트랜지스터 또는 포토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칩은 직사각형 형태의 포토다이오드셀들이 지폐투입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폐식별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
KR2020060022248U 2006-08-19 2006-08-19 지폐 식별 장치 KR200434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48U KR200434441Y1 (ko) 2006-08-19 2006-08-19 지폐 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48U KR200434441Y1 (ko) 2006-08-19 2006-08-19 지폐 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441Y1 true KR200434441Y1 (ko) 2006-12-21

Family

ID=4178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48U KR200434441Y1 (ko) 2006-08-19 2006-08-19 지폐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02B1 (ko) 2008-10-01 2009-03-26 한국조폐공사 보안카드용 진위 식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02B1 (ko) 2008-10-01 2009-03-26 한국조폐공사 보안카드용 진위 식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019A (en) Currency validator using a photocoupler for image recognition using cylindrical lens
TWI415033B (zh) 紙張類鑑別用光學感測裝置
US7489456B2 (en) Lens module
RU2446473C1 (ru) Обработчик документов с защитой встроенного датчика от посторонних субстанций
KR20000077198A (ko) 경화 판별장치
US20050173220A1 (en) Sleep circuit for document validator
US11988855B2 (en) Optical fingerprint sensors
KR101046247B1 (ko) 지폐 판별 장치용 지폐 탐지 유닛
CN101881840B (zh) 纸钞通道异物检测装置
US7760971B2 (en) Anti-EMI lens module
KR200434441Y1 (ko) 지폐 식별 장치
US7222712B2 (en) Document validator with locking cassette
TWI403979B (zh) 紙鈔通道異物偵測裝置
KR19980014331A (ko)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KR100613423B1 (ko) 지폐 계수기
JPH0989538A (ja) 光学センサ装置
JPH0944633A (ja) 紙葉類鑑別装置
JP4515199B2 (ja) 光学センサ装置に用いられる透光部材
JP2003332614A (ja) 光結合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機器
KR200444632Y1 (ko) 일체형 발광 다이오드 모듈
KR102331307B1 (ko) 감지 성능이 향상된 광학식 물체 통과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8348B1 (ko) 초소형 위폐 감지기
KR20230097239A (ko) 용지 감지 특성이 개선된 콤팩트형 프린터용 광센서
JP2005202586A (ja) 硬貨径検出装置
KR101974601B1 (ko) 지폐 계수기의 더블 검지 센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