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360Y1 - 스키 연습용 폴 지그 - Google Patents

스키 연습용 폴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360Y1
KR200434360Y1 KR2020060026187U KR20060026187U KR200434360Y1 KR 200434360 Y1 KR200434360 Y1 KR 200434360Y1 KR 2020060026187 U KR2020060026187 U KR 2020060026187U KR 20060026187 U KR20060026187 U KR 20060026187U KR 200434360 Y1 KR200434360 Y1 KR 200434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upled
jig
skiing
sk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훈
Original Assignee
김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훈 filed Critical 김장훈
Priority to KR2020060026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i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004Anti-theft devices for skis or ski equipment
    • A63C11/005Anti-theft devices for skis or ski equipment on the ski or p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54Snowboard or ski binding or interface allowing pivoting motion during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지(지면)에서 스키연습을 행함에 있어, 스키 연습자의 몸 지탱 및 도보를 도우며 회전시 지렛대 역할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스키 폴을 딱딱한 지면에 체킹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하여 엘보우의 치명적인 부상을 예방하고, 타격에 의한 충격이 신체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체킹 오류, 즉 미끄럼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스키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육지에서 스키 연습을 위한 폴 지그를 나사방식에 의해 분해 조립을 위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육지는 물론, 설원에서 스키를 즐기기 위한 폴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의 하단부에 결합을 위한 나사방식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이 결합된 연결체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된 연결캡과; 상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중공부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쿠션을 갖는 고무재질의 볼이 결합된 고정체와; 상기 연결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 폴 지그가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폴 체킹시 지면에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스키, 폴, 지그, 연결체, 연결캡, 스프링

Description

스키 연습용 폴 지그{Ski pole jig for train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그 2:몸체
3:덮개 4:연결체
4a, 4b, 5a, 6a:나사부 5:연결캡
6:고정체 7:너트
8:스프링 9:볼
본 고안은 스키 연습용 폴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원이 아닌 육지(지면)에서 스키연습을 행함에 있어, 스키 연습자의 몸 지탱 및 도보를 도우며 회전시 지렛대 역할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스키 폴을 딱딱한 지면에 체킹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하여 엘보우의 치명적인 부상을 예방하고, 타격에 의한 충격이 신체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체킹 오류, 즉 미끄럼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스키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육지에서 스키 연습을 위한 폴 지그를 나사방식에 의해 분해 조립을 위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육지는 물론, 설원에서 스키를 즐기기 위한 폴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 폴은 세 가지로 구별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첫째, 몸을 지탱해 주고 걸을 때 도움이 되고, 둘째, 사용자의 몸 균형을 유지시켜주며, 셋째,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스키어가 회전을 할 때 지렛대로 작용하고 동시에 상체를 안정되게 한다.
스키 폴은 회전하려는 곳의 안쪽에 정확히 꽂으면 보다 쉽게 회전할 수 있ㅇ으며, 스키 폴을 꽂기 위해서는 우선 손을 앞쪽으로 내밀어서 팔꿈치가 몸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스키 폴을 꽂으려고 생각한 자리를 겨냥하면서 몸을 약간 앞으로 내민다. 이론적으로, 스키 폴을 꽂는 위치는 회전 반원의 중심이다.
스키 폴을 꽂을 때 스키 폴이 눈속에 깊이 박히든지 아니면 표면을 살짝 스치고 지나가든지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스키어의 스피드가 빠를수록 스키 폴 을 꽂을 시간은 줄어든다. 그러면 스키 폴을 꽂는 것보다는 살짝 지르고 지나가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스키는 동절기에 눈 위에서 행해지는 스포츠로서, 우리나라와 동남아시아 등과 같이, 하절기에는 스키를 즐길 수 없는 환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스키 메니아 등은 하절기에는 스키 대신에 인라인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육지에서 스키 연습을 행하게 된다.
스키 대신에 인라인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육지에서 턴과 자세 교정 등의 연습을 실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폴은 사용자의 균형과 안정된 자세를 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육지에서 스키 연습을 행함에 있어, 스키 대신에 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폴을 체킹하는 과정에서, 딱딱한 지면으로 인해 원할한 폴 체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폐단을 안고 있다.
또한, 폴을 딱딱한 지면에 체킹하는 과정에서, 타격에 의한 충격이 폴에 가해지게 되어 접촉부위가 쉽게 뭉그러지거나 변형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폴을 통해 발생 된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어 심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폴 체킹시 지면과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절기 지면에서 스키 연습을 행함에 있어, 육지연습을 위한 폴 지그의 착탈이 간 편·용이하도록 하여 육지나 설원에서 간편하게 지그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면에서의 폴 체킹시,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이 폴 몸체에 전달되지 않고 흡수, 완충 되도록 하여 충격에 의한 폴의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하고, 잦은 타격으로 인해 변형 및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딱딱한 지면으로 인해 체킹시 폴이 꽂아지지 않고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스키 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면에서 스키 연습을 위한 스키 메니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체킹 시 충격 흡수,완충을 위한 지그의 분해, 결합이 간편·용이하며, 스키 폴 뿐만 아니라, 지팡이 등 노약자의 보행을 위해 사용되는 지팡이 등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 상단부에 손잡이부와 이탈방지 밴드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쐐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 스키 폴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결합을 위한 나사방식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이 결합된 연결체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된 연결캡과; 상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중공부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쿠션을 갖는 고무재질의 볼이 결합된 고정체와; 상기 연결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 폴 지그가 착탈이 용이하 게 결합되어 폴 체킹시 지면에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1)는 폴 몸체(2)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에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그(1)는 연결체(4), 연결캡(5), 고정체(6) 및 너트(7)로 이루어지며, 지면에서 스키연습을 위한 폴 체킹시 지면에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체(4)는 상,하단부에 나사부(4a, 4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중공부(4c)가 형성되어 중공부(4c)내에 스프링(8)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캡(5)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에는 통공(5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고정체(6)는 상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체(4)에 형성된 중공부(4c)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나사부(6a)가 형성되어 쿠션을 갖는 고무재질의 볼(9)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체(4)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b)에는 너트(7)가 결합된다.
상기 너트(7)는 연결체(4)에 결합되는 연결캡(5)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서, 연결체(4)에 결합되는 너트(7)의 위치에 따라, 연결캡(5)의 결합위치가 설정되고, 연결캡(5)의 위치가 설정됨에 따라, 통공(5a)을 통해 하단부가 하방 으로 드러나게 결합된 고정체(6)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너트(7)에 의해 고정체(6)의 결합위치가 조절되어 폴 체킹시 지그(1)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너트(7)의 결합위치를 상방으로 올려 높게 위치되도록 하면, 연결캡(5)의 결합위치가 상승하게 되어 연결체(4) 하단부와 연결캡(5)의 바닥면 사이가 좁게 형성되고, 연결캡(5)의 위치가 상승되어 결합됨에 따라, 고정체(6)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중공부(3c)내에 결합된 스프링(8)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너트(7)에 의하 연결캡(5)의 결합위치에 따라, 고정체(6)의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고정체(6)의 위치설정에 따라, 스프링(8)의 가압력이 조절되어 스프링(8)에 의한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8)에 의한 고정체(6)에 가해지는 탄성력과, 너트(7)에 의한 고정체(6)의 위치에 따라, 스키 폴 체킹시 지그(1)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지그(1)는 폴 체킹시 지면에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그(1)의 볼(9)은 쿠션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폴 체킹 시 지면에 대한 마찰력이 우수하므로,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정상적인 체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 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지그(1)는 연결체(4)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4c)에 스프링(8)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b)에 고정체(6)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체(4)에는 너트(7)와 연결캡(5)이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6)는 연결캡(5)에 의해 결합 위치가 설정되어 스프링(8)을 가압하며 결합되고, 고정체(6)의 하부는 통공(5a)을 통하여 하방을 드러나게 결합되어 하단부에 쿠션재질의 볼(9)이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스키 연습을 위한 폴 하단부에 지그(1)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키 연습을 위해 체킹함에 따라, 지그(1)의 볼(9)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충격에 의해 상방으로 위치이동되며, 고정체(6)가 상방으로 위치 이동됨에 따라, 연결체(4)의 중공부(4c)에 내설된 스프링(8)이 압착되면서, 소정의 탄성력을 고정체(6)에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폴이 들어 올려져 볼(9)이 지면과 이격되면, 접촉에 따른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스프링(8)의 반발력에 의해 고정체(6)가 하강되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폴 몸체(2)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에 핀(11)이 결합된 결합체(10)를 결합한 것이다.
상기 결합체(10)는 설원에서 스키를 즐기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8)과 쿠션을 갖는 고무재질의 볼(9)이 구비된 지그(1)를 스키 폴의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지면에서 스키 연습을 행함에 있어, 폴 체킹시 딱딱한 지면과 볼(9)이 접촉되므로, 볼(9)의 마찰력과 쿠션력 및 스프링(8)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체킹 시 발생되는 충격이 폴에 가해지지 않고, 고무재질의 볼(9)에 의해 1차 흡수, 완충되며, 볼(9)이 결합된 고정체(6)가 상방으로 상승되면서, 내설된 스프링(8)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어 충격이 2차 흡수, 완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충격이 폴에 가해지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고, 지그(1)에 의해 흡수, 완충되어 효율적이고 원할한 체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폴 체킹시 지면에 고무재질의 볼(9)이 접촉되므로, 지면과 미끄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지그(1)는 스키 연습을 위한 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스키장에서도 폴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원에서 직접 스키를 즐기기 위해서는 폴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에 결합되어진 지그(1)를 분해하여 제거하고, 핀(11)이 결합된 결합체(10)를 끼워 결합하게 되면, 스키용 폴로 사용하여 원할한 스키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서는 노약자의 보행을 위한 지팡이나 각종 보행 보조 기구 등의 끝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및 완충을 위한 수단으로 공기를 이용한 에어 댐퍼 등과 같은 에어 충격흡수기구 등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키 연습용 폴 지그를 이용함에 따라, 지면에서 스키 연습을 행함에 있어, 폴 체킹 과정에서,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이 폴 에 전달되지 않고 흡수, 완충 되므로, 충격에 의한 폴의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하고, 잦은 타격으로 인해 변형 및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지그를 교체하여 지면에서 연습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설원에서 스키를 즐기기 위한 스키용 폴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체킹시 폴이 꽂아지지 않고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스키 연습을 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키 연습효과를 향상시키고,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 손잡이부와 이탈방지 밴드가 형성되며, 본체(2) 하단부에 결합부(3)가 형성되게 구성된 스키 폴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결합부(3)에는 지그(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그(1)는 상,하단부에 나사부(4a, 4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중공부(4c)가 형성되어 스프링(8)이 결합된 연결체(4)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에는 통공(5a)이 형성된 연결캡(5)과;
    상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체(4)에 형성된 중공부(4c)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나사부(6a)가 형성되어 쿠션을 갖는 고무재질의 볼(9)이 결합된 고정체(6)와;
    상기 연결체(4)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b)에 결합되는 너트(7)로 구성되어 폴 체킹시 지면에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연습용 폴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7)는 연결체(4)에 결합되는 연결캡(5)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연결체(4)에 결합되는 너트(7)의 위치에 따라, 연결캡(5)의 결합위치가 설정되고, 연결캡(5)의 위치가 설정됨에 따라, 통공(5a)을 통해 하단부가 하방으로 드러나게 결합된 고정체(6)의 위치가 설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연 습용 폴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 몸체(2)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에 핀(11)이 결합된 결합체(10)를 결합하여 결합체(10)에 의해 설원에서 스키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연습용 폴 지그.
KR2020060026187U 2006-09-28 2006-09-28 스키 연습용 폴 지그 KR200434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87U KR200434360Y1 (ko) 2006-09-28 2006-09-28 스키 연습용 폴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87U KR200434360Y1 (ko) 2006-09-28 2006-09-28 스키 연습용 폴 지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450A Division KR100818806B1 (ko) 2006-09-28 2006-09-28 스키 연습용 폴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360Y1 true KR200434360Y1 (ko) 2006-12-20

Family

ID=4178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87U KR200434360Y1 (ko) 2006-09-28 2006-09-28 스키 연습용 폴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3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5056B2 (en) Longboard skating propulsion pole for land paddling
US5163710A (en) Roller skating pole
US9782665B2 (en) Roller skate
KR200434360Y1 (ko) 스키 연습용 폴 지그
KR100818806B1 (ko) 스키 연습용 폴 지그
KR100789177B1 (ko) 스키 연습용 폴 지그
KR200434357Y1 (ko) 스키 연습용 폴 지그
CA2984018C (en) Land paddle
US20080048415A1 (en) Springloaded snowblade unit with complimentary binding complexes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KR20050105133A (ko) 충격흡수부재가 내장된 인라인신발
EP1749556A1 (fr) Ski de fond à roues
US20170319932A1 (en) Stickhandling tools, hockey training aids, and related methods
CN201033239Y (zh) 防滑型曲棍球杆
JP3522649B2 (ja) 屈曲部分を有する直棒状の杖
KR200299126Y1 (ko) 발로 차는 셔틀콕
KR102499405B1 (ko) 게임용 타격장치
KR20140095143A (ko) 고정볼을 이용한 원터치 게이트볼 스틱
KR200368092Y1 (ko) 타력이 향상된 스포츠 라켓
KR200247768Y1 (ko) 하키게임용 놀이기구
WO2006038860A1 (en) A stick
KR20038155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US20020082113A1 (en) Head for a child&#39;s golf club
KR100407141B1 (ko) 롤러 보드
NO20220211A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