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555Y1 -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555Y1
KR200433555Y1 KR2020060025242U KR20060025242U KR200433555Y1 KR 200433555 Y1 KR200433555 Y1 KR 200433555Y1 KR 2020060025242 U KR2020060025242 U KR 2020060025242U KR 20060025242 U KR20060025242 U KR 20060025242U KR 200433555 Y1 KR200433555 Y1 KR 200433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dancing
twist
exercis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영
박봉훈
정익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디자인
박봉훈
주식회사 제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디자인, 박봉훈, 주식회사 제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to KR2020060025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5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5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 다리를 좌우로 비틀어 트위스트 운동함과 동시에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춤추는듯한 전신 운동을 통하여 유산소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평상시에는 음향플레이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mp3음향플레이어를 내장한 운동기구로서, 지지판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몸체와 베이스 몸체의 상부에 양 발을 각각 독립적으로 디딜 수 있는 두 개의 회전발판과 베이스몸체 상부 중앙에 mp3를 내장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트위스트운동기구, 헬스, mp3

Description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Dancing twist sporting goods}
도 1은 본 고안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대한 해부도.
도 3은 본 고안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대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위스트 운동기구
10 : 베이스 몸체 10-1 : 베이스몸체의 정면
10-2 : 베이스몸체의 배면
10-3 : 베이스몸체의 저면
11 : 베이스 하부 12 : 고무로 된 돌기 13 : 고무 흡착판
14 : 연결부 14-1 : 이어폰연결구
14-2 : usb연결구
14-3 : 전원연결구
15 : mp3음향플레이어 15-1 : 조작버튼부
16 : 스피커 17 : 베어링 18 : 베어링 연결홈
19 : 숫자 20 : 회전발판 21 : 원 모양의 구멍
22 : 돌기 23 : 지지축
본 고안은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 다리를 좌우로 비틀어 트위스트 운동함과 동시에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춤추는듯한 전신 운동을 통하여 유산소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평상시에는 음향플레이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mp3음향플레이어를 내장한 운동기구로서, 지지판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몸체와 베이스 몸체의 상부에 양 발을 각각 독립적으로 디딜 수 있는 두 개의 회전발판과 베이스몸체 상부 중앙에 mp3를 내장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운동기구의 고정대에 고정된 한 개의 회전판에 사용자가 양발을 가지런히 모으고 올라서서 손잡이나 기타 의존체를 잡은 다음 발이 밀착되어 있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허리의 비틀림을 유발하여 허리와 무릎관절을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의존체를 잡지 않을 경우 제한된 면적의 한 개의 회전판에 사용자가 두 발을 디디고 올라서서 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운동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몸의 중심점이 흐트러지면 안정성이 떨어져 곧바로 내려와야 했다. 그리고 모아진 발이 회전판과 회전하고, 최대한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체는 원래의 위치에 둔 상태로 틀어져 허리에 무리를 줄 뿐 아니라 상체로부터 하체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움직임이 없어 유산소 운동과 같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또한, 안정성을 위하여 손잡이나 의존체를 잡고 운동할 경우에는 상체가 자유롭지 못해 허리 이외의 상체에 대한 운동이 어려웠으며 단순하게 허리를 비트는 동작의 운동만을 가능하여 운동에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됨으로 운동기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운동기구의 외형적인 모형 또한 투박스러움으로 시각적인 효과는 바랄수도 없었으며, 운동기구 자체의 무게나 크기로 인하여 공간에 대한 제약이 따름으로 휴대하거나 이동하기가 간편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트위스트 운동기구 내부에 음향플레이어를 내장하여 전신으로 춤추듯 운동하게 됨으로 실증과 지루함이 없이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장시간 전신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간단한 스트레칭 운동기구로서의 사용 가능하게 하며 운동기구의 소재를 연질의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소재로 구성하여 휴대하고 이동하기가 용이함으로 장소나 공간의 제약없이 어디서나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며, 심플한 디자인을 통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함으로 트위스트 운동기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음향플레이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 다리를 좌우로 비틀어 트위스트 운동함과 동시에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춤추는듯한 전신 운동을 통하여 유산소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평상시에는 음향플레이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mp3음향플레이어(15)를 내장한 운동기구로서, 지지판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몸체(10)와 베이스 몸체(10)의 상부에 양 발을 각각 독립적으로 디딜 수 있는 두 개의 회전발판(20)과 베이스몸체(10) 상부 중앙에 mp3음향플레이어(15)를 내장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판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몸체(10)와 베이스몸체의 배면(10-2)에는 연결부(14)로 베이스몸체의 정면(10-1)에는 스피커(16)로 구성하고 있으며, 베이스몸체(10) 상부에 사용자의 양 발을 각각 디딜 수 있는 두 개의 회전발판(20)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회전발판(20)의 바닥에는 돌기(22)가 솟아 있으며, 회전발판(20)의 중앙 부분에 원 모양의 구멍(21)을 내어 숫자(19)가 보이도록 구비하였으며, 베이스몸체(10)의 상부 중앙인즉 두 개의 회전발판(10)의 사이에 mp3음향플레이어(15)를 내장하고 이를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조작 버튼부(15-1)와 양 옆으로 스피커(16)를 구비하여 베이스몸체(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심플한 디자인의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의 해부도를 나타낸 것으로, 베이스 몸체(10)와 회전발판(20)으로 구성되어진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발판(20)은 가볍고 견고한 연질의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웬만 한 성인의 발 크기와 형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각의 발을 디딜 수 있도록 개별로 두 개를 가장 안정적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몸체(10)에 결합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실질적으로 마찰되는 회전발판(20)의 윗면 바닥에는 좌우로 비트는 트위스트 운동 시에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압의 효과를 주기 위하여 돌기(22)를 형성하였으며, 좌우로 비틀 시에 신체의 발이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발판(20)의 테두리를 돌출 시켜 구성하였다. 또한 회전발판(20)의 윗면의 중앙 위쪽으로는 원 모양의 구멍(21)을 형성하여 회전발판(20)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베이스 몸체(10)의 윗면에 새겨진 숫자(19)를 볼 수 있도록 구비하였으며, 회전발판(20)의 저면에는 회전 운동 시에 베어링(17)에 끼워져 기계적인 구조 역할이 되는 지지축(23)을 회전발판(20)의 저면에 돌출시켜 성형함으로 회전발판(20)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하였다.
상기의 베이스 몸체(10)는 회전발판(20)에 더해지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판의 역할로서 베이스몸체 하부(11)는 바닥과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소재로 구성하였으며, 베이스 몸체(10)는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구성하여 베이스몸체 하부(11)의 소재인 고무 위에 플라스틱으로 이중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베이스 몸체(10)의 윗면에는 각각의 분리된 두 개의 발판을 위치할 수 있는 베어링연결홈(18)을 구비하여 베어링연결홈(18)에는 먼저 베어링(17)이 결합되고 베어링(17)의 연결 부위에 회전발판(20)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지지축(23)을 결합하여 좌우로 비틀며 360°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몸체(10)의 윗면에는 회전발판(20)이 연결되는 베어링연결홈(18) 주위에 시계와 같은 모양으로 숫자(19)를 형성하고 회전발판(20)의 바닥 중앙 위쪽에 형성된 구멍으로 베이스 몸체(10)에 새겨진 숫자(19)를 불 수 있음으로 이는 유희용으로 주사위 숫자 놀이를 병행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게임이나 레크레이션 시에 유희용으로 즐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베이스몸체(10)의 상부 중앙인즉 회전발판(20)의 사이에 mp3음향플레이어(15)를 내장하고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부(15-1)를 구비하여 음악을 들으며 좌우로 비트는 트위스트 운동을 하게 됨으로 인하여 음악에 따라 박자에 맞추어 춤을 추듯 다양한 동작으로 전신운동을 가능하게 되며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으로 전신 운동을 함으로 전신 스트레칭은 물론 유산소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몸체의 배면(10-2)에는 각종 연결부(14)를 구비하고, 연결부에는 사용자가 베이스 몸체(10)를 음향플레이어의 용도로 사용 시에 완벽한 고음질의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이어폰연결구(14-1)를 구비하였으며, mp3음향플레이어(15)를 사용하기 위하여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함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전기를 인가해 줄 전원 어댑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전원연결구(14-3)를 구비하였으며, 베이스 몸체(10)에 내장된 mp3음향플레이어에 mp3파일을 다운 받거나 음악파일이 담긴 usb메모리스틱을 연결하거나 컴퓨터 usb컨넥타를 통하여 전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usb연결구(14-2)를 구비함으로 세 가지의 연결구를 연결부(14)로 구성하였으며, 베이스몸체의 정면(10-1)에는 mp3음향플레이어(15)를 통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16)가 내장되어 있고 스피커(16)는 베이스몸체의 정면(10-1) 외에도 베이스몸체(10)의 윗면에 mp3음향플레이어(15)의 조작버튼부 양 옆쪽에 도 구비되어 세 개의 스피커를 구성하여 음향 효과를 크게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로서의 용도 외에 완벽한 mp3음향플레이어(15)의 용도로도 용이하게 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베이스몸체 하부(11)는 소재가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베이스몸체 하부(11)에서 베이스몸체의 저면(10-3)까지 일체형의 고무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베이스몸체의 저면(10-3)의 바닥에는 둥근 모양으로 고무를 돌출시켜 고무로 된 돌기(12)를 형성하여 바닥과 베이스몸체의 저면(10-3)이 접촉 시 사용자의 무게로 인하여 받게 될 압력을 반동하여 운동기구 자체에 충격이나 무리가 가해 지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고무흡착판(13)을 구성하여 바닥에 접촉되어 고정됨으로 인하여 운동 시에 무리하게 동작을 취하더라도 운동기구의 틀어짐이나 유동으로 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안정감 있게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mp3음향플레이어(15)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몸체(10)에 두 개의 회전발판(20)으로 구성되어진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100)를 통하여 운동하게 됨으로 인하여 음악을 들음과 동시에 각각의 발의 회전방향과 회전 각도를 달리하는 다양한 발동작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운동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며, 다양한 발동작을 통해 트위스트 운동으로 다리 및 허리근육뿐만 아니라 온몸으로 춤을 추듯이 전신에 골고루 운동시킬 수 있음으로 인하여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극대와 할 수 있으며, 심플하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디자인을 구성함은 물론 가벼운 소재로서 구조함으로 휴대하기 용이하며 장소와 공간에 제약 없이 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운동기구로서의 사용뿐만이 아닌 음향플레이어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이중적으로 사용자의 필요성을 채워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성 및 본 고안은 의료용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mp3음향플레이어를 내장하여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구성하게 됨으로 춤을 추듯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여 운동함으로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심플하고 가벼운 소재로 디자인 되어 휴대하기 용이하며, 장소와 공간에 제약이 없음으로 간단한 온몸 스트레칭 운동기구로서의 효과 역시 제공하게 된다. 또한 트위스트 운동기구로서의 사용만이 아닌 음향플레이어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이중적인 용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지지판이 되는 베이스 몸체(10)와 베이스 몸체(10) 위에 각각 독립적인 두 개의 회전발판(20)으로 구성되어진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베이스몸체(10)의 상부 중앙인즉 두 개로 구성된 회전발판(10) 사이에 음악을 들을 수 있는 mp3음향플레이어(15)를 내장하고 이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부(15-1)를 베이스몸체(10)와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몸체(10)는 베이스몸체 하부(11)와 베이스몸체의 저면(10-3)까지 고무를 소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지고, 베이스 몸체(10)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구성하여 베이스몸체 하부(11)의 고무 소재와 이중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베이스 몸체(10) 윗면에 구성되어진 두 개의 회전발판(20)이 연질의 플라스틱의 소재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 베이스몸체(10)의 저면(10-3)에 고무로 형성된 돌기(12)와, 고무 흡착판(1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몸체(10)는 베이스몸체의 배면(10-2)에 이어폰 연결구(14-1), usb연결구(14-2), 전원연결구(14-3)를 구비함으로 세 개의 연결구로 구성된 연결부(14)와,베이스몸체의 정면(10-1)에는 mp3음향플레이어(15)를 통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내장된 스피커(16)와, 조작버튼부(15-1)의 양 옆쪽에 형성된 스피커(16)로서, 세 개의 스피커(1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mp3플레이어를 내장 및 구성함으로 사용자가 운동기구로서의 용도 외에 mp3음향플레이어(15)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20060025242U 2006-09-20 2006-09-20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33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42U KR200433555Y1 (ko) 2006-09-20 2006-09-20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42U KR200433555Y1 (ko) 2006-09-20 2006-09-20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555Y1 true KR200433555Y1 (ko) 2006-12-11

Family

ID=4178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42U KR200433555Y1 (ko) 2006-09-20 2006-09-20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5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224A2 (ko) * 2009-07-02 2011-01-06 Jeong Yeon Ok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KR101363664B1 (ko) 2012-02-21 2014-02-14 정내관 전신 운동기구
KR101634104B1 (ko) * 2015-01-27 2016-06-28 주식회사 리디자인 댄스 기구가 부착된 포터블 블루투스 네트웍 오디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224A2 (ko) * 2009-07-02 2011-01-06 Jeong Yeon Ok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WO2011002224A3 (ko) * 2009-07-02 2011-04-14 Jeong Yeon Ok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KR101363664B1 (ko) 2012-02-21 2014-02-14 정내관 전신 운동기구
KR101634104B1 (ko) * 2015-01-27 2016-06-28 주식회사 리디자인 댄스 기구가 부착된 포터블 블루투스 네트웍 오디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6747A1 (en) Exercise and video game chair
JPH02307487A (ja) ボクサー人形および該人形を備えたボクシングゲーム器
CN112023349B (zh) 一种趣味性幼儿身体协调平衡能力锻炼装置及锻炼方法
JP2007307284A (ja) センサー付きコントローラー保持具
KR200433555Y1 (ko)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CN109481913B (zh) 一种智慧型健身装置及智慧健身交互系统
KR200429842Y1 (ko)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1038210B1 (ko) 발전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36695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1464291B1 (ko)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CN210992771U (zh) 一种带有磁石和蓝牙音箱的呼啦圈
KR20044983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01775908U (zh) 扭脚器
JP2007021120A (ja) ローラーボール運動具
JP7227446B2 (ja) 歩行訓練器具
US11344767B1 (en) Exercise apparatus
CN111481881A (zh) 一种vr万向踏步机
KR200438233Y1 (ko)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0579905B1 (ko) 접시형 운동기구
GB2470254A (en) A game control apparatus
KR101471100B1 (ko) 균형운동기구
JP3126883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CN212880876U (zh) 一种组合平衡训练器材
JP7255069B1 (ja) 運動用具
CN209933957U (zh) 多功能拉伸运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