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781Y1 -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 Google Patents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781Y1
KR200432781Y1 KR2020060026691U KR20060026691U KR200432781Y1 KR 200432781 Y1 KR200432781 Y1 KR 200432781Y1 KR 2020060026691 U KR2020060026691 U KR 2020060026691U KR 20060026691 U KR20060026691 U KR 20060026691U KR 200432781 Y1 KR200432781 Y1 KR 200432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wdm
base station
pon
o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순
윤학구
김경훈
이재혁
황원기
Original Assignee
에스인포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인포텍(주) filed Critical 에스인포텍(주)
Priority to KR2020060026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12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16Construction using waveleng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PON)이 개시된다. 개시된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은 중앙기지국(OLT)과, 지역기지국(RN)과,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시버(Tx)와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Rx)를 구비하는 광가입자(ONU)를 포함하는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Tx)는 반사형반도체광증폭소자(RSO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PON), 반사형반도체광증폭소자(RSOA), 중앙기지국(OLT), 지역기지국(RN), 광가입자(ONU)

Description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Passive Optical Network for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도 1은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PON)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중앙기지국(OLT) 20...지역기지국(RN)
30... 광가입자(ONU) 31...트랜시버(Tx)
32... 리시버(Rx)
본 고안은 파장분할다중(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PON)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CWDM방식의 수동형광통신망(PON)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장분할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WDM이라 함)은 통신서비스 제공자인 중앙기지국(Optical Line Termination; 이하 OLT라 함)과 서비스이용자인 광가입자(Optical Network unit; 이하 ONU라 함)사이를 수동 광소자를 연결하고, 다중화된 각종 문자/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광신호에 실어 각 가입자단에 분배전송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러한 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은 광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 또 다른 혁신적인 통신의 개발이라 할 수 있다. WDM방식은 빛의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하나의 광전송부인 광섬유에 다양한 파장을 전송하는데, 각 파장은 이전의 경우 전체광케이블에서 이용가능했던 대역폭을 모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WDM방식은 광전송시 여러개의 광 신호 파장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대용량 고속 전송에 유리한 면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Passive Optical Network:이하 PON이라 함)은 파장 분할 다중화 기법을 도입해 ONU가 WDM신호를 특정 파장으로 분리, 각 가입자에게 복수개의 파장을 할당하고 상향/하향 트래픽 역시 파장 단위로 수용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각 광가입자가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하므로 양방향 대칭형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파장의 신호를 해당 가입자만 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WDM방식은 파장간격에 따라 파장간격이 넓은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과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으로 구분된다.
CWDM방식의 수동형광통신망은 광신호 송신용 트랜시버(Tx), 파장역다중화기 및 써귤레이터가 구비된 OLT와, 상기 OLT와 단일의 광섬유로 연결되고 파장 다중/역다중화기가 구비된 지역기지국(Remote Node; 이하 RN이라 함)과, 상기 RN과 각각 독립된 광섬유와 연결되고 Tx와 Rx가 구비된 다수의 ONU가 광링크로 구성된다.
OTL의 Tx는 전기적인 신호인 송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송신수단으로서, 외부변조형인 경우 외부변조기가 필요한 CW(Continuous Wave)레이저를 이용하 고, 직접변조형의 경우 분포궤환레이저다이오드(DFB-LD :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를 이용하게 된다. 각 ONU의 Tx는 RN을 통해 그 상향 전송 광신호를 스펙트럼 분할하는 경우 외부변조기가 필요한 광대역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거나 외부변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포궤환레이저다이오드(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 ; DFB-LD라 함)를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ONU에 사용되는 트랜시버(Tx)로 DFB-LD를 사용할 경우, 각 채널당 사용되는 파장영역이 다르게 때문에 각채널에 따라 각기 다른 파장영역에 해당하는 DFB-LD를 사용해야 하고 이에 따라, Tx의 오작동시 교체할 수 있도록 각 채널마다 각각 서로 다른 Tx를 확보해 놓아야 하므로 Tx의 예비수량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DFB-LD는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예비수량이 증가할 경우, 이에 비례하여 장비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DFB-LD는 전력소모량이 높기 때문에 전체적인 CWDM-PON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입자측의 ONU에 대한 예비수량을 줄일 수 있는 CWDM-PON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CWDM-PON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CWDM-PON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기지국(OLT)과, 지역기지국(RN)과,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시버(Tx)와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Rx)를 구비하는 광가입자(ONU)를 포함하는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에 있어서,상기 트랜시버(Tx)는 반사형반도체광증폭소자(RSO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WDM-PON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CWDM-PON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CWDM-PON의 블럭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CWDM-PON은 도1과 같이, 중앙기지국(Optical line Termination; 이하 OLT 라 함)(10), 지역기지국(Remote Node; 이하 RN이라 함)(20), 광가입자(Optical Network unit 이하 ONU라 함)(참조부호 30)을 포함한다.
OLT(10)는 각 ONU(30)단으로 하향 전송되는 광신호에 각기 다른 파장을 할당하여 다중전송하기 위하여, 소정의 광신호 송신용 트랜시버(Tx:미도시), 광신호 수신용 리시버(Rx:미도시), 파장 역다중화기(미도시) 및 써귤레이터(미도시)을 포함한다. 이 경우, OLT(10)는 일반적인 CWDM-PON에 적용되는 OLT로 이루진다.
RN(20)은 OLT(10)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파장별로 역다중화하여 각 ONU(30)로 전송하기 위하여 단일의 광섬유로 OLT(10)와 연결되며, 역다중화기(미도시) 및 써귤레이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RN(20)은 일반적 인 CWDM-PON에 적용되는 RN을 사용한다.
ONU(30)는 RN(2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를 RN(20)을 통 해 다중화하여 OLT(10)로 전송하기 위하여 ONU(30)는 16개의 채널 각각의 ONU(30)를 가지며, 각각의 ONU1∼ONU16는 RN(20)과 각각의 독립된 광섬유에 의해서 연결되며, 트랜시버(이하, TX라 함)(31)와 리시버(이하, Rx라 함)(32)가 구비된다.
Rx(32)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광수신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Tx(31)는 ONU (30)측의 광원으로 사용하였던 종래와 달리 반사형반도체광증폭소자(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이하 RSOA 이라 함)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고안의 CWDM-PON에 있어서 ONU(30)의 Tx(31)로 RSOA를 사용하게 되면, 파장영역이 각기 다른 각 채널의 Tx에 대해서 동일한 Tx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DFB-LD를 사용할 때보다 가입자측의 ONU에 대한 Tx의 예비수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WDM-PON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RSOA는 DFB-LD보다 전력소모량이 적게 때문에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CWDM-PON은 Tx에 RSOA를 사용함으로써 가입자측에 대한 예비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CWDM-PON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CWDM-PON은 전력소모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 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중앙기지국(OLT)과, 지역기지국(RN)과,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시버(Tx)와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Rx)를 구비하는 광가입자(ONU)를 포함하는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Tx)는 반사형반도체광증폭소자(RSO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KR2020060026691U 2006-09-29 2006-09-29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KR200432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91U KR200432781Y1 (ko) 2006-09-29 2006-09-29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91U KR200432781Y1 (ko) 2006-09-29 2006-09-29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781Y1 true KR200432781Y1 (ko) 2006-12-06

Family

ID=4178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691U KR200432781Y1 (ko) 2006-09-29 2006-09-29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7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4885B (zh) 混合波分时分复用无源光网络系统、终端及信号传输方法
KR100975881B1 (ko) 외부 씨드 광원을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광가입자망(wdm-pon)
CN101729949B (zh) 一种波长可动态分配的wdm pon装置
Song et al. Long-reach optical access networks: A survey of research challenges, demonstrations, and bandwidth assignment mechanisms
KR100921797B1 (ko)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JP4029074B2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受動型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1887724B1 (en)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and its implement method
US8055133B2 (en) TDM/WDMA passive optical network device
EP2056495A1 (en) Electrical point-to-multipoint repeater for PON
CN102724012B (zh) 基于载波抑制调制技术的光源共享wdm-pon系统
KR100842290B1 (ko) Wdm 기반의 tdm-pon 시스템에서의 파장 변환장치와 이를 이용한 광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1032597A1 (en) Passive optical network
KR20060111028A (ko) 시간 및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
CN101471730B (zh) 基于波分复用结构的光纤宽带接入系统及光网络单元
CN101345599A (zh) 时分多址无源光网络的升级方法和无源光网络系统
CN205510056U (zh) 一种波分复用无源光网络的射频拉远系统
Chunlei et al. An overview of integration of RoF with PON
KR200432781Y1 (ko) Cwdm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CN101043287B (zh) 波分复用的无源光网络的传输方法和系统
EP2884761B1 (en) Method of monitoring a connectivity of an optical access terminal in an optical access network
US20120163818A1 (en) Passive optical network apparatus for transmitting optical signal
CN101741501A (zh) 通信设备和通信方法
KR20080069068A (ko)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JP2012120136A (ja) 光通信システム及び光通信システムの送受信方法
KR20090102042A (ko) 파장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상기시스템을 위한 중앙기지국 및 지역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