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271Y1 - 건축용 앵커 - Google Patents

건축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271Y1
KR200432271Y1 KR2020060025340U KR20060025340U KR200432271Y1 KR 200432271 Y1 KR200432271 Y1 KR 200432271Y1 KR 2020060025340 U KR2020060025340 U KR 2020060025340U KR 20060025340 U KR20060025340 U KR 20060025340U KR 200432271 Y1 KR200432271 Y1 KR 200432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anchor
concrete slab
presen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김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식 filed Critical 김종식
Priority to KR2020060025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슬래브에 천정판이나 배선, 배관용 파이프, 공조용 덕트, 조명기구 등을 달기 위한 행거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의 거푸집바닥판 상면에 판상의 단열재를 미리 깐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가 매장된 콘크리트 천정을 구축하는 건축시공공법에 적합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슬래브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이 콘크리트슬래브에 견고히 정착되면서도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 소정 높이상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의 플랜지가 환설된 중공체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와 내주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형상의 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부가 상기 슬리브의 상부 내측에 긴밀히 내삽되는 너트와, 원기둥체의 상부가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으로 삽탈 자재되고 역삼각뿔 형상으로 하향 테이퍼진 하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두께면과 면접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내장된 고정못의 첨단이 돌설된 캡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앵커가 제공된다.
앵커, 콘크리트슬래브, 슬리브, 너트, 캡, 거푸집바닥판

Description

건축용 앵커 { An anchor for construction }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가 단열재와 천정의 거푸집바닥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가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된 상태에서 캡을 천정의 거푸집바닥판과 동시에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사용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앵커 110 : 슬리브
111 : 플랜지 120 : 너트
120a : 머리부 120b : 나사부
130 : 캡 130a : 상부
130b : 기부 131 : 단턱
132 : 고정못 133 : 돌기
200 : 앵커볼트 300 : 단열재
400 : 거푸집바닥판 500 : 콘크리트슬래브
H : 행거 S : 서포터
본 고안은 콘크리트슬래브에 천정판이나 배선, 배관용 파이프, 공조용 덕트, 조명기구 등을 달기 위한 행거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의 거푸집바닥판 상면에 판상의 단열재를 미리 깐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가 매장된 콘크리트 천정을 구축하는 건축시공공법에 적합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슬래브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이 콘크리트슬래브에 견고히 정착되면서도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건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아파트와 같은 구조체의 천정공사를 행할 때에는 천정상에 천정판이나 배선, 배관용 파이프, 공조용 덕트나 조명기구 등을 달아 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앵커볼트가 나착되는 앵커를 콘크리트슬래브내에 매설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앵커는 콘크리트슬래브에 앵커구멍을 천공하고 이 앵커구멍에 앵커를 망치로 가격하여 억지끼움할 때 이 앵커의 끝단부가 변형되도록 하여 고정되게 하는 것이나, 천공작업에 많은 노력이 소요됨은 물론, 천공작업시 콘크리트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상기 콘크리트벽에 천공된 구멍과 앵커 사이에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이와 같이 시공된 앵커에 중량물을 설치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건축용 앵커는 암나사가 내설된 관체형상으로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것으로서, 천정공사시 거푸집바닥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앵커를 정치시킨 후 상기 앵커의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못구멍을 이용하여 고정못을 상기 거푸집바닥판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앵커를 정착시키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앵커가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앵커는 거푸집바닥판 상면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슬래브를 양생하는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단열재가 매장된 콘크리트 천정을 구축하는데 적합하고, 콘크리트슬래브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이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입되어 견고히 정착되면서도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건축용 앵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축용 앵커는, 상부 소정 높이상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의 플랜지(111)가 환설된 중공관체의 슬리브(110)와,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120a) 및 내주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형상의 나사부(120b)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부(120b)가 상기 슬리브(110)의 상부 내측에 긴밀히 내삽되는 너트(120)와, 원기둥체의 상부(130a)가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 내측으로 삽탈 자재되는 역삼각뿔 형상으로 하향 테이퍼진 기부(130b)에 상기 슬리브(110)의 두께면과 면접되는 단턱(131)이 형성되고 하단에 고정못(132)이 돌설된 캡(1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130)의 원기둥체 상부(130a)의 외주면에는 반구 형상의 돌기(133)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는, 상부 소정 높이상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의 플랜지(111)가 환설된 중공관체의 슬리브(110)와,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120a) 및 내주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형상의 나사부(120b)로 이루어진 너트(120)와,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 내측으로 삽탈 자재되는 원기둥체의 상부(130a) 및 역삼각뿔 형태로 하향 테이퍼지되 상기 슬리브(110)의 두께면과 면접되는 단턱(131)이 형성되고 하단에 고정못(132)이 돌설된 기부(130b)로 이루어진 캡(130)을 포함하는 구조로 서, 상기 너트(120)의 나사부(120b)가 상기 슬리브(110)의 상부 내측으로 긴밀히 내삽되고, 상기 캡(130)의 상부가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 내측으로 삽탈 자재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120)는 망치 등에 의한 타격을 견디고 앵커볼트(200)의 견고한 나착을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슬리브(110) 및 캡(130)은 제품의 경량화와 생산비용의 절감 등을 위해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110)는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너트(120)와 나착되는 앵커볼트(200)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리브(110)의 길이와 상기 플랜지(111)의 환설 높이는 시공하고자 하는 단열재(300)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어지는 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100)를 단열재(300)를 관통시켜 선단의 고정못(132)을 거푸집바닥판(400)에 고정시켰을 때 상기 플랜지(111)가 단열재(300)의 상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그렇게 되어야 상기 플랜지(111)부가 콘크리트슬래브(500) 내부에 매설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111)의 저면에 채워진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플랜지(111)가 지지되므로 앵커(100)가 콘크리트슬래브(500) 내에 견고하게 정착되고 행거(H)와 연결되어 천정판이나 배선, 배관용 파이프, 공조용 덕트, 조명기구 등을 지지하는 앵커볼트(200)의 하중에도 문제 없이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너트(120)의 머리부(120a)는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 커(110)의 시공 과정에 보여지듯이 상기 너트(120)의 머리부(120a) 상면을 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할 때 상기 너트(120) 전체가 상기 슬리브(1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130)의 원기둥체 상부(130a)의 외주면에는 반구 형상의 돌기(133)를 돌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캡(130)의 상기 슬리브(110)에의 삽탈을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상기 캡(130)이 너무 쉽게 상기 슬리브(110)로부터 빠지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건축용 앵커(100)의 미사용시 상기 캡(130)의 분리 유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캡(130)의 역삼각뿔 형상으로 하향 테이퍼진 기부(130b)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리브(110)의 두께면과 면접되는 단턱(13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캡(130) 전체가 상기 슬리브(11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턱(131)의 폭은 상기 슬리브(110)의 두께 정도가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시공과정을 살펴본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가 단열재와 천정의 거푸집바닥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A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가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된 상태에서 캡을 천정의 거푸집바닥판과 동시에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바닥판(400) 상면에 판상의 단열 재(300)를 깔아 재치한 후, 앵커(100)의 각 시공 위치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100)를 상기 캡(13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못(132)을 이용해 상기 단열재(300)의 상면으로부터 찔러 넣고 건축용 앵커(100)가 상기 단열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캡(130) 선단의 고정못(132)이 상기 거푸집바닥판(400)에 박히어 고정될 때까지 망치(미도시) 등을 이용해 상기 너트(120)의 머리부(120a) 상면을 타격한다.
필요한 각 위치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앵커(100)의 정치가 이루어진 후, 상기 단열재(30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앵커(100)가 콘크리트슬래브(500) 및 단열재(300)에 매설된 상태로 견고히 정착되게 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바닥판(400)을 제거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고정못(132)이 상기 거푸집바닥판(400)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못(132)이 돌설된 캡(130)이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로부터 탈리되어 상기 거푸집바닥판(400)과 함께 제거되게 되며 이로써 앵커(100)의 시공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이후에 앵커(100)에 의해 상기 단열재(30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슬리브(110)의 개구된 하부로 앵커볼트(200)를 삽입한 후 상기 너트(120)에 나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앵커는 단열재가 매장된 콘크리트 천정을 구축하는 데 매우 적합하며,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방식이 아니어 콘크리트슬래브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으며, 콘크리트슬래브에 견고히 매설되어 정착되면서도,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 소정 높이상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의 플랜지(111)가 환설된 중공관체의 경질합성수지재질의 슬리브(110)와,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120a)와 내주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체형상의 나사부(120b)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부(120b)가 상기 슬리브(110)의 상부 내측에 긴밀히 내삽되는 너트(120)와,
    원기둥체의 외주면에 반구형상의 돌기(133)가 돌설된 상부(130a)가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 내측으로 삽탈 자재되는 역삼각뿔 형상의 하향 테이퍼진 기부(130b)에 상기 슬리브(110)의 두께면과 면접되는 단턱(131)이 형성되고 하단에 고정못(132)이 돌설된 경질합성수지재질의 캡(1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앵커.
KR2020060025340U 2006-09-20 2006-09-20 건축용 앵커 KR200432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40U KR200432271Y1 (ko) 2006-09-20 2006-09-20 건축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40U KR200432271Y1 (ko) 2006-09-20 2006-09-20 건축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271Y1 true KR200432271Y1 (ko) 2006-12-04

Family

ID=4178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40U KR200432271Y1 (ko) 2006-09-20 2006-09-20 건축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2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5977B1 (en) Variable embeddment anchor and method
RU2395015C2 (ru) Дистанцирующий держат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имеющем изоляционный слой основании
JPS6131269B2 (ko)
JPS6389761A (ja) 建築部材の懸吊工法
CN210658721U (zh) 一种混凝土预埋件
KR100859100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375370Y1 (ko) 건축용 앵커
KR101008146B1 (ko)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32271Y1 (ko) 건축용 앵커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CN208415519U (zh) 一种墙面预埋式连接组件
KR20040027856A (ko) 단열재용 인서트
WO1999061716A1 (en) Method and anchoring device for providing an anchor point in a concrete structure
CN204061461U (zh) 膨胀螺栓预埋件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446223Y1 (ko) 앵커볼트
KR200420412Y1 (ko) 거푸집 고정구
KR101910729B1 (ko) 배관 고정 장치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JPS6341451Y2 (ko)
KR20100117413A (ko) 알폼용 최상층 인서트 앵커
KR102349571B1 (ko) 천장 슬래브 매설용 전기박스
JP3188848U7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