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175Y1 -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 Google Patents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175Y1
KR200432175Y1 KR2020060020476U KR20060020476U KR200432175Y1 KR 200432175 Y1 KR200432175 Y1 KR 200432175Y1 KR 2020060020476 U KR2020060020476 U KR 2020060020476U KR 20060020476 U KR20060020476 U KR 20060020476U KR 200432175 Y1 KR200432175 Y1 KR 200432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wall
bathroom
shelf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근
김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60020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욕실의 내벽면을 제공하고 외부로는 욕실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자립형 벽체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벽체는; 욕실 바닥부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하부벽판넬과, 상기 하부벽판넬과 경량벽체 사이에 위치하되 하부벽판넬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며 수평의 평면을 제공하는 선반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상부벽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는, 벽판넬의 필요 없는 사용을 막아 최소한의 벽판넬을 적용하므로 그만큼 벽판넬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작은 크기의 방수판을 적용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Self-support type bathroom wall having shel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욕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자립형 벽체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욕실 13,13a,13b,13c:벽판넬
15:바닥부 17:경량벽체
18:고정브라켓 19:선반
21:슬라브 23:방수판
25,27:벽판넬끼움홈 41:방수판
43:벽판넬끼움홈 45:상부벽판넬
47:하부벽판넬 47a:프레임
47b:타일 47c:합성수지
49:선반 51:지지브라켓
51a:상부벽판넬고정부 51b:하부벽판넬고정부
51c:수평지지부 53:나사
본 고안은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공되는 아파트의 경우 다른 아파트와의 차별성을 위해 매우 다양한 형식의 평면설계가 적용되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평면설계는 거주자의 동선을 참고함은 물론 미감을 부가하여 보다 편리하고 특이하며 아름다운 형태의 내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아파트 욕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욕실(11)의 내부에 욕조와 세면대 및 양변기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욕조와 세면대와 양변기는 바닥부(15)의 넓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욕실(1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각 벽판넬(13)은 그 하단부가 방수판(도 2의 23)의 벽판넬끼움홈(도 2의 25)에 삽입된 상태로 양단부가 연결용 브라켓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네 벽을 이룬다. 상기 벽판넬(13)은 외부를 둘러싸는 경량벽체(17)에 고정브라켓(18)을 통해 지지된 자립(自立)형 벽체이다.
자립형 벽체는, 아파트를 건축할 때 이미 만들어진 콘크리트나 벽돌로 이루어진 건축벽이나 기둥에 고정 지지되는 벽체가 아니라, 스터드와 석고보드 등으로 구성된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벽체를 의미한다. 아파트나 건축물의 시공 단계에 있어서 자립형 벽체를 적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양변기와 세면대의 뒤쪽에 선반(19)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선반(19)의 높이를 가늠할 수 없지만 상기 선반(19)은 세면대보다 높게 위치되며 욕실(11)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소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평면을 제공한다. (상기 선반(19)이 근래 시공되는 아파트의 욕실에 적용되는 새로운 것이다.)
도 2는 상기 선반(19)을 갖는 도 1에 도시한 욕실용 자립형 벽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욕실의 슬라브(21)면 위에 방수판(23)이 깔려 있고, 상기 방수판(23) 상부에 양변기와 세면대와 욕조 등이 구비되어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욕실을 공사하는 방법은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는데, 습식공법은 시멘트, 모래, 방수액, 타일 및 여러 내장재를 이용하여 욕실을 만드는 방법이고, 건식공법은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방수판 벽판넬 천정판넬 내장재 등을 조립하여 욕실을 만드는 방법이다.
상기 방수판(23)과 이 방수판(23)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고정되는 벽판넬(13)이 상기한 건식공법에 적용되는 건축자재이다.
여하튼 도 2를 참조하면, 방수판(23)의 상부에 두 겹의 벽판넬(13c,13b)이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각 벽판넬(13c,13b)은 방수판(23)에 형성되어 있는 벽판넬끼움홈(27,25)에 그 하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두 겹의 벽판넬(13c,13b)은 양변기의 뒤쪽에서 양변기와 결합하는 내측의 벽판넬(13c)과, 상기 벽판넬(13c)로부터 이격되며 외부의 경량벽체(17)에 지지되는 바깥쪽 벽판넬(1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깥쪽 벽판넬(13b)의 상부에는 천장까지 연장되는 다른 벽판넬(13a)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양변기를 바깥쪽 벽판넬(13b)에 직접 결합시키지 않는 것은, 양변기 상부에 상기한 선반(19)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측 벽판넬(13c)을 바깥쪽 벽판넬(13b)로부터 일정간격(선반(19)의 폭에 대응함) 이격시키고, 그 상단부에 선반(19)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는, 선반(19)을 설치하기 위하여 두 겹의 벽판넬(13c,13b)을 사용한다는 문제가 있다. 사실 벽판넬(13c)의 후방에 위치한 뒤쪽 벽판넬(13b)은 상부의 다른 벽판넬(13a)과, 선반(19)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것 이외에 다른 특별한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약간의 설계변경을 통해 없앨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자립형 벽체는 사용하지 않아도 될 벽판넬(13b)을 사용하므로 그만큼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고 자원을 낭비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방수판(23)도 뒤쪽 벽판넬(13b) 까지 받쳐야 하는 이상, 넓은 것을 사용하여야 하였다. 상기 벽판넬(13b)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w만큼 짧은 방수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방수판을 사용하는 것도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요인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벽판넬의 필요 없는 사용을 막아 최소한의 벽판넬을 적용하므로 그만큼 벽판넬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방수판을 적용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욕실의 내벽면을 제공하고 외부로는 욕실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자립형 벽체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벽체는; 욕실 바닥부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하부벽판넬과, 상기 하부벽판넬과 경량벽체 사이에 위치하되 하부벽판넬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며 수평의 평면을 제공하는 선반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상부벽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부벽판넬의 후면에 고정되는 하부벽판넬고정부와, 상기 하부벽판넬고정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벽판넬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위에 상기 선반과 상부벽판넬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에 구비되며 수평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부벽판넬과 결합하는 상부벽판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벽판넬 및 하부벽판넬은; 사각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 기 프레임의 내부영역을 채워 사각판을 이루는 합성수지와, 상기 사각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벽판넬이 세워지는 욕실의 바닥부는 욕실용 방수판이며, 상기 하부벽판넬은 그 하단부가 상기 방수판 테두리의 벽판넬끼움홈에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자립형 벽체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는, 슬라브(21)위에 깔리는 방수판(41)의 벽판넬끼움홈(43)에 삽입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하부벽판넬(47)과, 상기 하부벽판넬(47)의 후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51)과, 상기 지지브라켓(51)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며 수직으로 세워지고 천장까지 연장된 상부벽판넬(45)과, 상기 지지브라켓(51)에 올려지며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선반(4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수판(41)은 공지의 것이기는 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방수판(23)보다 작으며 테두리부에도 벽판넬끼움홈(43)이 하나만 마련되어 있다. 방수판 사이즈의 크기와 형상의 복잡성은 방수판 단가(單價)와 관계 있는 것이며 그만큼 시공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하튼 상기 하부벽판넬(47)은 벽판넬끼움홈(43)에 삽입된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전방에 양변기와 세면대 등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벽판넬(47)의 높이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하부벽판넬(47)은 사각틀 형태로 용접 제작된 프레임(47a)과, 별도의 성형공정을 통해 상기 프레임(47a)의 내부 영역에 충진되어 일정두께의 사각판을 이루는 합성수지(47c)와, 상기 사각판의 전면(욕실의 실내를 향하는 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타일(47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벽판넬(47)의 후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51)은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각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취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51)은, 프레임(47a)에 밀착하며 프레임(47a)에 나사(53) 결합하는 하부벽판넬고정부(51b)와, 상기 하부벽판넬고정부(51b)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지지부(51c)와, 상기 수평지지부(51c)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직각 절곡된 상부벽판넬고정부(51b)를 갖는다. 상기 하부벽판넬고정부(51b)와 수평지지부(51c)도 상호 직각을 이룬다.
상기 상부벽판넬(45)은 수평지지부(51c)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고그 하단부가 상부벽판넬고정부(51a)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상부벽판넬(45)의 자체 구성은 하부벽판넬(47)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상부벽판넬(45)과 경량벽체(17)의 간격은 다수의 고정브라켓(18)에 의해 유지됨은 물론이다.
상기 선반(49)은 상기한 수평지지부(51c) 및 하부벽판넬(47)의 상단부에 걸쳐져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 수평지지부(51c)와 선반(49)은 도시하지 않은 체결용 피스를 통해 상호 결합한다. 또한 상기 선반(49)의 후단부(경량벽체(17)를 향하는 방향)는 상부벽판넬(45)의 하단부 전면에 접한다. 상기 선반(49)과 상부벽판넬(45)의 접촉부위는 추후 실링(sealing) 처리된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자립형 벽체는, 양변기의 후방에 한 개의 하부벽판넬(47)만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벽판넬(45)은 지지브라켓(51)에 의해 지지되므로 벽판넬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선반(49)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는, 벽판넬의 필요 없는 사용을 막아 최소한의 벽판넬을 적용하므로 그만큼 벽판넬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작은 크기의 방수판을 적용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욕실의 내벽면을 제공하고 외부로는 욕실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자립형 벽체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벽체는;
    욕실 바닥부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하부벽판넬과,
    상기 하부벽판넬과 경량벽체 사이에 위치하되 하부벽판넬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며 수평의 평면을 제공하는 선반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경량벽체에 지지되는 상부벽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부벽판넬의 후면에 고정되는 하부벽판넬고정부와,
    상기 하부벽판넬고정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벽판넬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위에 상기 선반과 상부벽판넬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에 구비되며 수평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부벽판넬과 결합하는 상부벽판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판넬 및 하부벽판넬은;
    사각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영역을 채워 사각판을 이루는 합성수지와, 상기 사각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판넬이 세워지는 욕실의 바닥부는 욕실용 방수판이며, 상기 하부벽판넬은 그 하단부가 상기 방수판 테두리의 벽판넬끼움홈에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KR2020060020476U 2006-07-28 2006-07-28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KR200432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76U KR200432175Y1 (ko) 2006-07-28 2006-07-28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76U KR200432175Y1 (ko) 2006-07-28 2006-07-28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175Y1 true KR200432175Y1 (ko) 2006-11-30

Family

ID=4178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76U KR200432175Y1 (ko) 2006-07-28 2006-07-28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1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4929B (zh) 一种组合式房屋及其组装方法
CN101654930B (zh) 一种组合式房屋的梁架结构及其安装方法
US7383670B1 (en) Panel bracket system
US4171596A (en) Prefabricated room structure for facilities in general such as toilets, baths, kitchens and the like
KR101898125B1 (ko)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KR200430527Y1 (ko)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CN101654928B (zh) 一种多层组合式房屋的结构及其组装方法
KR101215467B1 (ko) 모듈시스템에 기반한 가변형 커튼월 외피구조
CN201276757Y (zh) 一种组合式房屋
KR200432175Y1 (ko) 선반을 갖는 욕실용 자립형 벽체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KR102264712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WO2007104814A1 (es) Baño modular prefabricado
CN210530044U (zh) 用于灌浆墙的快装墙板、竖龙骨及灌浆墙
CN201276758Y (zh) 一种组合式房屋的梁架结构
KR20100031310A (ko) 건물의 벽체구조물
WO2014125552A1 (ja) 壁パネルの施工方法
KR950009610B1 (ko) 조립식 벽체구조물용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200261644Y1 (ko) 조립식 욕실용 경량복합판넬
KR0155603B1 (ko)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부재
KR102495765B1 (ko) 세면대 거치형 건식 구조물
KR102264711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CN213477159U (zh) 卫生间装配式结构
KR20090009668A (ko) 건축용 판넬과 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358625B1 (ko) 조립식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