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162Y1 -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162Y1
KR200432162Y1 KR2019980024640U KR19980024640U KR200432162Y1 KR 200432162 Y1 KR200432162 Y1 KR 200432162Y1 KR 2019980024640 U KR2019980024640 U KR 2019980024640U KR 19980024640 U KR19980024640 U KR 19980024640U KR 200432162 Y1 KR200432162 Y1 KR 200432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unit
unit
received
bas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891U (ko
Inventor
정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4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1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정된 장소에 있는 설정된 채널을 사용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의 착발신 기능을 억제하는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임의의 채널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또는 동일한 무선 접속 방식의 방해파를 방사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는 송신 신호 처리부와 수신 신호 처리부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의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신호를 통해서 상기 수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스위칭과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표출하고, 외부로 출력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Communication Jamming Apparatus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숙이 요구되는 공공 장소에서 설정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통화 기능을 억제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분야의 기술에 힘입어 많은 국민이 PCS 전화기, 디지털 휴대폰 등의 여러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고 일상 업무를 보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편리성에 반하여 여러 단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검사나 수술을 받을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발사되는 전파로 인해 전자 의료기기에 치명적인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극장, 연주회 등의 정숙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공공 장소에서도 이곳 저곳에서 착신호 소리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병원 당국이나 공공 모임을 진행하는 주최측에서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것을 권하지만 아직 많은 사람들이 호응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정된 장소에서 이동 단말기의 착발신 기능을 방해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설정된 장소에 있는 설정된 채널을 사용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의 착발신 기능을 억제하는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장소에 있는 설정된 채널을 사용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의 착신호는 수신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발신 기능을 억제하는 송신신호를 방사하는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기능을 억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 신호 처리부와 수신 신호 처리부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의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신호를 통해서 상기 수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안테나부의 스위칭과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표출하고, 외부로 출력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통화기능 억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장치는 안테나(110), 안테나 스위치(120)로 구성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100)와,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210), 수신 대역 통과 여파기(Receiver Band Pass Filter:Rx BPF)(220), 수신 혼합기(Receiver Mixer:Rx Mix)(230), 수신 중간주파수 대역 통과 여파기(Receiver Intermediate Frequency Band Pass Filter:Rx IF BPF)(240), 수신 중간주파수 증폭기(Receiver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Rx IF Amp)(250)로 구성되어 수신 신호를 하향 주파수 변환하는 수신부(200)와, 송신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Transmitter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Tx AGC Amp)(340), 송신 혼합기(Transmitter Mixer:Tx Mix)(330), 송신 대역 통과 여파기(Transmitter Band Pass Filter:Tx BPF)(320), 전력 증폭기 모듈(Power Amplifier Module:PAM)(310)로 구성되어 송신 신호를 상향 주파수 변환하는 송신부(300)와,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시켜 수신부(200) 또는 송신부(300)로 제공하는 주파수 합성기(400)와, 수신부(200) 또는 송신부(3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처리하는 기저 대역 신호처리부(Base Band Processor)(500)와,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or Unit)(700)와, 중앙 처리 장치(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저 대역신호를 변복조하는 변복조부(600)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810)와 키패드(Keypad)(820)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I:User Interface)(800)로 구성된다. 또한, 변복조부(600)는 변조부(Mod)(610), 복조부(Demod)(620)로 구성된다.
어떤 이동 통신 기지국 시스템 신호가 안테나부(100)의 안테나(110)에 수신되어 수신부(200)의 LNA(210)에 인가된다. 이 때 중앙 처리장치(700)의 명령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20)의 SW_ANT 단자는 SW_RX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이 신호는 LNA(210)에서 저잡음 증폭되고 Rx BPF(220)에서 대역 통과 여파되고 Rx Mix(230)에서 주파수 합성기(400)의 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되고 중간 주파수를 생성하고 Rx IF BPF(240)에서 대역 통과 여파되고 Rx IF Amp(250)에서 증폭되어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500)에 인가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500)에 입력된 Rx IF(Receiver Intermediate Frequency:수신 중간 주파수)는 기저 대역에서 신호 처리되고 이 신호는 변복조부(600)의 복조부(610)에서 복조되어 중앙 처리장치(700)에 인가된다. 중앙 처리장치(700)는 복조되는 데이터 신호 입력 여부와 데이터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이 장치의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특정 채널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가 입력 여부와 수신된 신호의 세기(RSSI : 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00)의 LCD(810)에 표시해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의 동작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 장치의 운용자가 주어진 공간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억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00)의 키패드(820)를 통하여 억제신호 발신 명령과 억제신호의 송신 세기를 입력한다. 입력된 발신 명령은 중앙처리장치(700)에서 송신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변복조부(600)의 변조부(620)에서 수신 신호와 동일한 접속방식 즉 복조부(610)와 동일한 접속방식의 신호로 변조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의 운용자가 신호 변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변조부(62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중앙처리장치(700)에서 변조부(6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500)로 송신 데이터 신호를 입력시킨다. 변조부(620)에서 발생된 송신 변조 신호 또는 중앙처리 장치(700)에서 발생된 송신 데이터 신호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500)에서 신호 처리되어 송신 중간 주파수( Transmitter Intermediate Frequency:Tx IF)로 변환된다. 송신 중간 주파수 신호는 송신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Transmitter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Tx AGC Amp)(340)에서 운용자가 입력한 송신 세기만큼 중앙처리장치(700)의 자동 이득 제어 조정(Automatic Gain Control Adjust :AGC_ADJ) 단자를 통하여 자동 이득 제어되어 증폭된다. 자동 이득 제어 증폭된 신호는 송신 혼합기(Transmitter Mixer:Tx Mix)(330)에서 주파수 합성기(400)의 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되고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되고 송신 대역 통과 여파기(Transmitter Band Pass Filter:Tx BPF)(320)에서 대역 통과 여파되고 전력 증폭기 모듈(Power Amplifier Module:PAM)(310)에서 전력 증폭되어 안테나 스위치(120)에 인가된다. 이 때 중앙처리장치(700)의 명령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20)의 SW_ANT 단자는 SW_TX 단자와 연결되어 전력 증폭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110)에 인가되고 안테나(110)를 통해 공기중에 방사된다. 공기중에 방사되는 송신 신호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무선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갖으며, 이 때 이동 단말기는 통화 기능 억제장치의 억제신호로 인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신호와 간섭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주파수 합성기(400)는 수신부(200)의 수신 혼합기(Receiver Mixer:Rx Mix)(230)와 송신부(300)의 송신 혼합기(Transmitter Mixer:Tx Mix)(330)에 국부 발진 신호를 인가하는데 PLL_DTA의 채널 데이터에 따라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700)에 의해 제어되는 각 제어 단자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SW_CTR 단자는 안테나 스위치(120)를 전환한다. 또한, RX_EN 단자와 TX_EN 단자는 각각 수신부(200)와 송신부(3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SW_CTR 단자에 의해 SW_ANT 단자가 SW_RX 단자에 연결되고 RX_EN 단자를 ON 하여 수신부(200)가 동작하도록 한다.
반면, 송신 신호 즉 이동 단말기 통화 기능 억제 신호를 방사하는 경우 SW_CTR 단자에 의해 SW_ANT 단자가 SW_TX 단자에 연결되고, TX_EN 단자를 ON 하여 송신부(300)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PLL_DTA 단자는 주파수 합성기(400)에 국부 발진 주파수 데이터를 제공하고 AGC_ADJ 단자는 송신부(300)의 송신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Transmitter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Tx AGC Amp)(340)에 제어 이득값을 설정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단일 채널에 대한 통화 억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단일 채널 신호를 억제할 경우에는 먼저 억제 장치의 전원을 온하고, 방해하고자 하는 채널로 PLL_DTA를 설정한다(S10). 이때, 수신부(200)가 동작하도록 중앙 처리 장치(700)의 RX_EN 단자를 온시킨다(S20). 이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30). 이때,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LCD(810)에 신호의 수신 여부와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S40). 이때, 키패드(820)를 통하여 억제장치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처리 장치(700)의 RX_EN 단자를 오프시켜 수신부(2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S60), 중앙 처리 장치(700)의 TX_EN 단자를 온시켜 송신부(300)가 동작하도록 한다(S70).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n개의 채널에 대한 통화 억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N개의 채널 신호를 억제할 경우에는 본 고안의 억제장치의 전원을 온하고, 임의의 채널로 PLL_DTA를 설정하여(S110), 수신부(200)가 동작하도록 RX_EN 단자를 온한다(S120). 이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130). 이때 판단 결과가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LCD(810)에 신호의 수신 여부와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S140). 이 때 키패드(820)를 통하여 억제장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중앙 처리 장치(700)의 RX_EN 단자를 오프시켜 수신부(200)가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고(S160), 중앙 처리 장치(700)의 TX_EN 단자를 온시켜 송신부(300)가 동작하도록 한다(S170). 이어, 다른 채널로 PLL_DTA를 변화시키고(S180), 중앙 처리 장치(700)의 RX_EN 단자를 온하고 이상에서 설명한 루프(S110-S170)를 반복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 단말기를 호출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T1 이라 하고 억제 장치가 특정 채널을 수신하고 동일한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고 채널 변화하여 다른 채널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T2 라고 하고 통화 기능을 억제하고자 하는 채널을 N개라 할 때 T1> N*T2 이면 통화 억제 기능을 N개의 채널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할 때는 수신 안테나(130)를 사용하고 억제장치 신호를 송신할 때는 송신 안테나(140)를 사용한다. 단 수신 안테나(130)와 송신 안테나(140)는 수신부(200)와 송신부(300)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1 에서 보인 본 고안과 차이점은 안테나 스위치(120)를 사용하지 않고 수신부(200)와 송신부(300)가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면서 본 고안의 억제 장치에서 이동 단말기의 착신 신호를 방지하는 송신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구비된 장소에 도달되는 착신신호를 일괄적으로 수신하여 필요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병원, 극장, 콘서트 홀 등 일반인들이 많이 모이고 정숙이 요구되는 특정 공공 장소에서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구비시켜 불필요한 이동 단말기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특정 공간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또는 동일한 변조신호를 방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기지국 신호와 본 장치에서 제공되는 억제 신호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수신동작을 하지 못하여 불필요한 시기에 행해지는 착발신 피해를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단일 채널에 대한 통화 억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가 n개의 채널에 대한 통화 억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 억제장치의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부 110 ; 안테나
120 ; 안테나 스위치 200 ; 수신부
300 : 송신부 400 : 주파수 합성부
500 : 기저 대역 신호처리부 600 : 변/복조부
700 : 중앙처리장치 8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6)

  1. 송신 신호 처리부와 수신 신호 처리부를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의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신호를 통해서 상기 수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안테나부의 스위칭과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표출하고, 외부로 출력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화 기능 억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가 국부 발진 신호를 통해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하여 출력되는 수신 신호 처리부;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에서 신호 처리하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 및
    기저대역 신호 처리된 신호가 국부 발진 신호를 통해 수신된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억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변조하여 기저대역 신호처리부에 입력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처리부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신호를 입력하는 변복조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억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신호를 억제할 때, 채널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억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송신 신호 처리부와 수신 신호 처리부에 대해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억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과 수신 신호 처리부의 안테나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방향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억제장치.
KR2019980024640U 1998-12-10 1998-12-10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KR200432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40U KR200432162Y1 (ko) 1998-12-10 1998-12-10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40U KR200432162Y1 (ko) 1998-12-10 1998-12-10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91U KR20000011891U (ko) 2000-07-05
KR200432162Y1 true KR200432162Y1 (ko) 2007-01-31

Family

ID=4161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640U KR200432162Y1 (ko) 1998-12-10 1998-12-10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1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214B1 (ko) * 2012-02-27 2013-01-09 주식회사 텔리아넷 사용자 유무 판단 기법을 이용한 이동전화 통화제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91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4756C (en) Method and apparatus of frequency generation for use with digital cordless telephones
US7729723B2 (en) Call control method for dual-mode mobile terminals and a dual-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7209720B2 (en) Multiband and multimode transmitter and method
US89959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utback in a simultaneous dual frequency band call
JP2000049637A (ja) 二重帯域送受信装置及び二重帯域伝送方法
US5884189A (en) Multiple-modes adaptable radiotelephone
EP0041289B1 (en) An improved transceiver
KR200432162Y1 (ko) 이동단말기의통화기능억제장치
KR960011365A (ko) 의사 간섭을 억제할수 있는 전화기 및 무선 전화기
US709602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JP2006186718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送受信装置ならびに移動体端末装置
KR100698343B1 (ko) Gps 능력을 가진 블록 통신 송수신기
GB2408174A (en) External control of operation modes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10036126A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파 차단 장치
KR0119559B1 (ko) 무선 랜의 주파수 송수신 장치
KR0152590B1 (ko) 시각장애자를 위한 유무선 전화기용 위치확인장치
JP3059564U (ja) 電波遮蔽装置
JP4490570B2 (ja) Agc回路付き無線受信機
KR100421960B1 (ko) 휴대폰과 무전기 기능이 혼용된 통신단말기
JP2000316181A (ja) 他局電波遮断装置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JP2003018661A (ja) 移動無線端末および制御回路
KR20010010525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라디오방송 수신방법
KR100546556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휴대용단말기
KR20010011052A (ko) 무선 전화기에서 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229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22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527

Effective date: 200601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527

Effective date: 20060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