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008Y1 - 후사경 - Google Patents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008Y1
KR200432008Y1 KR2020060024542U KR20060024542U KR200432008Y1 KR 200432008 Y1 KR200432008 Y1 KR 200432008Y1 KR 2020060024542 U KR2020060024542 U KR 2020060024542U KR 20060024542 U KR20060024542 U KR 20060024542U KR 200432008 Y1 KR200432008 Y1 KR 200432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se
serration
hollow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도
Original Assignee
오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도 filed Critical 오병도
Priority to KR2020060024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0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사경이 자중이나 차량진동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후사경이 개시된다. 개시된 후사경은 상단외면에는 힌지단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내측에는 전면을 통해 결합되는 미러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와 지지리브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군데 형성된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힌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차량 후미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사경, 자동차, 세레이션편, 볼트, 미러

Description

후사경{BACK MIRROR}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후사경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케이스 111: 고정돌기
112: 지지리브 120: 힌지단
210: 고정대 211, 212: 끼움대
220: 세레이션편 230: 너트
본 고안은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구 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사경이 자중이나 차량진동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후사경이란 운전자에게 차량후방을 인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미러로서, 차량 후미에 장착되어 특히 후진시 차량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의 형상을 미러에 의해 실내로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이와 같은 종래의 후사경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케이스(10)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차량후미에 고정되는 고정대(20)와, 미러(M)가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10)와 결합되는 미러장착커버(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래 후사경의 미러장착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미러장착커버(30)의 내부 외주연에는 미러(M)를 삽입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1)가 군데 군데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핀(32)이 다수개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외주연에는 상기 미러장착커버의 결합핀(32)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1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먼저 미러(M)를 상기 미러장착커버(30)의 고정돌기(31)측으로 밀어 넣어 미러(M)가 고정돌기(31)를 타고 넘어가 고정되게 한 다음 미러장착커버(30)의 결합핀(32)을 상기 케이스(10)의 결합돌기(11)에 결합시켜 미러장착커버(30)와 케이스(10)가 서로 결합되게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미러장착구조를 가진 종래의 후사경은 고정대(20)에 힌지 결합되는 케이스(10) 뿐만 아니라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미러장착커버(30)도 별도 요구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제품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후사경의 고정대(20)와 케이스(10)는 단순히 볼트(B)만으로 힌지 고정되었기 때문에 자중이나 차량진동에 의해 케이스(10)가 아래로 처져 미러각도를 빈번하게 교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미러장착커버를 별도 마련하지 않고 케이스에 미러를 장착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후사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후사경이 자중이나 차량진동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후사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외면에는 힌지단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고, 내부측면에는 전면을 통해 결합되는 미러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와 지지리브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군데 형성된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힌지단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차량 후미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사경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힌지단은 볼트가 삽입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볼트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힌지단의 일측 외주연에는 톱니모양의 세레이션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일단은 상기 힌지단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ㄷ'자 형상의 좌우측 끼움대로 형성되되, 상기 좌우 끼움대 중 좌측 끼움대에는 중공의 단턱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 끼움대에는 중공의 각형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각형부내로는 외면이 상기 중공의 각형부와 대응되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세레이션면과 치합고정되는 중공의 세레이션면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세레이션편이 삽입되어서, 상기 중공의 단턱부에 볼트머리가 고정되도록 볼트를 고정대에 관통 삽입한 다음 상기 세레이션편의 요홈에 결합된 너트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주요특징은 종래와 같이 미러장착커버를 별도 마련하지 않고 케이스에 미러를 직접 장착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이를 위해 케이스(110)와 고정대(2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단외면에 힌지단(120)이 형성되어 고정대(210)가 힌지결합되며,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측면에는 전면을 통해 결합되는 미러(M)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1)와 지지리브(112)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군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11)는 전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 미러(M)를 내측으로 가압하면 테이퍼면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11) 내측으로는 상기 고정돌기(111)와 소정거리 이격된 지지리브(112)가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상기 지지리브(112)가 미러후면을 지지하여 받쳐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전면을 통해 미러(M)를 가압하면 미러는 고정돌 기(111)를 타고 넘어간 후 지지리브(112)에 걸리면서 삽입이 고정되게 되며, 이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1)와 지지리브(112) 사이에 장착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같이 미러장착커버(30)를 별도 마련하지 않더라도 내측에 고정돌기(111)와 지지리브(112)가 다수군데 형성된 케이스(110)에 의해 미러(M)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시켜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고정돌기(111)는 케이스(110)의 내측 상부와 하부 각각 2개씩 형성되며(도면에는 내측 하부만이 보임), 좌우측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이 미러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는 점에 바람직하며, 지지리브(112)는 상하 및 좌우측을 포함하여 총 6개를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균형적인 지지력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11)와 지지리브(112)는 케이스(110)의 내부측면에 일렬로 정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금형 제작시 코아를 절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인 후사경이 자중이나 차량진동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즉, 종래와 같이 단순나사만으로 케이스와 고정대가 결합된 경우에는 케이스의 자중이나 차량진동으로 인해 후사경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힌지단(120)은 볼트(B)가 삽입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볼트공(12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힌지단의 일측 외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세레이션면(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210)는 'ㄷ'자 형상로 좌우측 끼움대(211, 212)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단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좌우측 끼움대 중 좌측 끼움대(211)에는 중공의 단턱(211-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우측 끼움대(212)에는 중공의 각형부(212-1)가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끼움대(212)의 중공의 각형부(212-1)내로는 외면이 상기 중공의 각형부와 대응되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세레이션면(122)과 치합고정되는 중공의 세레이션면(221)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요홈(222)이 형성된 세레이션편(220)이 삽입되며, 상기 세레이편의 요홈에는 너트(23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의 조립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고정대(210)의 좌우측 끼움대(211, 212)를 케이스의 힌지단(120)의 외면에 끼운 다음 우측 끼움대(212)의 중공의 각형부내에는 세레이션편(220)을 삽입한다. 그러면, 세레이션편(220)의 전면에 형성된 세레이션면(221)과 힌지단(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세레이션면(122)은 대응되는 톱니형상, 즉 세레이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수조합으로 서로 치합되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세레이션의 요홈(222)에 너트(230)를 삽입시킨 다음 좌측 끼움대(211)측에서 우측 끼움대(212)측으로 볼트(B)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볼트의 볼트머리는 중공의 단턱부(211-1)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진입이 금지되고 볼트(B)와 너트(230)가 치합되어 고정대(210)와 케이스(11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즉, 케이스의 힌지단(120)과 세레이션편(220)은 서로 대응되는 세레이션면(122, 221)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레이션편의 외형은 각형으로, 고정대(210)의 우측끼움대(212)의 중공 각형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세레이션편(220)과 고정대(210) 역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대와 케이스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볼트(B)를 조이는 과정에서 케이스의 힌지각도를 조절하면서 볼트를 조이면 원하는 각도로 고정대와 케이스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자중이나 차량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후사경의 힌지각도가 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차량 운전자가 고정대와 케이스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약간 푼 다음 케이스의 힌지각도를 재조절한 후 다시 볼트를 조이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은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미러장착커버를 별도 마련하지 않고 케이스에 미러를 장착하게 하는 방식이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시켜 제품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은자중이나 차량진동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단외면에는 힌지단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내측에는 전면을 통해 결합되는 미러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와 지지리브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군데 형성된 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힌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차량 후미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사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지지리브는 케이스의 내부측면에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사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힌지단은 볼트가 삽입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볼트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힌지단의 일측 외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세레이션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일단은 상기 힌지단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ㄷ'자 형상의 좌우측 끼움대로 형성되되, 상기 좌우측 끼움대 중 좌측끼움대에는 중공의 단턱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끼움대에는 중공의 각형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각형부내로는 외면이 상기 중공의 각형부와 대응되는 각형으로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세레이션면과 치합고정되는 중공의 세레이션면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세레이션편이 삽입되어서,
    상기 중공의 단턱부에 볼트머리가 고정되도록 볼트를 고정대에 관통 삽입한 다음 상기 세레이션편의 요홈에 결합된 너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사경.
KR2020060024542U 2006-09-12 2006-09-12 후사경 KR200432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42U KR200432008Y1 (ko) 2006-09-12 2006-09-12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42U KR200432008Y1 (ko) 2006-09-12 2006-09-12 후사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008Y1 true KR200432008Y1 (ko) 2006-11-27

Family

ID=4178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542U KR200432008Y1 (ko) 2006-09-12 2006-09-12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0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0557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55746B2 (ja) アウターミラー
US20070052266A1 (en) Adjustable headrest bracket
JP2021501084A (ja) 調整可能な車両用サイドステップ組立体
JP2009038899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用サポート体及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
FR2841088A1 (fr) Haut-parleur de plafond
US20110000051A1 (en) Bath Curtain Rack Structure
US8939590B2 (en) Vehicle mirror device
KR200432008Y1 (ko) 후사경
US20190053646A1 (en) Mirror systems and methods
US20130049426A1 (en) Seat adjustment apparatus
CN109720253A (zh) 汽车座椅以及汽车侧靠枕
EP1116628A2 (en) Vehicle mirr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105639B2 (ja) 薄型表示装置
US8075352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US20100116957A1 (en) Device for mounting a switch or the like on a mounting plate
FR3071465A1 (fr) Vola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US20090168211A1 (en) Auxiliary mirror assembly for sideview mirror of car
US20130107199A1 (en) Eyeglasses with Nose Pad Assembly
KR200429754Y1 (ko) 체결작업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EP2110484A1 (en) Modular structure for outdoor use
KR20090089031A (ko) 스티어링휠의 볼트홀더 결합체
JP4316418B2 (ja) 車載用モニター取付装置およびその取付構造
EP1584516A1 (fr) Ensemble de montage d'une barre de toit longitudinale sur un toit d'un véhicule automobile
CN105990792B (zh) 用于将开关装置框架机械地接合的接合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