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343Y1 -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343Y1
KR200431343Y1 KR2020060023568U KR20060023568U KR200431343Y1 KR 200431343 Y1 KR200431343 Y1 KR 200431343Y1 KR 2020060023568 U KR2020060023568 U KR 2020060023568U KR 20060023568 U KR20060023568 U KR 20060023568U KR 200431343 Y1 KR200431343 Y1 KR 200431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ankle pump
low frequency
presen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신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우 filed Critical 신재우
Priority to KR2020060023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발목펌프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휴대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수동으로 발목운동을 할 수 있는 발목펌프와, 상기의 발목펌프를 저주파 펄스에 의하여 자동으로 발목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을 전자식 발목펌프로 사용할 경우, 상기의 발목펌프는 사용자의 발목에 소정의 저주파를 전달하여 저주파 충격을 제공하는 발목전극을 포함하고, 상기의 발목펌프는 전극연결선에 의하여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리모트 본체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목운동을 한 다음, 다시 저주파 충격에 의한 발목운동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발목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목펌프, 혈액순환, 발목 받침대, 전자식, 발목전극

Description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Electrical Ankle Pump Apparatus}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의 개략적인 분해상태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의 개략적인 완성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저주파치료기를 결합시킨 상태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와 전기연결선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에 사용된 리모트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에 사용된 저주파 펄스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110 : 발목펌프,
112 : 몸체부, 114 : 보조대,
115 : 몸체결합부, 116 : 발목충격부,
118 : 발목전극, 119 : 커넥터,
120 : 전극연결선, 130 : 리모트 본체,
132 : 제어부, 134 : 전원부,
135 : 전원/세기조절볼륨, 136 : 저주파 발생부,
138 : 속도조절버튼,
본 고안은 발목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통상적인 발목펌프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할 경우 자신의 다리를 위쪽으로 억지로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자신의 발목에 저주파 충격에 의하여 자극을 줌으로써,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자식 발목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 펌프운동은 아킬레스건으로부터 약간 종아리 쪽으로 올라온 발목지점을 다리의 자유낙하의 힘으로 압박하여 혈액순환 기능을 활성화시켜주는 운동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발목펌프 운동은 일본에서 최초로 소개된 이후 국내에서도 잘 알려져 있고,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다리를 들어올렸다가 내려놓음으로써, 자신의 다리에 가벼운 충격을 주어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를 통하여 각종의 질병을 예방하기도 하고, 사후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는 운동으로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발목펌프 운동은 그 효력이 각종의 매체를 통하여 조금씩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게 된 이후, 여태까지 2단계의 과정으로 발전되어 오고 있다.
발목펌프의 초기단계는 순수한 발목운동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발목운동 방식은 바닥면 위에 맥주병과 같은 원통형 기구를 놓아두고, 누워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다리를 쭉 뻗은 다음, 상기 원통형 기구의 위쪽으로 자신의 발목 부위를 그대로 약 20~30cm 정도 들어 올린 후, 이를 자유낙하시켜서, 자연스럽게 발목 부위에 압박을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제455345호 "발목운동기구"는 상기 제 1단계의 발목운동 방식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 1단계의 운동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다리를 힘들여서 위쪽으로 올려야 하고, 소정의 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수 백회 이상을 반복하여 실시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정도의 의지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발목펌프 운동을 요하는 수요자층은 대부분 혈액순환에 장애를 겪고 있거나 이를 염려한 환자층인데, 이들이 수백 회 이상씩 자신의 다리를 반복하여 들어올리고 내리는 운동을 수행한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제 2단계의 발목펌프 운동이다. 이 운동방식은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올려준 다음, 사용자의 다리를 자유낙하시킴으로써 발목펌프 운동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대표적인 것은 역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34080호 "발목 펌프 운동기"로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발목펌프 운동기는 수많은 부품들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고, 각 부품들의 작동시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작동불량을 일으키기 쉬우며,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계식 발목펌프 운동기는 많은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제품의 부피가 크게 되고, 그로 인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휴대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이러한 기계식 발목펌프 운동기는 많은 기계적인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고가의 제품으로 공급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발목펌프 장치는 초기의 간단한 형태의 발목펌프를 개량하여 왔지만, 기술적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구성부품들을 다수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그 부피가 매우 커지고 실제로 사용시에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우 간단하게 평시에는 통상적인 발목펌프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자신의 발목을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발목펌프 운동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전자식 발목펌프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는 사용자가 필요시 자유롭게 휴대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의 수동식 발목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의 발목펌프는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지고 다수의 보조대를 결합시킬 수 있는 몸체결합부와, 상기 보조대의 위쪽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발목이 자유낙하할 경우 발목펌프 운동을 하게 해주는 발목충격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 장치는 상기의 발목펌프에 연결되어 전기적 펄스를 인가할 수 있는 전극 연결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 장치는 상기의 전극 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너지에 의해 소정의 저주파를 발생시켜 상기의 발목펌프에 공급하는 리모트 본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는 그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자동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칩으로 구성된 제어부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하고 그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세기조절볼륨과,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저주파를 발생시키게 되는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저주파의 발생 속도 및 신호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110)의 개략적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110)의 개략적인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수동식 발목펌프(110)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발목펌프(110)는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그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몸체부(112)는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지고, 그 위에 몸체결합부(115)가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112)는 상기의 몸체결합부(115)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되고, 상기의 몸체결합부(115)는 기본적으로 위쪽으로 볼록하게 반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지고, 그 반달형상에 다수의 보조대(1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보조대(114)는 상기의 몸체결합부(115)에 결합되었을 경우, 위쪽으로 볼록하게 향한 반달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중에 사용자가 발목펌프 운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발 목이 자유낙하하여 부딪힐 때, 그 충격력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전체적인 중량을 가볍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결합부(115)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의 보조대(114)가 상기 몸체부(112)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오히려 상기 몸체부(112)에 결합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의 몸체결합부(115)는 상기 몸체부(112)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해주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발목펌프(110)는 상기 보조대(114)의 위에 각각 발목충격부(116)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발목충격부(116)는 사용자가 수동식으로 자신의 발목을 들어올려 자유낙하시킬 때 그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여 사용자의 발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약화시켜서 발목 부위의 혈액순환을 도와주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의 발목충격부(116)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발목충격부(116)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발목충격부(116)에 어떠한 종류의 전기에너지가 전달되었을 경우에도, 그러한 전기에너지가 흘러가는 이동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를 구성할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발목충격부(116)는 상기와 같은 2가지 조건을 필요충분하게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재로서는 합성수지 발포체가 가장 바람직하고, 대표적인 예로서는 SBR 발포체, PE 발포체, PS 발포체, PVC 발포체, 그리고 PU 발포체 등을 거론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의 발목펌프(110)를 전자식 기기로 전환시킨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저주파치료기를 결합시킨 상태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목펌프(110)와 전기연결선(12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에 사용된 리모트 본체(130)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에 사용된 저주파 펄스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의 발목펌프(110)를 수동식 발목펌프로서 뿐만 아니라, 소정의 저주파 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목에 혈액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식 발목펌프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발목펌프(110)를 전자식 발목펌프장치에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의 발목충격부(116) 위쪽에 별도로 도전성 재질로 구성된 발목전극(118)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상기의 발목충격부(116)의 위쪽에 별도의 발목전극(118)을 추가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의 발목전 극(118)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상기의 발목전극(118)은 사용자가 그의 발목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고,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발목을 통하여 전원에너지가 흘러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발목충격부(116)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상기의 발목전극(118)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의 발목전극(118)은 그 자신의 고유한 기능 이외에, 상기 발목충격부(116)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발목전극(118)은 그의 표면에 각각 커넥터(11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커넥터(119)는 외부로부터 전원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통로로서, 특히 전극연결선(120)에 연결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커넥터(119)는 그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고 또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 발목펌프(110)에 연결될 수 있는 전극연결선(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전극연결선(120)은 상기의 발목펌프(110)에 전기적 펄스를 인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전원연결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연결선(120)은 그 일단이 상기 발목펌프(110)의 커넥터(119)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반면에, 그 타단이 리모트 본체(13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는 상기 전극연결선(120)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너지에 의해 소정의 저주파를 발생시켜 상기의 발목펌프(110)에 공급하는 리모트 본체(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는 그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제어부(132)는 마이크로 컴퓨터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마이크로 컴퓨터칩은 내부에서 각종의 디지털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하여 연산하고, 이것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관련된 부분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의 메모리는 본 고안에 의하여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키는 각종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의 메모리는 각종의 저주파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보관하고 있으며, 상기의 마이크로 컴퓨터칩의 명령에 따라 그 디지털 자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의 마이크로 컴퓨터칩이 처리하도록 해준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전원부(134)는 소형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는 상기 전원부(134)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인가하고 그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세기조절볼륨(135)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서, 전기에너지를 공급/차단하는 ON/OFF 스위치의 기능과, 전기에너지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출력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강도조절용 스위치 기능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는 상기 제어부(132)를 통하여 저주파를 발생시키게 되는 저주파 발생부(13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저주파 발생부(136)는 상기 전원부(134)에 의해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상기 발목전극(118)에 보내주게 된다. 상기의 저주파 발생부(136)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저주파 발생부(136)에서 발생된 저주파의 펄스 형태는 도면 5에 예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면 5a에서는 교대형으로서 펄스의 간격(W)이 약 0.1초 ~ 약 5초를 이루고 있고, 펄스의 폭(L)은 수십 마이크로미터(μ) ~ 수백 마이크로미터(μ) 를 이루고 있다. 한편, 도면 5b에서는 교차형으로서 펄스의 간격(W)이 약 0.1초 ~ 약 5초를 이루고 있고, 펄스의 폭(L)은 수십 마이크로미터(μ) ~ 수백 마이크로미터(μ) 를 이루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는 상기의 저주파 발생부(136)에서 발생된 저주파의 발생 속도 및 신호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버튼(13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속도조절버튼(138)의 경우에도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139는 상태표시 LED로서, 저주파 펄스가 공급될 때마다 깜박거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이 수동식 발목펌프(110)로 사용될 경우엔, 간편하게 사용자가 휴대하여 자신이 편리한 장소에 놓은 상태에서 발목펌프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 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목을 위로 들어올리고, 그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떨어뜨리면, 사용자의 발목에는 상기 발목펌프(110)의 발목충격부(116)에 의하여 약간의 충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발목에는 혈액순환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계속하여 통상적인 발목펌프 운동을 하게 되면, 상당한 정도의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또한 힘겨운 운동이 되어지므로, 이러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의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엔, 상기의 발목펌프(110)와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를 상기의 전극연결선(120)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100)로 전환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의 전원/세기 조절볼륨(135)을 ON 시키고, 상기의 제어부(132) 및 저주파 발생부(136)에 의하여 필요한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상기의 발목전극(118)으로 보낸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의 발목전극(118)의 위에 자신의 발목을 올려놓은 상태로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의 저주파는 사용자의 발목에 전기적 충격을 주게 된다. 사용자의 발목은 이 경우 상기의 저주파 충격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반응을 하게 된다. 다양한 형태의 반응으로서는, 예컨대 근육의 주무름, 근육에 대한 가벼운 안마, 특정한 부위에 대한 짜릿짜릿함, 피부에 대한 긴장 및 긴장의 완화 등의 타입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의 발목부위에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충격을 받게 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목 부위는 자유낙하에 의한 충격과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충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혈액순환은 더욱 더 원만 하고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는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수동식 발목펌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이를 전자식 발목펌프로 전환시켜 자동 발목펌프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본 고안은 멀티형 발목펌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를 수동식으로 사용할 경우엔, 이를 통상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유롭게 휴대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는 이를 자동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발목을 더 이상 위쪽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고, 편안하게 발목펌프의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저주파 펄스에 의한 안마 기능, 주무름 기능, 두드림 기능 등을 누릴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는 상기의 수동식 발목펌프 운동과 상기의 자동식 발목펌프 운동을 동시에 누릴 수 있고, 더구나 이로 인한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의 이러한 방식은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환자와 같이 자신의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곤란한 사람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는 자유낙하에 의한 발목펌프 운 동과 저주파 충격에 의한 발목펌프 운동을 동시에 누릴 수 있고, 이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발목펌프 운동이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발목펌프 운동을 하나의 장치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a).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그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2)와,
    b). 위쪽으로 볼록하게 향한 반달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배열된 상태에서 그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고 있는 다수의 보조대(114)와,
    c). 상기의 몸체부(112)에 결합되어지고, 상기의 보조대(114)를 결합시키고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의 보조대(114)가 상기 몸체부(112)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결합부(115)와,
    d). 상기 보조대(114)의 위쪽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발목이 자유낙하할 경우 발목펌프 운동을 하게 해주는 발목충격부(11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목펌프.
  2. a).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그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2)와; 위쪽으로 볼록하게 향한 반달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배열된 상태에서 그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고 있는 다수의 보조대(114)와; 상기의 몸체부(112)에 결합되어지고, 상기의 보조대(114)를 결합시키고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의 보조대(114)가 상기 몸체부(112)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결합부(115)와; 상기 보조대(114)의 위쪽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발목이 자 유낙하할 경우 발목펌프 운동을 하게 해주는 발목충격부(116)를 포함하고 있는 발목펌프(110)와,
    b). 상기의 발목펌프(110)에 연결되어 전기적 펄스를 인가할 수 있는 전극 연결선(120)과,
    c). 상기의 전극 연결선(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너지에 의해 저주파를 발생시켜 상기의 발목펌프(110)에 공급하는 리모트 본체(1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모트 본체(130)는 그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자동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칩으로 구성된 제어부(132)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34)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하고 그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세기조절볼륨(135)과,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저주파를 발생시키게 되는 저주파 발생부(136)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저주파의 발생 속도 및 신호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버튼(13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KR2020060023568U 2006-09-01 2006-09-01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KR200431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568U KR200431343Y1 (ko) 2006-09-01 2006-09-01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568U KR200431343Y1 (ko) 2006-09-01 2006-09-01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343Y1 true KR200431343Y1 (ko) 2006-11-23

Family

ID=4177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568U KR200431343Y1 (ko) 2006-09-01 2006-09-01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3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96304U (zh) 提供脉冲电磁场的按摩仪器
KR101649522B1 (ko) 다기능 미용기기
CN201337362Y (zh) 一种多功能足浴器
CN101185792B (zh) 低频治疗仪
JP4888826B2 (ja) 浴槽装置
KR200431343Y1 (ko) 전자식 발목펌프 장치
KR200470841Y1 (ko) Led를 이용한 경락 전기자극 장치
KR101006764B1 (ko) 공압을 이용한 척추 마사지기
CN209490235U (zh) 儿童按摩步行水疗池
WO2021004460A1 (zh) 一种下肢按摩装置
KR101592089B1 (ko) 듀얼모드 바이오 피드백 보조재활치료기기
KR100537417B1 (ko) 진동 및 전기자극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645687B1 (ko) 헬스밴드
CN102813597B (zh) 多功能养生康复理疗仪
CN109124992A (zh) 一种辅助治疗糖尿病的新型按摩仪
KR20090093336A (ko) 국부 마사지기
JP2013066681A (ja) 足ツボ押圧装置
KR20060027061A (ko) 복합 물리치료기
CN201019995Y (zh) 一种男性理疗保健装置
KR200257426Y1 (ko) 중·저주파 자극기
KR20040052970A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20080087962A (ko)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
CN109223478A (zh) 儿童按摩步行水疗池
KR102609103B1 (ko)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KR20200101566A (ko)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