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103B1 -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103B1
KR102609103B1 KR1020230061007A KR20230061007A KR102609103B1 KR 102609103 B1 KR102609103 B1 KR 102609103B1 KR 1020230061007 A KR1020230061007 A KR 1020230061007A KR 20230061007 A KR20230061007 A KR 20230061007A KR 102609103 B1 KR102609103 B1 KR 10260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w
electrical stimulation
frequency
perine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은
Original Assignee
서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은 filed Critical 서지은
Priority to KR102023006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밀착되는 밀착패드부; 밀착패드부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자극부; 밀착패드부에 장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부; 케이스부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 및 충전되는 전원공급부; 케이스부의 상면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전기자극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동작 전원을 통해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기자극부에 제공하는 저주파발생부; 케이스부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 저주파발생부 및 통신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Potable EMS low frequency 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음부 또는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통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간편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다양한 패턴의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국소부위에 저주파를 통전시켜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근력을 키우고 해당 부분을 마사지 하도록 하는 EMS 저주파 운동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즉,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 저주파 운동장치는, 약한 전기 자극을 주어 몸을 자극시키고 근육을 마사지 하며,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킴으로 환부의 자연치유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MS 저주파 운동장치는 중년기 여성의 요실금 및 남성의 전립선 질환 등에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EMS 저주파 운동장치는, 좌판과 등받이로 구성되는 본체와, 좌판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고 저주파를 통한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마사지패드와, 등받이에 구성되고 마사지패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좌판으로부터 콘센트 등과 같은 전원공급수단까지 연결 구성되어 마사지패드와 제어모듈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연결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EMS 저주파 운동장치는, 본체가 좌판과 등받이로 구성되고 소정의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원하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편하여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자에 앉은 자세로만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편한 자세나 이동하면서 치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마사지패드의 경우 단순히 한 쌍의 전극이 상호간 번갈아 가면서 전기 자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만 저주파가 발생되어 동작 모드가 단순하고 다양한 부위에 자극을 전달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오히려 근육이 내성이 생겨 운동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10-1050788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10-2319633
(특허문헌 0003) 등록특허 10-225278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음부 또는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통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간편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다양한 패턴의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밀착되는 밀착패드부; 밀착패드부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자극부; 밀착패드부에 장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부; 케이스부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 및 충전되는 전원공급부; 케이스부의 상면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전기자극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동작 전원을 통해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기자극부에 제공하는 저주파발생부; 케이스부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 저주파발생부 및 통신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밀착패드부는, 회음부나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밀착면; 밀착면의 하부에 구성되어 케이스부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수용공; 밀착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전기자극부가 관통 설치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설치공; 및 전기자극설치공의 주변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전기자극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자극부는, 밀착패드부의 밀착면에 형성되는 전기자극설치공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전기자극봉과; 전기자극봉의 상면에 연장되고 밀착패드부의 밀착면에 형성되는 전기자극안착홈에 안착되는 전기자극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주파발생부는, 제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구성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저주파발생봉과; 저주파발생봉의 상단에 연장되고 전기자극부의 전기자극봉에 저주파를 통한 전기를 전달하는 저주파발생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음부 또는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통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간편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다양한 패턴의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를 나타낸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과 도 2의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를 나타낸 평면 및 저면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저주파발생부, 동작전원부 및 제어부의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는,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밀착되는 밀착패드부(110), 밀착패드부(110)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자극부(120), 밀착패드부(110)에 장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부(130),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 및 충전되는 전원공급부(140), 케이스부(130)의 상면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전기자극부(12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은 동작 전원을 통해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기자극부(120)에 제공하는 저주파발생부(150),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통신부(160) 및 전원공급부(140), 저주파발생부(150) 및 통신부(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 등을 포함한다.
밀착패드부(110)는,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밀착되는 수단으로서, 회음부나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밀착면(111), 밀착면(111)의 하부에 소정 체적으로 구성되어 케이스부(130)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수용공(112), 밀착면(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전기자극부(120)가 관통 설치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설치공(113) 및 전기자극설치공(113)의 주변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전기자극부(120)가 안착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안착홈(11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밀착패드부(11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을 가지고 딱정벌레의 형상을 기지며,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시 소정의 곡률과 탄성을 통하여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자극부(120)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착패드부(110)에 의하면, 밀착면(111)의 하부에 케이스부(130)가 수용되도록 하여 밀착면(111)이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밀착된 상태에서 의자에 착석되더라도 케이스부(130)에 의한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30)가 수용되는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별로 밀착패드부(110)의 교체를 통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밀착패드부(110)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기자극부(120)는, 밀착패드부(110)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밀착패드부(110)의 밀착면(111)에 형성되는 전기자극설치공(113)에 삽입되는 전기자극봉(121)과, 전기자극봉(121)의 상면에 연장되고 밀착패드부(110)의 밀착면(111)에 형성되는 전기자극안착홈(114)에 안착되는 전기자극패드(12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자극부(120)는, 전도성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자극패드(122)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거나 구(球)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극부(120)에 의하면, 전도성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면서 밀착패드부(110)에 구성됨에 따라 세척을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케이스부(130)는, 밀착패드부(110)에 장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단으로서, 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전원공급부(140), 저주파발생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가 수용되는 수용박스(131), 수용박스(131)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마감하는 마감판(132), 수용박스(131)의 상면 중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자극봉(121)이 접촉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어 저주파발생부(150)의 저주파발생전극(152)이 노출되면서 위치되도록 하는 저주파전극노출공(133), 수용박스(131)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동작전원수단에 연결된 충전기단자(미도시)가 전원공급부(140)에 연결되도록 하는 충전기단자공(134) 및 마감판(132)에 관통 형성되어 제어부(170)의 온오프를 위한 온오프버튼(172)이 제어부(170)에 연결되면서 설치되도록 하는 온오프버튼공(135)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스부(130)에 의하면, 저주파 운동을 위한 중요 구성부인 전원공급부(140), 저주파발생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만을 수용한 상태에서 밀착패드부(110)에 수용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중요 구성부를 보호하고, 세척이나 사용자별 개별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 및 충전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70)의 인쇄회로기판(171)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충전기단자공(134)에 구성된 충전단자를 통해 동작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배터리(141)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40)에 의하면, 배터리(141)를 통해 외부의 동작 전원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콘센트 등의 전원공급수단까지 전원연결수단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주파발생부(150)는, 케이스부(130)의 상면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전기자극부(12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은 동작 전원을 통해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기자극부(120)에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70)의 인쇄회로기판(171)의 모서리 부위에 구성되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41)로부터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통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봉(151)과, 저주파발생봉(151)의 상단에 연장되고 수용박스(131)의 저주파전극노출공(133)에 노출되면서 위치되어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자극봉(121)에 저주파를 통한 전기를 전달하는 저주파발생전극(15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주파발생봉(151)과 저주파발생전극(152)은, 내부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를 가지고 몸체의 외면에 전도성 물질이 도금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4각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17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인쇄회로기판(171)에 구성되는 통신부(160)와의 전파 간섭을 최소화하여 스마트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신부(16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통신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발생부(150)에 의하면, 케이스부(130)의 상면에 복수개의 저주파발생전극(152)이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수의 저주파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70)의 인쇄회로기판(171)에 구성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제공하는 통신모듈(161)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모듈(161)은, 블루투스, WiFi 및 셀룰러 등과 같은 공지의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신부(160)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어부(17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별도의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유선리모콘을 생략할 수 있어 휴대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40), 저주파발생부(150) 및 통신부(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부(130)의 수용박스(131) 내부에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171), 케이스부(130)의 마감판(132)에 형성된 온오프버튼공(135)에 노출 구성되고 인쇄회로기판(171)에 연결되어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버튼(172) 및 인쇄회로기판(171)에 실장되고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저주파발생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실장된 마이컴 등과 같은 제어모듈(173)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온오프버튼(172)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동작된 상태에서 통신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주파발생부(1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모드를 통한 저주파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폰에 설치되고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부(170)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선택하고 통신부(160)를 통해 제어부(170)에 송신하는 방식의 리모콘 모드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부(170)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뉴동작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키며 뉴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선택하고 통신부(160)를 통해 제어부(170)에 송신하는 방식의 업데이트 모드와, 스마트폰에 실시간으로 재생 중인 음악을 분석하고 음악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실시간동작데이터를 생성시키며 이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실시간으로 통신부(160)를 통해 제어부(170)에 송신하는 방식의 실시간 출력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리모콘 모드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부(170)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웹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및 설치된 후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리모콘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가 선택되고 이에 대응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와, 스마트폰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통신부(160)에 수신되는 단계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통신부(160)로부터 제어부(170)의 제어모듈(173)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모듈(173)에 의해 저주파발생부(150)의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는, 복수개 단계의 저주파 출력 레벨, 복수개의 저주파 출력 모드 및 각 저주파 출력 모드의 동작 시간 등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저주파 출력 레벨은 14단계를 가지고, 저주파 출력 모드는 7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14단계의 저주파 출력 레벨에 대응된 동작데이터를 통하여 저주파발생전극(152)으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의 출력 레벨이 0단계 내지 14단계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저주파의 출력 레벨은, 저주파발생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 조절을 통해 제어되거나 주파수의 고저 조절을 통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7개의 저주파 출력 모드는, 일예로, 저주파발생부(150)의 복수개의 저주파발생전극(152)은,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 내지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로 구성되는데, 1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 내지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이 개별적으로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2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과 제2저주파발생전극(152b)이 동시에 저주파를 발생시키며, 3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과 제3저주파발생전극(152c)이 동시에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4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과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이 동시에 저주파를 발생시키며, 5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 제2저주파발생전극(152b) 및 제3저주파발생전극(152c)이 동시에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6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 제2저주파발생전극(152b) 및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이 동시에 저주파를 발생시키며, 7번 저주파 출력 모드는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 제3저주파발생전극(152c) 및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이 동시에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 내지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는, 각각 전기자극부(120)의 제1전기자극패드(122a) 내지 제4전기자극패드(122d)에 저주파를 전달하여, 제1전기자극패드(122a) 내지 제4전기자극패드(122d)에 접촉된 피부에 전기 자극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7개의 저주파 출력 모드에 의하면, 제1저주파발생전극(152a)을 중심으로 제2저주파발생전극(152b) 내지 제4저주파발생전극(152d)을 향해 총 6개 방향으로 저주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회음부나 사타구니의 앞부분, 좌측부, 우측부 및 전체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저주파 출력 모드의 동작 시간은, 일예로, 7개의 저주파 출력 모드가 순서대로 20초 주기로 제어된 후 종료되거나 입력된 횟수만큼 반복된 후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 모드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부(170)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업데이트 모드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부(170)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뉴동작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키며 뉴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웹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및 설치된 후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업데이트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가 삭제되고 웹서버로부터 새로운 뉴동작데이터가 다운로드된 후 상기 뉴동작데이터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저장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저장된 뉴동작데이터가 선택되고 이에 대응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와, 스마트폰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통신부(160)에 수신되는 단계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통신부(160)로부터 제어부(170)의 제어모듈(173)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모듈(173)에 의해 저주파발생부(150)의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새로 저장되는 뉴동작데이터는, 복수개의 뉴동작데이터로 구분되고, 각 뉴동작데이터는 복수개의 저주파 발생 구간, 각 구간별 저주파 발생 지속 시간, 각 구간별 저주파 출력 레벨, 각 구간별 저주파 출력 모드 및 각 구간별 반복 횟수 등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뉴동작데이터는, 1번 뉴동작데이터 내지 7번 뉴동작데이터의 총 7개의 뉴동작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때, 1번 동작모드데이터는, 일예로, 0초에서 1초 동안의 저주파 발생 구간에는 7단계의 저주파 출력 레벨과 6번 저주파 출력 모드에 대응된 저주파가 출력되고, 1초에서 1.5초 동안의 저주파 발생 구간에는 10단계로 점차 커지는 저주파 출력 레벨과 4번 저주파 출력 모드에 대응된 저주파가 출력되며, 1.5초에서 3.5초 동안의 저주파 발생 구간에는 3단계로 점차 작아지는 저주파 출력 레벨과 2번 저주파 출력 모드에 대응된 저주파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마지막 저주파 발생 구간까지 복수개의 저주파 발생 구간, 각 구간별 저주파 발생 지속 시간, 각 구간별 저주파 출력 레벨, 각 구간별 저주파 출력 모드가 진행된 후 종료되거나 반복 회수 만큼 반복된 후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모드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부(170)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뉴동작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키며 뉴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용량을 가지는 제어모듈(173)에 저장되는 동작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양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뉴동작데이터가 임의로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고, 항상 새로운 패턴의 전기 자극이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달되도록 하여 운동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간 출력 모드는, 스마트폰에 실시간으로 재생 중인 음악을 분석하고 음악의 리듬과 박자 및 음량 등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실시간동작데이터를 생성시키며 이에 대응된 제어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웹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및 설치된 후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시간 출력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스마트폰에 실시간으로 재생 중인 음악의 특성이 분석되고 이에 대응되는 실시간동작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단계와, 스마트폰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통신부(160)에 수신되는 단계와,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통신부(160)로부터 제어부(170)의 제어모듈(173)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모듈(173)에 의해 저주파발생부(150)의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100)의 제어모듈(173)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실시간동작데이터는, 스마트폰에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 중인 음악의 특성이 분석된 후, 음악이 재생 중인 구간의 리듬과 박자, 음량 등에 대응된 새로운 저주파 출력 레벨 및 저주파 출력 모드가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이에 대응된 제어신호로 변환된 후 제공된다.
이때, 스마트폰(200)에 재생 중인 음악의 실시간 분석은 공지의 구성과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실시간 출력 모드에 의하면, 음악의 리듬과 박자, 음량 등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저주파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항상 새로운 패턴의 전기 자극이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달되도록 하여 운동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170)는, 온오프버튼(172)의 누름 횟수를 통하여 제어모듈(173)에 미리 저장된 동작데이터에 대응된 제어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없이도 리모콘 모드에 대응된 동작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70)의 온오프버튼(172)에 의해 케이스부(130)에 구성된 제어부(170)의 동작이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부위에 밀착패드부(110)의 밀착면(111)이 밀착된다.
여기서, 밀착패드부(110)의 밀착면(111)에는 전기 자극이 회음부나 사타구니의 각 부위에 잘 전달되도록 전도성 겔이나 오일 등이 도포되는 것이 좋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신호가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부(160)에 전달된다.
이후, 통신부(160)에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170)에 의해 저주파발생부(150)에 전원공급부(140)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저주파발생부(150)의 저주파발생전극(152)에 접촉된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자극패드(122)까지 저주파에 의한 전기 자극이 전달된다.
이후,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자극패드(122)에 접촉된 회음부나 사타구니의 해당 부위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어 해당 근육이 자극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회음부 또는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통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간편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다양한 패턴의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대응되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밀착되는 밀착패드부(110); 밀착패드부(110)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되고 회음부나 사타구니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기자극부(120); 밀착패드부(110)에 장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부(130);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 및 충전되는 전원공급부(140); 케이스부(130)의 상면에 복수개가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전기자극부(12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140)로부터 공급받은 동작 전원을 통해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기자극부(120)에 제공하는 저주파발생부(150);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통신부(160); 및 전원공급부(140), 저주파발생부(150) 및 통신부(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밀착패드부(110)는,
    회음부나 사타구니의 면적에 대응되는 밀착면(111); 밀착면(111)의 하부에 구성되어 케이스부(130)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수용공(112); 밀착면(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전기자극부(120)가 관통 설치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설치공(113); 및 전기자극설치공(113)의 주변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전기자극부(120)가 안착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안착홈(114)을 포함하며,
    전기자극부(120)는,
    밀착패드부(110)의 밀착면(111)에 형성되는 전기자극설치공(11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전기자극봉(121)과; 전기자극봉(121)의 상면에 연장되고 밀착패드부(110)의 밀착면(111)에 형성되는 전기자극안착홈(114)에 안착되는 전기자극패드(122)를 포함하고,
    케이스부(130)는,
    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전원공급부(140), 저주파발생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가 수용되는 수용박스(131); 수용박스(131)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마감하는 마감판(132); 수용박스(131)의 상면 중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자극봉(121)이 접촉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어 저주파발생부(150)의 저주파발생전극(152)이 노출되면서 위치되도록 하는 저주파전극노출공(133); 수용박스(131)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동작전원수단에 연결된 충전기단자(미도시)가 전원공급부(140)에 연결되도록 하는 충전기단자공(134); 및 마감판(132)에 관통 형성되어 제어부(170)의 온오프를 위한 온오프버튼(172)이 제어부(170)에 연결되면서 설치되도록 하는 온오프버튼공(135)을 포함하며,
    저주파발생부(150)는,
    제어부(170)의 인쇄회로기판(171)에 구성되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저주파발생봉(151)과; 저주파발생봉(151)의 상단에 연장되고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자극봉(121)에 저주파를 통한 전기를 전달하는 저주파발생전극(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 저주파 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61007A 2023-05-11 2023-05-11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KR10260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007A KR102609103B1 (ko) 2023-05-11 2023-05-11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007A KR102609103B1 (ko) 2023-05-11 2023-05-11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103B1 true KR102609103B1 (ko) 2023-12-01

Family

ID=8912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007A KR102609103B1 (ko) 2023-05-11 2023-05-11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10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635A (ko) * 2009-05-13 2010-11-23 문창수 진동 및 저주파를 이용한 휴대용 마사지기
KR101050788B1 (ko) 2011-02-22 2011-07-20 주식회사 고산 회음부 마사지 장치
KR20190032324A (ko) * 2016-06-28 2019-03-27 주식회사 퓨런메디칼 골반저근 강화장치
KR102252780B1 (ko) 2021-01-04 2021-05-17 엘티프로(주) 근적외선 온열 저주파 진동 마사지기
KR20210057344A (ko) * 2019-11-12 2021-05-21 (주)디지링크 착탈 일체형 웨어러블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9633B1 (ko) 2021-05-27 2021-11-01 최성창 회음부마사지장치
KR20220058298A (ko) * 2020-10-30 2022-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섬유 융합 선택적 전기자극 허리 보호대
KR20220118693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삼명텍 저주파 자극 헬스케어기
KR20230027567A (ko) * 2021-08-19 2023-02-28 진다영 헬스밴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635A (ko) * 2009-05-13 2010-11-23 문창수 진동 및 저주파를 이용한 휴대용 마사지기
KR101050788B1 (ko) 2011-02-22 2011-07-20 주식회사 고산 회음부 마사지 장치
KR20190032324A (ko) * 2016-06-28 2019-03-27 주식회사 퓨런메디칼 골반저근 강화장치
KR20210057344A (ko) * 2019-11-12 2021-05-21 (주)디지링크 착탈 일체형 웨어러블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8298A (ko) * 2020-10-30 2022-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섬유 융합 선택적 전기자극 허리 보호대
KR102252780B1 (ko) 2021-01-04 2021-05-17 엘티프로(주) 근적외선 온열 저주파 진동 마사지기
KR20220118693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삼명텍 저주파 자극 헬스케어기
KR102319633B1 (ko) 2021-05-27 2021-11-01 최성창 회음부마사지장치
KR20230027567A (ko) * 2021-08-19 2023-02-28 진다영 헬스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2457B1 (en)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CN103717257B (zh) 使用音乐的低频刺激器以及包括低频刺激器的减肥系统
US20070232967A1 (en) Vibratory Stimulation Apparatus
KR101227749B1 (ko)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AU2001252069A1 (en)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JPH08511445A (ja) 神経刺激装置および連係支持装置
KR20200000207A (ko) 요실금 치료를 위한 의료 복합 기기
KR101893214B1 (ko) 전기근육자극 장치
KR20140114190A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JPH11347097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US20030023129A1 (en) Generator of electromagnetic waves for medical use
KR102609103B1 (ko) 휴대용 ems 저주파 운동장치
KR102636606B1 (ko) Ems 저주파 운동장치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123086B1 (ko) 전자파 방사기능을 갖는 안면 팩
CN110236922B (zh) 一种腹压触发式压力性尿失禁康复方法及治疗仪
CN111803351A (zh) 一种患肢局部感觉触发式脑中风后手功能康复治疗仪
KR102123082B1 (ko) 전기 자극 장치
CN213130701U (zh) 一种患肢局部感觉触发式脑中风后手功能康复治疗仪
KR20190008005A (ko) 저주파 자극 운동기기
KR20020019830A (ko) 저주파 치료 장치
KR20180064781A (ko)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TWM511871U (zh) 具波動能量治療功能之手足穿著器具
KR20190110220A (ko) 복합 자극 방식의 무릎용 물리치료 장치
JP3234782U (ja) 恥部筋肉鍛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