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93Y1 -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 Google Patents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93Y1
KR200431193Y1 KR2020060021586U KR20060021586U KR200431193Y1 KR 200431193 Y1 KR200431193 Y1 KR 200431193Y1 KR 2020060021586 U KR2020060021586 U KR 2020060021586U KR 20060021586 U KR20060021586 U KR 20060021586U KR 200431193 Y1 KR200431193 Y1 KR 200431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towing
pipes
clea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5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선구
이재훈
이명운
문승준
서인호
강태우
이정한
여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탑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탑,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탑
Priority to KR2020060021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9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5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PT 및 공동 주택이나 건물의 쓰레기를 버리는 배출관을 원활히 주행하고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로 인해 막혀 있는 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관내부의 청소와 쓰레기를 적출 할 수 있는 이동로봇(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봇의 헤드부에 장착된 다목적 집게팔은 상대물을 정확히 잡아서 견인할 수 있고 브러쉬는 정·역회전에 의해 관 내부의 녹과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창 및 삽날 형태의 다양한 도구를 통해서 관 내부의 청소 및 쓰레기와 이물질을 수거하고 외부로 유출 시켜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하게 한다.This design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drive the APT and the waste pipes for the waste of apartments or buildings, and to communicate with the pipes blocked by garbage and other debris, and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s and remove the garbage. Cleaning robot), the multi-purpose tongs arm mounted on the head of the robot can be pulled by accurately catching the opponent, the brush can remove the rust and scale inside the tube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window and blade Through various tools in the form, it cleans the inside of the pipe and collects garbage and foreign substances and spills them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the pipe.

또한, 상기 이동로봇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조명장치가 부착된 카메라는, 회전 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 모니터를 통해 관내부의 환경을 전면 뿐만 아니라 360°회전하여 후면 및 좌·우 전방향을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관찰하며 작업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unted on the head of the mobile robot is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by rotating the 360 ° as well as the front of the environment inside the tube through an external monitor connected by a rotary module and a cable, and precisely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You can work with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그리고 상기 이동 로봇의 구동부 상부에 위치한 작살은 헤드부에 위치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제거가 어려울 때 작살을 이용하여 상대물을 견인하는데 사용하고 좌·우측 각각의 구동모터에 연결된 바퀴는 정·역 회전을 통한 방향전환으로 정확한 작업 위치를 선정하여 작업을 함과 동시에 곡관과 같은 다양한 관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쓰레기 퇴수구와 연결된 관의 소통과 청소를 함으로써 관의 수명연장과 관의 막힘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And the harpoon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part of the mobile robot is used to tow the opponent by using the harpoon when it is difficult to remove by using the tools in the head part, and the wheel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rotate forward and reverse It is possible to adapt to various pipe environments such as curved pipes by selecting the correct working posi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through the change of direction,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pipes and to eliminate the blockage of the pipes by communicating and cleaning the pipes connected to the waste outlet. It relates to a garbage discharge pipe cleaning robot.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견인작살, 카메라 회전모듈, 구동모터, 헤드부, 견인고리, 집게팔, 견인작살 작동 모듈 Robot for garbage discharge pipe, towing harness, camera rotation module, driving motor, head, towing hook, tong arm, towing harness operation module

Description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도 1은 본 고안의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garbage discharge pipe clean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헤드부에 집게팔과 구동부에 견인작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tong arm and the towing gripping arm in the head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헤드부 브러쉬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head brush mounting state of FIG. 1.

도 4는 도 1의 헤드부 구동부의 구동 및 방향전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and turning mechanism of the head driver of FIG. 1;

도 5는 도 1의 견인 작살에 대한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towing harpoon of FIG.

도 6는 도 1의 다목적 집게 팔을 이용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using the multi-purpose forceps arm of FIG.

도 7은 도 1의 견인 작살을 이용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using the towing harpoon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used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1: Robot for cleaning garbage discharge pipe

2 : 카메라 3 : 헤드부2: camera 3: head

4 : 카메라 회전 모듈 5 : 다목적 집게팔4: camera rotation module 5: multi-purpose forefinger

6 : 수거용 삽 7 : 견인고리 개·폐 링크6: Collection shovel 7: Towing ring opening and closing link

8 : 견인 작살 9 : 좌측 구동 바퀴 전륜8: towing harpoon 9: left driving wheel front wheel

10 : 좌측 구동 바퀴 후륜 11 : 우측 구동 바퀴 전륜10: left driving wheel rear wheel 11: right driving wheel front wheel

12 : 우측 구동 바퀴 후륜 13 : 견인 작살 작동 모듈12: right drive wheel rear wheel 13: traction harpoon operation module

14 : 견인 고리 15 : 견인 지지대14: tow hook 15: tow support

16 : 구동부 17 : 견인 작살 몸통16 drive unit 17 tow harpoon body

18 : 실린더 케이스 19 : 브러쉬18: cylinder case 19: brush

20 : 좌측 구동모터 21 : 우측 구동모터20: left drive motor 21: right drive motor

22 : 구동축 23 : 조명장치22: drive shaft 23: lighting device

24 : 전·후륜 연결 궤도 25 : 피스톤24: front and rear wheel connection track 25: piston

본 고안은 APT 및 공동 주택이나 건물의 쓰레기를 버리는 배출관을 원활히 주행하면서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로 인해 막혀 있는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관의 청소와 쓰레기를 적출 할 수 있는 이동로봇(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봇의 구동부와 헤드부에 장착된 작살, 다목적 집게팔, 브러쉬, 창 및 삽날 형태의 다양한 도구를 통해서 관 내부의 청소 및 쓰레기와 이물질을 수거하고 외부로 유출 시켜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하게 하며 360°회전이 가능한 카메라와 조명장치를 통해 관내부를 보다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관찰하며 바퀴의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of pipes blocked by garbage and other foreign materials while smoothly driving the APT and the waste pipes of the apartments or buildings, while cleaning the pipes and removing the garbage. Robot), through the various tools in the form of a harpoon, multi-purpose tongs, brushes, windows and blades mounted on the drive and head of the robot, the inside of the pipe is collected and garbage and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spill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Through the camera and lighting device that facilitates communication, and enables 360 ° rotation, the inside of the pipe can be observed more precisely and extensively, and the direction of the wheel can be changed so that the robot can be used to select the exact location of the target for cleaning the waste pipe. It is about.

APT 및 공동 주택이나 건물에서 쓰레기 배출시 각 세대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각 동별로 설치된 쓰레기 배출구에 버려지게 되고 배출구에 연결된 관을 통해 한곳 에 모아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비규격 봉투의 사용이나 각종 이물질 투입으로 쓰레기 배출관이 막히게 되면 원할한 쓰레기 수거를 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해 관의 부식, 악취 발생, 세균의 번성이 발생하고 관의 외부로 누출시 일상 생활의 어려움과 환경오염 뿐만 아니라 건강상에도 문제가 발생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과 부식으로 인한 관의 수명 단축 및 청결을 위해서라도 청소를 해야 할 것이다..When discharging garbage from APT and apartments or buildings, garbage from each household is thrown away at the waste outlets installed in each building and collected at one place through pipes connected to the outlets. If the discharge pipe is blocked, it will not be possible to collect the garbage. This will cause corrosion of the pipe, odor, bacteria, and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pip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shorten the lifespan and clean the pipes due to corrosion, cleaning should be performed.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까지 이동하여 관의 상태를 파악하고 막힌곳을 뚫거나 막혀있는 쓰레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통을 원할히 하는데 이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을 살펴보면. 와이어 끝에 각종 공구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법과 진공을 이용한 흡입준설 방법, 로봇을 이용한 방법등이 있는데 와이어 형태의 방법은 주로 옥내 소형 상하수관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와이어에 의해 동력전달을 하여 공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대형 관이나 관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공구에 동력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고 조절이 용이 하지 못하며 공구 크기에 제약을 받게되어 사용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거된 이물질은 원래 관을 흐르던 액체에 의해 같이 흘려보내 최종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그러한 흐름이 없는 쓰레기 배출관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하고 또한 카메라와 공구를 동시에 장착하여 작업 할 수 없어 내부 상태와 정확한 목표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진공을 이용한 흡입 방법은 대형관에도 적용 할 수있으나 관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진공에 의한 흡입 압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흡입량이 줄어 들고, 가는 입자상태의 퇴적물을 주로 흡입하므로 입자의 크기가 커지거나 대형화 및 단단한 고형물로 막힌 부분은 흡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카메라가 없어 실시간 촬영 작업과 막힌 상대물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다. 로봇 형태의 장비는 시선이 제한된 카메라를 부착, 관내부의 상황을 단순 촬영 하여 주로 관에 퇴적된 퇴적물이나 토사물을 버켓등을 이용하여 퍼서 날으는 수준이며 전·후진 외에는 방향전환이 불가능하여 맨홀에서 맨홀로 연결된 직관의 하수관 청소에 주로 많이 사용 되어져 방향이 다른 관에서는 로봇을 다시 다른 관으로 연결된 맨홀에 삽입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이 안되므로 인해 작업위치가 로봇의 진행 방향으로만 가능하여 상대물의 정확한 작업위치의 선정이 어려워 작업 수행 능력의 어려움과 시간이 많이 걸리고 관의 내부에 쌓인 퇴적물을 청소하는 기능은 많으나 관 내벽을 직접적으로 청소하지는 못하며, 부피가 크고 가벼운 쓰레기를 버켓에 올리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에 사용되는 방법은 곡관이 많고 다양한 환경과 이물질에 적응해야 하는 쓰레기 배출관의 막힘이나 청소에는 사용상 어려움이 따른다..So, go to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ccurred, find out the condition of the pipe, drill through the blockage, remove the clogged garbage and foreign objects, and look for some technique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There are methods of connecting various tools at the end of wire, suction dredging method using vacuum, and robot method. The wire type method is mainly used in small water and sewage pipes indoors. If the length of a large tube or tube is long,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tool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 adjustment is not easy, and the tool size is limited, which has limitations in use. In addition, the removed foreign matter flows together by the liquid that flowed through the original tube and is finally removed. Therefore, it cannot be used in the waste discharge pipe without such flow, and it is impossible to work with the camera and the tool at the same time. It has a limitation in not knowing its location. The vacuum su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large tubes, but the longer the tube, the lower the suction pressure due to the vacuum, so the suction volume decreases. Larger and harder blockages are often inhaled. It also lacks a camera, making it impossible to capture real-time shots and locate dead objects. The robot-type equipment attaches a camera with limited gaze and simply photographs the situation inside the pipe, and spreads sediment or earth and sand accumulated in the pipe using a bucket, etc., and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except for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It is mainly used for cleaning sewage pipes of connected straight pipes, so there is a limit that the work must be performed by inserting the robot into the manhole connected to another pipe again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because the direction is not changed, the working position is possible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robot's progress, so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exact working position of the counterpart, which makes it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perform the work and cleans the deposits accumulated inside the pipe. Can't be cleaned directly and it's hard to put bulky and light trash into the bucket. For this reason, the existing methods are difficult to use,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urved pipes and the clogging or cleaning of waste discharge pipes that have to adapt to various environments and foreign substance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부에 장착된, 조명장치가 부착된 360°회전 가능한 카메라는 회전 모듈을 이용하여 관내부의 모든 부분을 촬영 가능토록 하여 관측되지 않는 사각지대로부터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대비하고 좌·우측 바퀴의 각각의 독립된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방향을 서로 달리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후진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전환을 통해 정확한 작업위치의 선정과 곡관의 환경에도 적응토록 하였으며, 기존의 버켓 형태에서 발달한 형태의 다목적 집게팔을 사용, 관 에 충만하게 막혀있는 쓰레기나 이물질을 집어서 견인하거나 용기안에 싸여진 파손이 쉬운 이물질 및 쓰레기를 용기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견인하여 제거 시킬 수 있고 견인작살을 이용해서 다목적 집게팔로 집기 어려운 구조물 형태의 쓰레기 및 이물질을 걸어 견인하여 제거하고 헤드부에 달려진 브러쉬를 이용해 관 내벽의 청소를 통해 오랜기간 사용시 생길수 있는 부식이나 오염을 방지하여 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수명연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360 ° rotatable camera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mounted on the head part is not observed to be able to photograph all parts of the tube using the rotating module. Prepare from various problems caused by blind spots, and use the independent driving motors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o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 so that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to correct working posi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left and right as well as forward and backward. It has been adapted to the environment of selection and curvature, and it uses the multi-purpose tong arms developed from the existing bucket type to pick up the trash or foreign substances clogged in the tube and tow them or to easily remove the damaged foreign substances and trash wrapped in the container. Can be towed and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container Multi-purpose tongs are used to tow and remove garbage and foreign objects in the form of structures that are difficult to pick up and to clean the inner walls of the pipes using brushes attached to the head to prevent corrosion or contamination that may occur during long-term use, thus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aking it possible to extend life is a technical challeng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6)구동부(쓰레기 배출구 청소용 로봇)에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한 (3)헤드부에 (23) 조명장치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4)카메라 회전모듈을 장착하여 360°전방향을 관찰 및 세밀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25)피스톤을 이용한 (5)다목적 집게팔을 장착하여 (18)실린더 케이스 안에서 왕복 움직임을 통해 (5)다목적 집게팔을 개·폐하여 관에 충만히 막혀 있는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을 집거나 (6)수거용 삽에 실어 외부로 유출하여 작업을 하며 헤드부 (22)구동축에 (27)브러쉬를 연결하여 관의 내벽에 붙어있는 스케일 및 이물질을 청소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16) the head portion (23)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lighting device (4) camera rotation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garbage discharge cleaning robot)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The module provides information for observing 360 ° omni-directional and detailed work. (25) Using a piston. (5) Equipped with a multipurpose forefinger. (18) Through a reciprocating motion in a cylinder case. (5) Multipurpose. Open and close the tong arm and pick up the garbage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clogged in the pipe, or (6) work by spilling it out on the shovel for collection, and attaching the brush to the head (22) drive shaft (27)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Clean the scale and foreign matter attached to it.

또한 (16)구동부 상부에 장착된 (13)견인작살 작동모듈에서는 탄성체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장전되었다가 이완 시키며 발사됨과 동시에 (8)견인작살이 복수의 (14)견인 고리를 가지고 견인 상대물의 내부에 들어가거나 통과되어 펼쳐지면서 상대물을 견인 할 수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게 되고 상대물이 구조물 형태이거나 (5)다목적 집게팔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도 (8)견인 작살을 이용하여 상대물에 걸어서 견인하여 제거하게 되며 (3)헤드부 하단에 장착된 구동축에 삽 및 창 형태의 바구니를 사용하여 견인작업을 돕게된다.In addition, in the (13) towing harness operation modul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unit, it is loaded in a compressed state by the elastic body, relaxes and fires, and (8) the towing harness has a plurality of (14) towing rings. Entering or passing through to expand and have sufficient support to tow the opponent, and if the opponent is in the form of a structure or (5) a multipurpose forefinger is not available (8) Towing is removed and (3) using a basket in the form of a shovel and a window on the drive shaft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head to help the towing operation.

또한 로봇의 방향 전환 및 정확한 작업위치를 선정하고 충분한 구동력을 얻기위해 (20)좌측 구동모터 와 (21)우측 구동모터 각각 독립된 2개의 구동 모터를 가지고 동일한 방향으로 정·역회전을 통하여 전·후진 구동을 하고 (20)좌측 구동모터와 (21)우측 구동모터가 상반되게 회전하여 좌·우측 방향 전환 뿐만 아니라 360°제자리 회전을 가능케하여 변하는 관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방향 전환을 통한 정확한 작업위치를 선정함으로 인해 작업 성공율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lso,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bot, select the correct working position, and obtain sufficient driving force, (20) the left side driving motor and (21) the right side driving motor each have two independent driving motors. (20) the left drive motor and (21) the right drive motor are rotated oppositely, enabling not only left and right direction change but also 360 ° in-situ rotation to actively cope with changing pipe situation and accurate work through direction change Positioning can increase the success rate and save time.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쓰레기 배출구 청소용 로봇의 구성 및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garbage outlet clean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은 본 고안의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5)다목적 집게팔과 (6)수거용 삽의 형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관 내벽 (19)청소용 브러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16)구동부의 방향전환 및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상세도 이고, 도 5 는 견인작살에 대한 상세도 이고, 도 6 은 집게 팔을 이용한 동작 예시이고, 도 7 은 견인 작살을 이용한 동작 예시이다1 is a view showing a waste discharge pipe clean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attached to the waste discharge pipe clean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5) multi-purpose forefinger and (6) collection shovel,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tube inner wall (19) cleaning brush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irection change and driving mechanism of the drive unit (16)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 for the traction grate 6 is an example of operation using a forceps arm, Figure 7 is an example of operation using a traction harpoon.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은 구동부 내부에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구동시켜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360°제자리 회전 또 한 가능하게 하였으며 (16)구동부 상부에 위치한 (8)견인 작살은 (13)견인 작살 작동 모듈 내부의 탄성체에 의해 장전되어 있으며 이완 작용으로 발사되어 목표물을 견인하게 되며, (3)헤드부는 (16)구동부 내부에 있는 모터와 연결되어 (3)헤드부에 있는 구동 레일을 따라 상·하 구동을 하게 되어지며, (5)다목적 집게팔을 장착시 왕복 동작으로 개·폐를 가능케하는 (25)피스톤과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을 담을 수 있는 (6)수거용 삽을 장착 할 수있는 회전구동을 하는(22)구동축 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garbage discharge pipe cleaning robot drive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in the driving unit in a reverse direction, thereby enabling left and right rotation as well as 360 ° rotation. (16) The harpoon (13) is loaded by an elastic body inside the towing harpoon module and is released by the loosening action to pull the target, (3) the head part (16) is connected to the motor inside the driving part (3) Drive up and down along the drive rail, and (5) Pumps, garbage and other debris, which can contain opening and closing (25) It consists of 22 driving shafts that can be rotated and driven.

도 2 와 도 6 은 (5)집게 팔과 연계하여 (25)피스톤 왕복운동을 통해 (5)집게 팔의 개·폐를 돕는 (18)실린더 케이스로 피스톤은 (18)실린더 케이스 안에서 왕복운동을 하게되며 전진시 (17)집게팔은 열리고 후진시 (17)집게팔이 닫히므로 상대물을 집을 수 있게된다.2 and 6 show (5) the cylinder case (18) assi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ng arm through the piston reciprocating motion (5) in conjunction with the tong arm (18). When you move forward (17) the forefinger opens and when you go backward (17) the forefinger closes so you can pick up the opponent.

도 3 은 관 내벽의 청소를 위해 (22)구동축에 (19)브러쉬를 장착한 상태로서 (22)구동축의 회전과 함께 (27)브러쉬 또한 회전하여 내벽의 이물질 및 스케일을 청소하게 된다.3 is a state in which a brush (19)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22) to clean the inner wall of the pipe, and the brush (27) is also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22) to clean the foreign substances and scale of the inner wall.

도 4 는 (16)구동부의 구동 및 방향전환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으로서 (9)좌측 전륜 바퀴와 (10)좌측 후륜 바퀴가 (16)구동부 내부의 (24)전·후륜 연결궤도에 의해 연결 되어져 있으며 (11)우측 전륜 바퀴와 (12)우측 후륜 바퀴 또한 동일한 형태로 연결 되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독립된 (20)좌측 구동모터 와 (21)우측 구동모터를 사용하게 되며 전·후진 구동시 각각의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역 회전하여 구동하게 되며 좌·우측 4륜이 모두 구동하게 되어 강력한 구동력과 견인력을 가지게 되며 (20)좌측 구동 모터와 (21)우측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구동시켜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360°제자리 회전 또한 가능하게 된다.4 shows the driving and turning mechanism of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left front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are connected by the front and rear wheel tracks of the driving unit. (11) The right front wheels and (12) right rear wheels are also connected in the same form, so each independent (20) left drive motor and (21) right drive motor are used. It is driven by rotating the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eft and right four wheels are driven to have strong driving force and traction. (20) Left and right driving by rotating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in reverse direction In addition to rotation, 360 ° rotation is also possible.

도 5 와 도 7 은 (8)견인 작살의 상세도로서 (13)견인작살 작동모듈의 탄성체에 의해 압축되어 장전되어진 (8)견인 작살은 탄성체가 이완되며 발사되고 (17)견인작살 몸통에 들어가 있던 (15)견인 지지대가 돌출되면서 목표로 했던 상대물에까지 길이를 연장하여 발사하게 되며 상대물에 삽입된 후 (15)작살 개·폐 링크가 전진하면서 (14)견인고리가 상대물 내부 또는 관통하여 펴지게 되므로 충분한 견인력을 가질 수 있으며 구조물 형태의 상대물에서는 (14)견인 고리 부분에 상대물을 걸리게 하여 상대물을 견인하여 제거 할 수 있게 되어진다.5 and 7 are detailed views of (8) towing harpoon (13) tow harness compressed and loaded by the elastic body of the towing harness operating module (8) towing harpoon is released with the elastic body relaxed and (17) entered into the towing harness torso (15) The towing support protrudes, extending the length to the target opponent, and then inserted into the opponent. (15) The harpoon opening / closing link moves forward. (14) The towing ring moves inside or through the opponent. It can be pulled out so that it can have sufficient traction and in the form of the structure (14) it can be removed by towing the opponent by hooking the opponent to the towing ring.

이와같이 본 고안은 로봇의 자유로운 방향 전환을 통해 정확한 작업위치를 선정하여 작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하며, 곡관등 다양한 관의 형태에 적응하여 사용되도록 로봇의 이동성을 높였고, 360˚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작업 특성상 전·후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상황에서 후진시에도 뒤쪽의 상황을 파악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관내에서 행해지는 작업 상황과 관의 모든 부분을 촬영 할 수 있으므로 관측되지 않는 사각지대로부터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대비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집게팔과 견인작살을 이용해 기존의 삽 및 창의 형태의 도구로는 할 수 없었던 정밀하고 세밀한 작업까지 진행 할 수 있으며, 장착된 브러쉬를 통해 관 내벽을 세밀히 청소하여 부식이나 오염을 방지하고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하며 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correct working position by free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bot,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and reducing the time of work, and increasing the robot's mobility to be used to adapt to various pipe shapes such as curved pipe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ituation behind the scene even when reversing in the situation of continuously repe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o photograph the work situation and all parts of the tube in real time, so that it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pare efficiently from various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work efficiently, and it is possible to proceed to precise and detailed work that could not be done with the tools of the conventional shovel and window using the tong arm and towing harness. Fine cleaning of the inner wall to prevent corrosion and contamination and smooth communication It has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pipe.

Claims (5)

각각의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을 통한 구동 바퀴의 구동 및 방향 전환 가능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상단에 연결되어 견인용 작살을 발사하는 견인작살 작동 모듈부와; 그리고 구동부 전면부에 연결되어진 360°좌·우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가 부착된 카메라 회전모듈과 하단에 청소용 브러쉬와 수거용 창 및 삽형태의 공구가 연결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축을 가진 헤드부에 왕복피스톤이 부착되어진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A driving unit capable of driving and turning the driving wheels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each driving motor; A towing harness operation module uni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driving unit to launch a towing harpoon; And it has a rotation axis by the camera rotation module attached to the 360 ° left and right illumin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front part of the drive unit and the drive motor to connect the cleaning brush, the collection window and the shovel-shaped tool at the bottom Robot for cleaning garbage discharge pipe with reciprocating piston attached to the head 제 1 항에 있어서 견인 작살 작동모듈이 연결된 구동부의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측 전·후륜 구동바퀴를 궤도로 연결 되어 좌·우측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며 방향전환을 할 수있는 구동부를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and rear wheel driving wheels are connected to the track by the respective driving motor of the drive unit to which the towing harpoon operation module is connected to drive the left and right sides independently and can switch the direction Robot for cleaning garbage discharge pipe.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의 헤드부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실린더 케이스 안에서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연결된 링크를 통해 개·폐작용을 하는 집게 팔을 이용 상대물을 잡을수 있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A robot for cleaning a waste discharge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piston of the head part and can catch an opponent using a forceps arm that opens and closes through a link connected to the piston in a cylind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구동부 상단에 장착되어 탄성체의 압축에 의해 장전된 견인 작살을 탄성체의 이완을 통해 발사하는 견인작살 작동 모듈에 의해 발사된 견인작살은 견인 고리 개폐링크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고 견인작살의 발사가 가능한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The towing harness, which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driving unit and is fired by the towing harness operation module that fires the towing harness loaded by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body through the relaxation of the elastic body,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owing ring opening link, and the towing harness can be launched. Robot for cleaning garbage discharge pip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헤드부 하단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관 내벽을 청소하는 청소용 브러쉬를 장착한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A robot for cleaning waste discharge pipes equipped with a cleaning brush that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t the bottom of the head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shaft to clean the inner wall of the pipe.
KR2020060021586U 2006-08-09 2006-08-09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KR2004311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86U KR200431193Y1 (en) 2006-08-09 2006-08-09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86U KR200431193Y1 (en) 2006-08-09 2006-08-09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20A Division KR100811102B1 (en) 2006-08-09 2006-08-09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93Y1 true KR200431193Y1 (en) 2006-11-23

Family

ID=4177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86U KR200431193Y1 (en) 2006-08-09 2006-08-09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9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25B1 (en) 2007-08-29 2008-10-02 주식회사 유진로봇 Mobile robot having attachable and removable wheel and flipper
KR101735942B1 (en) * 2015-08-20 2017-05-15 šœ-유안 첸 Device for washing w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25B1 (en) 2007-08-29 2008-10-02 주식회사 유진로봇 Mobile robot having attachable and removable wheel and flipper
KR101735942B1 (en) * 2015-08-20 2017-05-15 šœ-유안 첸 Device for washing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102B1 (en)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KR100815926B1 (en) A inspection and cleaning robot of pipe laying
JP6441568B2 (en) Pipe line cleaning device
KR101057153B1 (en) A pipe cleaner
CN110984358B (en) Underwater dredging device
JP6529656B1 (en) Duct cleaning equipment
CN116371774B (en) Marine cage, net coat and marine organism adhesion cleaning device and method
CN213033193U (en) Pipeline pull throughs for hydraulic engineering
KR200431193Y1 (en) 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CN110512683A (en) Underwater grasping bucket type grid auger dredging robot
GB2542772A (en) A device for cleaning a chimney flue
CN109577402A (en) Crawler body front end, which swings, twists suction dredging robot
CN201832823U (en) Pipeline cleaning robot
CN115306311B (en) Rotary excavating equipment for building
CN111758682B (en) Shellfish collection system
CA2817638C (en) Modular tool for wellbore cleaning
CN116545367A (en) Portable solar photovoltaic panel belt cleaning device
CN209686569U (en) A kind of automatic to maintain equipment in pipeline inside
CN218424616U (en) Dredging device for tunnel waterproof plate drain pipe
CN116180880A (en) Underwater dredging device and method for municipal sewage pipeline
CN210134491U (en) Universal joint type sewer dredging device
CN110385318A (en) Pipe culvert silting dredges robot and dredging method
CN113996612B (en) Equipment for cleaning well pipe in underground water environment monitoring well
CN216095364U (en) Urban pipeline desilting monitoring integrated robot
CN112627324B (en) Pipeline dredg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