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77Y1 -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77Y1
KR200430877Y1 KR2020060021388U KR20060021388U KR200430877Y1 KR 200430877 Y1 KR200430877 Y1 KR 200430877Y1 KR 2020060021388 U KR2020060021388 U KR 2020060021388U KR 20060021388 U KR20060021388 U KR 20060021388U KR 200430877 Y1 KR200430877 Y1 KR 200430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drainage pipe
culvert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규
Original Assignee
대성다발관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다발관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다발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각종 토목공사나 토지개량공사, 또는 사방공사시 각각의 "S"자형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부재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시 동일한 평면 높이로 연결하여 연결된 다발배수관 부재들의 공간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판상체의 부재 중앙부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양측으로 한 쌍의 곡면부를 가진 절첩면과 상기 절첩면의 중앙부로 수 개의 체결홈과 체결부를 형성하여 부재에 탄성과 굴곡성을 부여함으로서 배수공사시 원형다발배수관이나 판형다발배수관의 구분없이 동시에 연결관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절첩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체결부에 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서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 지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탄력성과 굴곡성이 있는 주름부와 체결홈과 체결부에 의한 결합구조 구성에 의하여 시공상의 편리성 및 재료비와 인건비의 절감을 창출하며, 평면의 펼친 상태에서는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을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판상체, 주름부, 절첩면, 체결홈, 체결부, 원형다발배수관, 판형다발배수관

Description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CULVERT BUNCH DRAINAGE PIPE CONNECTION MATERIALS}
도 1은 암거용 배수관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암거용 배수관 공사를 예시한 도면.
도 3a는 종래 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원형배수연결관의 사시도.
도 3b는 종래 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원형배수연결관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4a는 종래 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판형배수연결관의 사시도.
도 4b는 종래 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판형배수연결관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원형다발배수관에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가 적용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서, 판형다발배수관에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가 적용된 사시도.
도 9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A-A' 단면도.
도 11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A-A'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b는 도 12a의 A-A'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110 ; 판상체
120 ; 주름부 130 ; 곡면부
140-1, 140-2 ; 절첩면 141 ; 체결홈
142 ; 체결부 144 ; 고정부
145 ; 연결관 150 ; 평면부
160 ; "U'형의 주름부 170 ; 원형주름관
210 ; 원형다발배수관 310 ; 판형다발배수관
본 고안은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토목공사나 토지개량공사, 또는 사방공사시 각각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부재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시 동일한 평면 높이로 연결하여 연결된 다발배수관 부 재들의 공간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집 배수관은 공원, 운동장, 골프장, 철로의 노반 및 연약지반의 배수를 위해 지표면에서부터 일정 깊이로 굴착을 실시한 후에 지표면 또는 지표면 하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또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암거집 배수관을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해 왔다.
상기와 같은 암거집 배수관은 연약지반의 배수공사 등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하로 스며드는 지하수를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집수 및 배수하는 가에 달려 있는 데, 이러한 시공방법으로서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종류의 암거집 배수관은 그 전형적인 예로 도 1의 암거용 배수관부재의 사시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작은 관체로서 일측면은 "┏ ┓"형의 삽입홈(301)과 다른 일측면은 "┳"형의 끼움부(30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형상을 대략 "S"자(300)형으로 구성한 배수관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작은 관체의 "S"자(300)형 배수관부재는 시공할 때, 끼움부(302)를 삽입홈(301)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시공현장의 환경에 따라서 원형 또는 판형으로서 다발체로 묶어서 배수통로를 길이방향으로 지중에 배관토록 하는 물품으로서, 그 집수성 및 제작, 설치 등이 상당히 뛰어나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 각종 공사에 효과적인 지중 매설 배수관부재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원형 또는 판형의 적재 다발관은 도 2의 배수로 공사를 예시한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통로(501)에 다발배수 관(500)을 공사현장에서 지중매설시 상기 다발배수관과 다발배수관 사이를 길게는 4-5 미터 간격 사이로 연결관(502)을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고 있으며, 상기 연결관(502)의 형상 또한 원형다발배수관과 판형다발배수관에 따라서 원통형의 원형연결관과 사각형의 판형연결관으로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502)의 높이는 원형다발배수관 또는 판형다발배수관의 높이에 따라 그 높이 또한 달라지며, 다발배수관의 높이는 지중매설시 현장조건에 따라서 또는 그 지방의 강수량과 지하수에 흐르는 물의 유입조건에 따라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원형 또는 판형으로서 다발배수관과 다발배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관(연결소켓)은 도 3a의 종래 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원형배수연결관의 사시도와 도 3b의 종래 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원형배수연결관의 사용상태사시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배수연결관(41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긴 원통형의 P.V.C 관을 현장에서 원형다발배수관(401)의 높이(402)에 따라서 원형배수연결관(410)도 그 높이(크기)(402)에 맞추어서 일일이 절단해서 사용하여야되며, 그 시공방법 또한 현장에서 사용자가 일일이 그 크기에 맞추어서 삽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원형다발배수관(401)에 원형배수연결관(410)을 빈틈없이(정확히) 삽입할 수 없으므로 원형배수연결관(410)이 헐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배수연결관(410)은 사용자가 원형다발배수관(401)의 크기에 따라서 원형배수연결관(410) 또한 그 크기에 맞추어 사용자가 일일이 절단해서 사용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시공하기가 나쁘며 공사기일도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4a의 종래 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판형배수연결관의 사시도와 도 4b의 종래 판형다발배수관에 사용되는 판형배수연결관의 사용상태 사시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판형배수연결관(420)은 상면이 개구부(421)가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양측면은 일직선상의 격벽(422)으로 되어 있고 그 전, 후면은 배수관연결 개방부(423)로 형성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배수연결관(420)을 판형다발배수관(424)의 높이(425)에 따라서 판형배수연결관(420)도 그 높이(425)에 맞추어 일일이 절단하여 개방부(423)로 상기 판형다발배수관(424)을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이 또한 시공하기도 나쁘며 헐거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형배수연결관(410)과 판형배수연결관(420)은 모두 높이 내지는 그 폭이 크고 현장에서 절단하기 전 긴 연결관으로 인해서, 즉 길이가 길고 그 폭이 높기 때문에 보관하기도 나쁘고 운반하기도 나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결관 절단시공시 불량품이 나오거나 혹은 시공과정에서 잔여 연결관의 자재가 나오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생산성과 재료비 및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재에 판상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주름부를 형성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부재에 탄성과 굴곡성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 및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의 착탈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다발배수관과 다발배수관 사이의 연결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암거집 다발배수관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부가 있는 부재에 신축성과 탄력성(스프링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부여함으로서 원형다발배수관과 판형다발배수관에 있어서 연결부재(연결관)으로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시공상의 편리성과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부재를 일정한 크기로 주문 생산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된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재를 판상으로서 그 두께가 비교적 작게 함으로서 보관성과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재의 외관에 보다 폭의 높이가 적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이고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 지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암거집 다발배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부가 있는 판상의 부재에 홈과 같은 공간을 없게 하여 외부의 물체(예를 들면 이물질이나 흙과 같은)에 대한 간섭을 최대한 줄 여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된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장방형의 판상체 상, 하면의 좌, 우측으로 수 개로 배열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 좌, 우측 양 단부로 각각 한 쌍의 절첩편이 구비된다. 상기 판상체의 주름부는 탄력성에 의해 좌,우로 당길 때에는 탄성에 의해 당겨지며, 놓게 되면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 가는 물리적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 우 한 쌍의 절첩편은 그 중앙부로 체결부와 체결홈으로 형성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절첩편은 양측 선단부가 곡면부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직사각형 내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편이 상측 방향으로 올라와서 그 내측으로 절첩되어 그 상부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절첩편이 절첩되어 상기 체결부가 체결홈에 결착되는 동시에 해체시에는 결합부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해제됨과 동시에 서로 분리되는 작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판상체의 주름부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 이외에, 다단으로 적재시 양측 절첩편과 주름부는 그 간격 사이로 다단으로 상측으로 적재될 수 있어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보관 및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원형다발배수관이나 판형배수다발관에 구애 됨이 없이 연결부재(연결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주름부는 원형 내지 각진 육면체를 감살 수 있는 구성 즉, 굴곡성과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비교적 적은 힘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판상체의 주름부 내에 공간부를 배제함으로서 흙과의 외부와의 접촉시 사이의 공간으로 끼거나 등을 최소화하여 시공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절첩편의 체결부와 체결홈을 수 개로 형성함으로서 원형다발배수관이나 판형다발배수관을 연결할 때 손쉽게 그 크기에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결부재가 헐겁지 않도록 하여 시공상의 편의성과 시공기일이 단축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의 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된 판상체를 일체화 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시공시 잔여 자재가 불필요하게 되는 등의 용이함을 아울러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며 동일한 부호에 대하여 동일한 번호를 기재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원형다발배수관에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가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서 판형다발배수관에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가 적용된 사시도이며, 도 9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 낸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도이며, 도 10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A-A' 단면도이며, 도 11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A-A'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이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1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는 판상체(110)로서 "V"자형의 주름부(1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주름부(120)는 상기 판상체(110)의 좌, 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름부(120)는 "V"형으로서 상, 하 어긋나도록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V"자형의 주름부(120)는 원형 내지는 각이진 육면체를 감쌀 수 있도록 그 구성이 신축성과 굴곡성 및 탄력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판상체(110)의 주름부(120)는 절첩면(140-1, 140-2)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양측으로 당기면 탄력성으로 당겨지고 놓으면 최초 상태로 되돌아 가는 작용 즉, 용수철과 같은 물리적인 힘이 작용 되는 성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상체(110)의 주름부(120)의 양측면으로는 양 선단부로 곡면부(130)를 가진 절첩면(140-1, 140-2)이 상, 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첩면(140-1, 140-2)은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을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절첩면(140-1)에 형성된 체결홈(141)과 다른 절첩면(140-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42)에 의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첩면(140-1, 140-2)의 상부에 형성된 곡면부(130)는 필요에 따라서 직사각형 내지는 정사각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첩면(140, 140-1)은 상기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을 연결할 때, 보다 손쉽게 상기 원형다발배수관(210)과 판형다발배수관( 310))의 크기에 맞추어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홈(141)과 체결부(142)가 각각 수 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순서는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의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부위의 외면으로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를 감싸듯이 두른 다음 체결부(142)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면(140-2)을 상기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의 연결부분의 상면으로 절첩한 다음, 상기 체결홈(141)이 형성된 절첩면(140-1)을 다시 절첩하여 상기 체결홈(141)의 공간 사이로 체결부(142)를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141)은 체결부(142)가 보다 손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방향은 홈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타방향은 홈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141)은 체결부(142)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142)의 외주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142)는 상부면이 비교적 두께가 작은 원형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하부면은 한 쌍의 절첩면(140-2)의 저면으로 상기 체결부(142)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부(14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간단한 구성으로서 편리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42)와 고정부(144)의 사이에는 연결관(145)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첩면(140-2)과 더불어 연결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상체(110)의 형상은 원형다발배수관(210)과 판형다발배수관(310)을 보다 길게 감쌀 수 있도록 정사각형의 형상보다 대략 장방형의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방형의 판상체(110)는 체결부(142)이외에 체결홈(141)이나 주름부(120)의 모든 형상은 상, 하면의 형상이 각각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두께는 연질로서 비교적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상체(110)에 형성된 주름부(120)는 보관이나 운반의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판상체(110)의 주름부(120)와 상기 주름부(120)의 사이로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적재시 그 높이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는 일정한 규격된 크기로 생산 가능하여 주문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의 구분없이 암거집 다발배수관의 연결부재(100)로서 사용이 편리하며, 이것은 종래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을 연결할 때, 상기 원형다발배수관의 크기 또는 판형다발배수관의 크기에 맞는 긴 연결관을 일일이 절단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시공상의 번거러움과 이로 인한 연결관 잔재의 처리 문제면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없애고 시공상의 편리성과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상체(110)의 표면에는 홈으로 형성된 공간부를 배제하여 시공시 흙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과정에서 다발배수관 내부로 흙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판상체(110)에 형성된 상기 주름부(120)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9a 내지 도 13b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즉, 도 9a와 9b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V"자형의 주름부(120)는 중앙부는 평평한 평면부(150)으로 그리고 양측으로는 "V"자형이 상, 하 대칭으로 주름부(120)로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도 10a와 도10b에서 표현된 표현된 바와 같이 "V"형의 상기 주름부(120)가 "U"형의 주름부(160)로 상, 하 대칭으로 변형될 수도 있으며, 도 11a와 도 11b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의 주름부(160)가 중앙부는 평평한 평면부(150) 그리고 양측으로는 "U"자형의 주름부(160)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V" 자형의 주름부(120)는 원형주름관(170)으로 형성되어 사용시 다발배수관의 크기에 맞도록 상기 원형주름관(170)을 넓게 확장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13a와 도 13b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120)가 없이 판상체(110)의 전체를 신축성 있는 재질로 평면부(150)로 형성되는 등의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수로 공사에서 배수통로에 원형다발배수관(201) 또는 판형다발배수관(301)을 공사현장에서 지중매설시 상기 다발배수관(210, 310)과 다발배수관(210, 310) 사이의 하단부에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를 깔고 상기 다발배수관(210, 310)의 상부로 본 고안의 양측에 형성된 절첩면(140-1, 140-2)을 좌, 우 당기면 본 고안의 주름부(120)가 탄성적으로 펼쳐지면서 판상체(110)는 좌, 우 양측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때 체결부(142)가 형성된 상기 절첩면(140-2)을 다발배수관(210, 310)의 상측으로 절첩한 뒤, 이후 다른 일측면의 체결홈(141)이 형성된 절첩면(140-1)을 상기 절첩면(140-1)상부에 위치시켜 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42)와 체결홈(141)을 다발배수관(210, 310)의 높이와 평면이 되도록 일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142)를 체결홈(141)에 결합시키게 되면, 원형다발배수관(210)에 적용된 본 고안은 원형 형상의 연결관(연결소켓)으로 구성되어 지고, 판형다발배수관(310)은 판형 형상의 연결관(연결소켓)으로 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된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는 공사현장의 환경에 따라서 원형다발배수관(210)과 판형다발배수관(310)에 동시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시공방법 또한 쉽게 다발배수관(210, 310)을 끼울 수 있는 한편, 다발배수관(210, 310)과 다발배수관(210, 310) 사이에 연결된 본 고안에 의해서 다발배수관(210, 310)의 연결부위는 일체 지하수 물이 새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는 보관이나 운반할 때에도 판상체(110)의 중앙부로 형성된 주름부(120)와 절첩면(140, 140-1)이 그 두께가 낮고 상기 주름부(120)와 절첩면(140-1, 140-2)상면에 다단으로 절첩 및 적재가 가능하게 되어 보관 및 운반 등에서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다발배수관(210, 310)에 연결된 암거집 다발배수 관 연결부재(100)가 시공상 잘못 끼워졌다거나, 헐겁게 끼워졌다 하더라도 본 고안의 절첩면(140-1, 140-2)에 형성된 체결부(142)와 체결홈(141)을 해체하면 다시 최초 상태에서 쉽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는 도 7의 본 고안에 있어서 원형다발배수관(210)에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가 적용된 사시도와 도 8의 본 고안에 있어서 판형다발배수관(310)에 암거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가 적용된 사시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판상체(110)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120)는 그 형상에 여러 주름부의 형상에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절첩면(140-1, 140-2)과 체결부(142) 및 체결홈(141) 등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판상체(110)의 부재에 주름부(120)와 절첩면(140-1, 140-2) 및 체결홈(141)과 체결부(142)를 형성하게 되므로서 원형다발배수관(210)이나 판형다발배수관(310)에 동시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연결소켓)으로서 모두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시공현장에서 사용자가 종래의 원형배수연결관이나 판형배수연결관처럼 다발배수관의 크기나 높이에 맞춰 일일이 연결관(연결소켓)의 크기를 선택하거나 긴 연결관(연결소켓)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의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100)의 판상체(110)에 형성된 절첩면(140-1, 140-2)과 체결부(142) 및 체결홈(141)에 의하여 체결과 분리 조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하여 시공 과정시 본 고안을 일부 잘못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쉽게 해체 조립이 가능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판상체(110)에 형성된 주름부(120)와 절첩면(140-1, 140-2)등은 그 두께가 낮고 상기 주름부(120)의 내측으로 본 고안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어 보관성과 운반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있어서의 암거집 다발배수관의 연결부재(100)는 규격화된 치수로 대량 주문생산이 가능하여 재료비와 인건비 등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하기가 편리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작은 관체의 "S"자형 배수관부재를 다발로 묶어 지중에 매설 배관토록 하는 원형다발배수관과 판형다발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판형체로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는 "V"자형의 주름부가 상, 하 대칭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V"자형의 주름부 양측으로는 한 쌍의 곡면부를 가진 절첩면과, 상기 한 쌍의 절첩면 중앙부로 각각 수 개의 체결홈과 체결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곡면부는 "ㄷ"형으로 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의 주름부가 중앙부는 평평한 평면부로 형성되며, 양측면으로는 "V"자형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의 주름부가 "U"자형 주름부로 상, 하 대칭으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주름부가 중앙부는 평평한 평 면부로 형성되며, 양측면으로는 "U"자형이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원형주름관으로서 넓게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평면부로서, 신축성 있게 늘어나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KR2020060021388U 2006-08-09 2006-08-09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KR200430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388U KR200430877Y1 (ko) 2006-08-09 2006-08-09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388U KR200430877Y1 (ko) 2006-08-09 2006-08-09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77Y1 true KR200430877Y1 (ko) 2006-11-13

Family

ID=4177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388U KR200430877Y1 (ko) 2006-08-09 2006-08-09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48B1 (ko) * 2010-07-30 2011-03-02 고삼석 지하차도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48B1 (ko) * 2010-07-30 2011-03-02 고삼석 지하차도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7587B2 (en) Water drainage device
US70255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water with liner
US20160097175A1 (en) Aggregate replacement
CA2555622A1 (en) Portable flexible and extendable drain pipe
US20130327415A1 (en) Coupling mechanism
CN103370482B (zh) 贮存复合体以及使用其的贮存槽及贮存浸透槽
US10004181B2 (en) Tree surround for watering trees and bushes on sloped hillsides
KR20140134150A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JP2006214103A (ja) 桝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US6280117B1 (en) Universal drain fitting
KR200430877Y1 (ko)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US9206574B2 (en) Aggregate replacement
US9593783B2 (en) Aggregate replacement
KR100736362B1 (ko) 드레인 보드와 주름유공관 일체형 배수부재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AU2007234605A1 (en) Water Storage Fence
KR101034530B1 (ko) 유지 보수용 상,하수관
US9139971B2 (en) Aggregate replacement
JP6069260B2 (ja) 貯留複合体の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貯留槽及び貯留浸透槽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CN217401992U (zh) 一种加强型双胶圈闭水套筒连接结构
CN218818792U (zh) 一种双壁波纹管连接用透明可视双卡扣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