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420Y1 - 재료 분리대 - Google Patents

재료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420Y1
KR200430420Y1 KR2020060018161U KR20060018161U KR200430420Y1 KR 200430420 Y1 KR200430420 Y1 KR 200430420Y1 KR 2020060018161 U KR2020060018161 U KR 2020060018161U KR 20060018161 U KR20060018161 U KR 20060018161U KR 200430420 Y1 KR200430420 Y1 KR 200430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upper decorative
lower support
support member
material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름
Original Assignee
김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름 filed Critical 김아름
Priority to KR2020060018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16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물의 바닥면을 장식하는 이종의 바닥재 사이를 분리하되, 상부로 드러나는 부위는 색상이 미려한 황동재로 형성하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내부 몸체 부위는 값이 싼 알루미늄재로 형성하므로써 장식미와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재료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타일과 카펫 및 마루 등의 바닥재들을 건물 바닥면에 시공시 이종의 바닥재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경계선상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재료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바닥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이종의 바닥재들을 분리시키되 상부로 드러나게되는 상부 장식부재와;
상기 상부 장식부재의 하부에 접속하도록 연장하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장식부재와 하부 지지부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요철 계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장식부재는 황동재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알루미늄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료분리대, 상부장식부재, 하부장식부재, 요철계합부, 황동재, 알루미늄재

Description

재료 분리대{Stand to separate material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재료분리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동상 실시예의 조립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재료 분리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재료분리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 장식 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상부장식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재료 분리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료분리대 2 : 상부장식부재
3 : 하부지지부재 4 : 요철계합부
5 : 저면 6 : 요홈
7 : 철부 8 : 요철계합부
9 : 수직돌출연장부 10 : 요홈
11 : 수직돌출연장부 12 : 요홈
13 : 끼움부 14 : 요철계합부
15 : 건물 바닥면 16 : 타일
17 : 마루 18,19 : 미세돌기
본 고안은 마루와 타일 등이 만나는 건물 바닥재의 경계선상에 장식을 위해 개재되는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건물 바닥면에 일측에는 타일이 깔리고 타측에는 카펫으로 장식되는 등 이종의 바닥재로 바닥면이 장식될 때 그들 이종의 바닥재 사이의 경계면에 바닥재의 단부를 감싸 미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재료분리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재료분리대(20)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타일(21)과 카펫(22), 또는 마루재와 타일 또는 서로 다른 타일과 타일 사이 또는 마루재와 카펫등 이종의 바닥재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그의 경계부위에 설치되게 되는데, 통상 알루미늄 또는 황동 재질을 사용하여 상부 상식부재(23)와 하부지지부재(24)가 일체가 되도록 압출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 원자재 값이 싸고 압출 성형 작업이 쉬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면, 알루미늄 특유의 색상으로 인하여 고급스런 바닥재의 시공시 품격과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황동재질은 황금색으로서 고품격의 시공시에 많이 사용되나 알루미늄에 비해 가격이 크게 비싸 경제성 측면에서는 크게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건물의 바닥면을 장식하는 이종의 바닥재 사이를 분리하되, 상부로 드러나는 부위는 색상이 미려한 황동재로 형성하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내부 몸체 부위는 값이 싼 알루미늄재로 형성하므로써 장식미와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재료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일과 카펫 및 마루 등의 바닥재들을 건물 바닥면에 시공시 이종의 바닥재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경계선상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재료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바닥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이종의 바닥재들을 분리시키되 상부로 표면이 드러나게 되는 상부 장식부재와;
상기 상부 장식부재의 하부에 접속하도록 연장하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장식부재와 하부 지지부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요철 계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장식 부재와 하부 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이종의 재료로 형성하되 특히 상기 상부장식부재는 황동재나 스테인레스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알루미늄재나 철재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 계합부의 요부나 철부의 어느 한쪽에는 끼워 붙인 상태에서 측방향으로부터 압압력을 가할때 서로의 마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미세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장식부재는 상부의 평판부재와 그 평판부재로부터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 T자형을 형성하는 수직돌출연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요철계합부는 상기 수직 돌출 연장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요철구조로 계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재료분리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동상 실시예의 조립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재료분리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재료분리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 본 고안의 재료분리대는 부호 1로 나타내었으며, 재료분리대(1)는 황금색을 갖는 황동재질의 상부장식부재(2)와, 그 상부장식부재(2)의 하부로 연장되며,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3)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장식부재(2)와 하부지지부재(3)는 요철계합부(4)에 의해 서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계합된다.
상기 요철계합부(4)는 상기 상부장식부재(2)의 저면(5)에 형성하는 요홈(6)과, 그 요홈(6)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철부(7)로 형성되며, 이 철부(7)는 하부지지부재(3)의 상단부를 구성한다.
상기한 도 1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요철계합부(4)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요철계합부(8)는 상부장식부재(2)의 평판부로부터 저면(5)에 수직돌출연장부(9)를 T자형을 이루도록 돌출시키고, 그 수직돌출연장부(9)를 하부지 지부재(3)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요홈(10)에 억지 끼워 맞추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제3실시예의 경우 제2실시예와 달리, 상부장식부재(2)의 평판부재로부터 수직하부로 연장하는 수직돌출연장부(11)를 형성하되 그 수직돌출연장부(11)에 요홈(12)을 형성한 후, 하부지지부재(3)의 상단에 형성한 끼움부(13)를 상기 요홈(12)에 억지 끼워 맞추어 요철계합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상부 장식부재(2)와 하부지지부재(3)를 이종의 재료, 예를 들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장식부재(2)는 값비싸기는 하나 매우 고급스러운 미감을 주는 황동재로 압출 성형하고, 외부에서 보여지지 아니하고 아래에 묻히게 되는 하부지지부재(3)는 색상과 질감이 떨어지나 값이 매우 싼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하여 각기 제작한 후 요철계합부(4)(8)(14)의 요철을 서로 끼움한 후, 요홈(6)(10)(12)이 형성된 부재측을 양측에서 눌러 붙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상부장식부재(2)의 요홈(6)이나 상부장식부재(2)로부터 연장하는 수직돌출연장부(9)의 외표면에 1개 이상의 작은 돌기(18)(19)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므로써, 요철계합부를 끼워 맞춘 후 양측면에서 가압력을 가하여 눌러 붙여 계합할 때 작은 돌기(18)들이 마찰계합력을 높이도록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고안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건물 바닥면(15)의 양측을 분할하여 일측에는 타일(16)을 시공하고, 타측은 마루(17)를 시공하는 경우 본 고안의 재료분리대(1)의 은회색 계통 의 값싼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3)는 상부장식부재(2)와 타일(16) 및 마루재(17)에 의해 묻히게 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되며, 상부장식부재(2)만이 그의 표면이 상부로 드러나게 되므로써 황동재 특유의 미려한 황금색 색상이 드러나 바닥장식부재로서의 품위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하부재를 이종의 재료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측부재는 황동뿐 아니라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스테인레스재등도 가능하며, 보이지 않는 하측 부재는 알루미늄 뿐 아니라 상측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철재류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타일과 마루재 등 서로 다른 질감을 가진 이종의 바닥재를 건물 바닥면의 장식을 위해 시공할때, 양측 이종의 바닥재의 경계선 상에 개재되는 재료분리대를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상부 장식부재와 지하로 묻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는 하부 지지부재로 분리하여 성형하되, 상부 장식부재는 미려한 황금색상을 가지는 값비싼 재료인 황동재나 또는 스테인레스재로 형성하고, 지하로 묻혀 보이지 않게 되는 하부지지부재는 상대적으로 값이 싼 알루미늄재나 철재류로 형성한 후 양측 부재를 요철계합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값이 싸면서 미려한 장식 효과를 줄 수 있는 재료분리대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타일과 카펫 및 마루 등의 바닥재들을 건물 바닥면에 시공시 이종의 바닥재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경계선상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재료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바닥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이종의 바닥재들을 분리시키되 상부로 표면이 드러나게 되는 상부 장식부재와;
    상기 상부 장식부재의 하부에 접속하도록 연장하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장식부재와 하부 지지부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요철 계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장식부재와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분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장식부재는 황동재와 스테인레스재중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기 상부장식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값이 싼 알루미늄재나 철재류중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분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계합부의 요부나 철부의 어느 한쪽에는 끼워 붙인 상태에서 측방향으로부터 압압력을 가할때 서로의 마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미세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분리대.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측으로 표면이 드러나는 상부의 평판부재와 그 평판부재로부터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 T자형을 형성하는 수직돌출연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요철계합부는 상기 수직 돌출 연장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요철구조로 계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분리대.
KR2020060018161U 2006-07-05 2006-07-05 재료 분리대 KR200430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61U KR200430420Y1 (ko) 2006-07-05 2006-07-05 재료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61U KR200430420Y1 (ko) 2006-07-05 2006-07-05 재료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420Y1 true KR200430420Y1 (ko) 2006-11-10

Family

ID=4177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61U KR200430420Y1 (ko) 2006-07-05 2006-07-05 재료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4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6261B2 (en)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KR102130858B1 (ko) 패널
US8327595B2 (en) Transition molding
US20100186332A1 (en) Molding profile and molding profile assembly
US20070277473A1 (en) Interlocking interior trim
EP1020590B1 (en) Joint element for floorings
KR20070066908A (ko) 프로파일 레일 시스템
US20080263979A1 (en) Interlocking interior trim
KR200430420Y1 (ko) 재료 분리대
CN205712824U (zh) 一种板材拼装结构
CN106150002A (zh) 一种板材拼装结构
CN202706453U (zh) 一种模压地板
CN2170342Y (zh) 组合橡塑地板
CN205024972U (zh) 装饰金属彩板
KR100947850B1 (ko) 내장용 패널의 연결구조
CN201155200Y (zh) 木地板修边线
KR20120124595A (ko) 체결시공이 간편한 타일
KR200273592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200312370Y1 (ko) 난간용 덮개
CN2912429Y (zh) 地毯接头压条
KR200280811Y1 (ko) 건축용 이질재료 분리대의 시공구조
JP6355309B2 (ja) 床見切材及び畳体・床材間の境界部構造
KR100597001B1 (ko)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JP3155016U (ja) 組立式ボード
CN102864916B (zh) 一种塑木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