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393Y1 -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393Y1
KR200430393Y1 KR2020060023290U KR20060023290U KR200430393Y1 KR 200430393 Y1 KR200430393 Y1 KR 200430393Y1 KR 2020060023290 U KR2020060023290 U KR 2020060023290U KR 20060023290 U KR20060023290 U KR 20060023290U KR 200430393 Y1 KR200430393 Y1 KR 200430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ludge
discharge
drain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23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6Arrangement of distributors or collectors in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 B04B1/0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04B7/06Safety devices ;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여액과 슬러지가 장치의 배수부 및 배출부로 각각 누수,토출됨에 있어서, 상기한 원심력에 의해 여액과 슬러지가 케이싱 내부 천정면을 포함한 내벽면을 타격하여 강한 소음공해와 함께 케이싱의 파손을 일으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별도의 2중 커버를 부설하도록 형성된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측 단부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 케이싱(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는 내마모성 충진재(110)를 내측에 결합한 하우스'∩' 형상의 2중커버(100)가 부설되어 여액 및 슬러지케익가 배수,배출되면서 케이싱(30)의 내부 천정면(35)을 타격하여도 소음이 방지됨은 물론 케이싱(30)의 파손을 보호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2중커버(100)는 하우스'∩' 형상의 몸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라운드 형상의 상부 밀폐면(130)에는 고무재의 충진재(110)가 결착되고, 외통보울(10)의 배수부(33)와 배출부(34)로 결합되는 하부에는 개구된 끼움홈(140)이 마련되는 한편, 몸체의 일방향 면상에는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 끼움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홈(150)이 마련되고, 타방향 면상에는 별도의 고정플랜지(160)가 부설되어 체결구(170)로 하여금 케이싱(10) 일측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마모성 충진재를 결합한 2중 커버로부터 여액과 슬러지의 배수 및 배출시 소음을 저감시키는 한편, 케이싱에 직접적인 타격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원심분리기, 커버, 충진재, 외통보울, 배수, 배출

Description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SCREW DECANTER WITH PROTECTION COV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부측 2중 커버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배출부측 2중 커버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8는 도 6에 따른 저면도,
도 9는 종래의 원심분리기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통보울 20 ... 스크류컨베이어피더
21 ... 슬러지공급관 21a ... 이송날개
30 ... 케이싱 31 ... 구동풀리
32 ... 기어박스 32a ... 메인베어링
33 ... 배수부 34 ... 배출부
100 ... 2중커버 110 ... 충진재
120 ... 공간부 130 ... 밀폐면
140 ... 끼움홈 150 ... 절개홈
160 ... 고정플랜지 170 ... 체결구
본 고안은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여액과 슬러지가 장치의 배수부 및 배출부로 각각 누수,토출됨에 있어서, 상기한 원심력에 의해 여액과 슬러지가 케이싱 내부 천정면을 포함한 내벽면을 타격하여 강한 소음공해와 함께 케이싱의 파손을 일으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별도의 2중 커버를 부설하도록 형성된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분리기는 하수처리장 및 오니처리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슬러지의 케익화를 유도하는 한편, 여액을 탈수하여 최종 슬러지 케익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서 분리된 슬러지 케익은 매립하거나 소각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원심분리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회전체인 외통 보울(10)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과, 이를 구동시키는 각각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을 분리 배출하도록 별도의 배수부(33), 배출부(34)가 형성된 외부 케이싱(30)으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러지공급관(21)의 내측 단부에는 공급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슬러지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수용부(22) 외주면에는 외통보울(10)의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공(23)이 슬러지공급관(2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는 슬러지공급관(21))과 슬러지수용부(22)를 경유하며 그 외주면에 형성된 통공(23)을 통하여 외통보울(10)의 내측으로 유입, 분배되고 고속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가벼운 여액은 직경이 큰 단부측으로 배수되고,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직경이 좁은 단부측으로 배출된다.
다시말해, 내측 회전체인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한편, 외측 회전체인 외통보울(10)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바, 이러한 양 회전체에는 원심력에 의해 좁은 직경측으로의 침강속도가 중력하에서보다 수천배 이상 빨라져 가벼운 여액은 직경이 큰 단부측으로,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직경이 좁은 단부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러지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1)의 내측에 공급시 고분자 응집제에 의해 플럭 형태의 덩어리로써 유입되는 바, 이는 중량차를 유도하여 원심분리 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가벼운 여액과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상술한 원리에 의해 분리된다 할 것이다.
그러나,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여액과 슬러지는 고속으로 각각의 배수부, 배출부로 하여금 신속하게 배수 및 배출되는 바, 이는 외통보울을 감싸고 있는 케이싱의 내측 벽면을 강타하면서 시끄러운 소음과 함께 진동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장치의 장시간 운전 시 여액과 슬러지로부터 케이싱 철판의 피로가 누적되어 마모가 발생되거나 균열이 발생되어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여액과 슬러지가 장치의 배수부 및 배출부로 각각 누수,토출됨에 있어서, 상기한 원심력에 의해 여액과 슬러지가 케이싱 내부 천정면을 포함한 내벽면을 타격하여 강한 소음공해와 함께 케이싱의 파손을 일으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별도의 2중 커버를 부설하도록 형성된 원심분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측 단부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 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 케이싱(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는 내마모성 충진재(110)를 내측에 결합한 하우스'∩' 형상의 2중커버(100)가 부설되어 여액 및 슬러지케익가 배수,배출되면서 케이싱(30)의 내부 천정면(35)을 타격하여도 소음이 방지됨은 물론 케이싱(30)의 파손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2중커버(100)는 하우스'∩' 형상의 몸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라운드 형상의 상부 밀폐면(130)에는 고무재의 충진재(110)가 결착되고, 외통보울(10)의 배수부(33)와 배출부(34)로 결합되는 하부에는 개구된 끼움홈(140)이 마련되는 한편, 몸체의 일방향 면상에는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 끼움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홈(150)이 마련되고, 타방향 면상에는 별도의 고정플랜지(160)가 부설되어 체결구(170)로 하여금 케이싱(10) 일측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심분리기는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스크 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통보울(10)은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비해 협소한 직경을 형성하도록 깔대기 형상이 된다.
이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 제공시 경량의 여액은 직경이 큰 단부측으로, 중량물의 슬러지는 직경이 좁은 단부측으로 침강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분리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는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측 단부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날개(21a)는 외통보울(10) 내측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유영하는 슬러지에 와류를 일으켜 보다 큰 원심력을 제공하는 한편, 슬러지를 탈수하여 케익화하고 이를 배출구(34)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30)은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32)는 별도의 감속기어군(미도시)이 형성되어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의 속도비를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는 내마모성 충진재(110)를 내측에 결 합한 하우스'∩' 형상의 2중 커버(100)가 부설되어 여액 및 슬러지케익가 배수,배출되면서 케이싱(30)의 내부 천정면(35)을 타격하여도 소음이 방지됨은 물론 케이싱(30)의 파손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2중커버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부식성이 우수한 소재를 절곡 및 제관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2중커버는 배수부측과 배출부측의 간격 및 공간에 따라 몸체의 길이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며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중커버(100)는 하우스'∩' 형상의 몸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라운드 형상의 상부 밀폐면(130)에는 고무재의 충진재(110)가 결착되고, 외통보울(10)의 배수부(33)와 배출부(34)로 결합되는 하부에는 개구된 끼움홈(140)이 마련되는 한편, 몸체의 일방향 면상에는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 끼움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홈(150)이 마련되고, 타방향 면상에는 별도의 고정플랜지(160)가 부설되어 체결구(170)로 하여금 케이싱(10) 일측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면에 부착된 충진재는 고무재 또는 내마모성 충진재로써, 본딩에 의해 2중커버 내벽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고정구를 통해 결착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하수처리장 또는 오니처리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본 고안의 원심분리기는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탈수하고, 압축된 슬러지를 케익화함으로써 이를 매립하거나 소각하게 된다.
이때, 분리 발생된 여액과 슬러지는 각각 배수부와 배출부로 배수 및 배출되는데, 이러한 여액과 슬러지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됨에 있어서, 케이싱의 내벽을 향해 분사되듯 탈리(분리,이탈)된다.
이때, 상기 배수부와 배출부측에는 별도의 2중커버를 부설하여 탈리되는 여액과 슬러지가 케이싱으로 직접 닿거나 가격하지 못하도록 보호가이드 하는 것으로, 이는 2중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별도의 내마모성 충진재(고무재)로부터 실현된다.
다시 말해, 분리 이탈되는 여액과 슬러지의 강한 분사압력을 완충시키는 한편, 이로인해 소음 및 진동이 절감되어 작업환경의 개선은 물론 장치의 내구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여액과 슬러지가 장치의 배수부 및 배출부로 각각 누수, 토출됨에 있어서, 상기한 원심력에 의해 여액과 슬러지가 케이싱 내부 천정면을 포함한 내벽면을 타격하여 강한 소음공해와 함께 케이싱의 파손을 일으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내마모성 충진재를 내측에 결합한 2중 커버로 인해 여액과 슬러지의 배수 및 배출시 소음을 저감시키는 한편, 케이싱에 직접적인 타격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측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통보울(10)과, 상기 외통보울(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한편, 일측 단부에 슬러지공급관(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이송날개(21a)가 형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와, 상기 외통보울(10)과 스크류컨베이어피더(20)를 커버하며 일측에 구동풀리(31)가 형성되며, 타측에 메인베어링(32a)을 포함한 기어박스(32)가 구비되는 한편, 일측에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도록 배수부(33)가 형성되고, 타측에 분리된 슬러지케익이 배출되도록 배출부(34)가 마련된 케이싱(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는 내마모성 충진재(110)를 내측에 결합한 하우스'∩' 형상의 2중커버(100)가 부설되어 여액 및 슬러지케익가 배수,배출되면서 케이싱(30)의 내부 천정면(35)을 타격하여도 소음이 방지됨은 물론 케이싱(30)의 파손을 보호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중커버(100)는
    하우스'∩' 형상의 몸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라운드 형상의 상부 밀폐면(130)에는 고무재의 충진재(110)가 결착되고, 외통보울(10)의 배수부(33)와 배출부(34)로 결합되는 하부에는 개구된 끼움홈(140)이 마련되는 한편, 몸체의 일방향 면상에는 상기 배수부(33)와 배출부(34)에 끼움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홈(150)이 마련되고, 타방향 면상에는 별도의 고정플랜지(160)가 부설되어 체 결구(170)로 하여금 케이싱(10) 일측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KR2020060023290U 2006-08-30 2006-08-30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KR200430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290U KR200430393Y1 (ko) 2006-08-30 2006-08-30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290U KR200430393Y1 (ko) 2006-08-30 2006-08-30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393Y1 true KR200430393Y1 (ko) 2006-11-13

Family

ID=4177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290U KR200430393Y1 (ko) 2006-08-30 2006-08-30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3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852A (zh) * 2022-03-25 2022-05-27 陕西威耐特尔工贸有限公司 一种格子型球磨机联合给矿器预保护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852A (zh) * 2022-03-25 2022-05-27 陕西威耐特尔工贸有限公司 一种格子型球磨机联合给矿器预保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6387B2 (ja) 遠心分離装置
KR200411144Y1 (ko) 슬러지 제거용 원심분리기
RU2012100727A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сепаратор
KR20160092272A (ko) 입형 원심펌프
KR200430393Y1 (ko) 2중 커버가 부설된 원심분리기
KR101152176B1 (ko) 내장형 감속유닛을 갖는 원심분리기
CN111408486A (zh) 钻井液离心机用排渣机构和钻井液离心机
KR200384169Y1 (ko)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KR200465060Y1 (ko) 실링 보호기능을 갖춘 펌프
KR101027156B1 (ko) 절삭칩,오일 원심 분리기
KR20160089249A (ko) 고무 사상기
KR102049796B1 (ko) 자동차부품 세척폐수의 유수분리장치
CL2007000871A1 (es) Centrifuga de rotor helicoidal de camisa imperforada con aberturas de drenaje para vaciamiento parcial y de residuos, con un anillo obturador para las aberturas de drenaje, el cual es axialmente desplazable y gira con el tambor, estando dicho anillo asociado con u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KR102012301B1 (ko) 슬러지 절단기능을 갖는 스크루 프레스
US20220234053A1 (en) Solid bowl screw centrifuge
AU2016253682A1 (en) Cyclone dryer for sludge drying
KR100992566B1 (ko) 채소부산물 분쇄장치의 회전축 결합구조
JP5710905B2 (ja) 遠心分離機
KR100864445B1 (ko) 워터 탱크의 이물질 배출장치
KR200284275Y1 (ko)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
KR20160054329A (ko) 복수의 원심분리기 연동방법
KR200337029Y1 (ko) 폐수협잡물의 복합처리 장치
RU2004120635A (ru) Шнековая центрифуга
KR0121940Y1 (ko) 오물원심분리 탈수 여과장치
JP7492927B2 (ja) 遠心分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