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385Y1 -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385Y1
KR200430385Y1 KR2020060023183U KR20060023183U KR200430385Y1 KR 200430385 Y1 KR200430385 Y1 KR 200430385Y1 KR 2020060023183 U KR2020060023183 U KR 2020060023183U KR 20060023183 U KR20060023183 U KR 20060023183U KR 200430385 Y1 KR200430385 Y1 KR 200430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tank
tank box
box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riority to KR2020060023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3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에 의해 탱크박스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지하매설용 저장탱크의 탱크박스의 수위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탱크박스(2)의 내측에 저장탱크를 투입하고 일측에 검지관(3)을 장치하여 토사(6)로 저장탱크(1)를 매립하고 검지관(3)을 이용하여 탱크박스(2)의 수위를 측정하는 종래의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지봉(5)의 자루부(503) 상단에 계측눈금(502)을 형성하고 하단에 부구(501)를 장치하며 덮개(4)의 중앙부에 안내공(402)을 형성하여 부구(501)를 검지관(3)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자루부(503)의 상부가 덮개(4)의 안내공(402)을 통하여 검지관(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구조로 되어 검지봉(5)이 검지관(3)내에 장치되어 검지봉(5)의 변위량을 파악하면 수시로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 고장발생의 위험이 없어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저장탱크, 탱크박스, 수위, 검침, 측정

Description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A measuring system of the tank box for water level}
도 1은 종래 탱크박스의 수위 측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설명 ***
1 : 저장탱크 2 : 탱크박스
3 : 검지관 4 : 덮개
401 : 안내관 402 : 안내공
5 : 검지봉 501 : 부구
502 : 눈금 503 : 자루부
6 : 토사
본 고안은 지하매설용 저장탱크의 시설시에 설치되는 탱크박스의 수위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력에 의해 탱크박스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배수장치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유류탱크와 같이 규격이 크고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통상 지하에 매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저장탱크를 매설하기 위하여서는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누출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저장탱크가 수용되는 탱크박스를 시설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탱크박스를 시공하여 저장탱크를 시설하는 것은 저장탱크의 저장물이 누출되어도 탱크박스에 의해 갇히게 되므로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시일이 지남에 따른 노후화로 균열의 발생 및 방수기능의 저하 등으로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하거나 탱크저장물과 탱크박스내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 즉 응축수 등이 탱크박스에 고여지게 되며 이는 저장탱크의 부식 등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탱크 시설부에는 저장탱크와 별도로 탱크박스 내의 물고임 등을 수시로 체크하여 관리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탱크박스 내의 물고임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저장탱크의 시설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통상 저장탱크(1')를 지하에 시설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지면을 일정깊이로 굴착하고 그 내측에 일정두께의 벽면과 바닥면을 가지는 탱크박스(2')를 시설하여 그 내측에 저장탱크(1')를 안착시켜 탱크박스(2')와 저장탱크(1') 사이의 공간부를 모래 등의 토사(6')를 이용하여 메워서 시공하게 되고 탱크박스(2')의 일측에는 하측에 토사유입을 방지하고 물만 유입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물 유입공(301')을 가진 검지관(3')을 장치하되 검지관(3')은 하측 끝이 탱크박스(2')의 바닥면에 닿게 하고 상부는 지면위로 돌출되게 시설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종래의 지하저장탱크는 탱크박스 내에 물이 고이게 되면 검지관의 유입공을 통하여 검지관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어 검지관 내측의 수위와 탱크박스 내의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탱크박스 내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검지관의 내측으로 무게추를 가진 끈 등을 투입하여 끈에 묻은 물을 확인하거나 무게추가 물에 입수하며 발생하는 소리 또는 탱크박스의 바닥에 떨어지며 발생하는 소리로 물의 존재여부 및 수위를 체크 하였으나 이는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수위의 측정이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검지관의 내측에 수위를 나타내는 검지봉이 항상 위치하게 하고 수위에 따라 검지봉이 부력에 의해 승하강 되게 함으로써 수시로 수위를 체크 할 수 있도록 하는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검지관 내에 유입된 물에서 발생하는 부력을 이용하여 수위를 체크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탱크박스(2)의 내측에 저장탱크를 투입하고 일측에 검지관(3)을 장치하여 토사(6)로 저장탱크(1)를 매립하고 검지관(3)을 이용하여 탱크박스(2)의 수위를 측정하는 종래의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지봉(5)의 자루부(503) 상단에 계측눈금(502)을 형성하고 하단에 부구(501)를 장치하며 덮개(4)의 중앙부에 안내공(402)을 형성하여 부구(501)를 검지관(3)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자루부(503)의 상부가 덮개(4)의 안내공(402)을 통하여 검지관(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도 3의 (가)와 (나)는 덮개(4)의 중앙부 상,하측에 안내공(402)을 가진 투명체의 안내관(401)을 형성하여 검지봉(5)의 자루부(503) 상단이 안내관(401)의 내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며 안내관(401)의 외측에 계측눈금(502)을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에서 부구(501)는 부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소재 즉 발포수지 또는 내측에 공기가 투입된 공 형태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자루부(503) 또한 비중이 물보 다 낮아 부력을 발생하는 소재 및 관체와 같이 무게를 경감하는 구조일수록 본 고안의 목적에 부합함으로써 부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소재 및 구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탱크박스(2) 내에 물이 고이게 되면 검지봉(5)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됨으로써 계측눈금(502)을 이용하여 검지봉(5)의 상승량을 파악하여 탱크박스(2)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덮개(4)의 상부에 검지봉(5)의 자루부(503) 상단에 밀착하는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센서를 장착한다면 검지봉(5)의 상승압력 및 상승폭을 감지하여 배수펌프 등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검지봉(5)이 검지관(3)내에 장치되어 별도의 측정장치 및 수단을 실시하지 않고도 검지봉(5)의 변위량을 파악하면 수시로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배수펌프와 연계하여 시설할 수 있음으로 그 사용이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 고장발생의 위험이 없어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탱크박스(2)의 내측에 저장탱크를 투입하고 일측에 검지관(3)을 장치하여 토사(6)로 저장탱크(1)를 매립하고 검지관(3)을 이용하여 탱크박스(2)의 수위를 측정하는 종래의 탱크박스수위계측장치에 있어서:
    검지봉(5)의 자루부(503) 상단에 계측눈금(502)을 형성하고 하단에 부구(501)를 장치하며 덮개(4)의 중앙부에 안내공(402)을 형성하여 부구(501)를 검지관(3)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자루부(503)의 상부가 덮개(4)의 안내공(402)을 통하여 검지관(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덮개(4)의 중앙부 상,하측에 안내공(402)을 가진 투명체의 안내관(401)을 형성하여 검지봉(5)의 자루부(503) 상단이 안내관(401)의 내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며 안내관(401)의 외측에 계측눈금(502)을 형성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KR2020060023183U 2006-08-29 2006-08-29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KR200430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83U KR200430385Y1 (ko) 2006-08-29 2006-08-29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83U KR200430385Y1 (ko) 2006-08-29 2006-08-29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385Y1 true KR200430385Y1 (ko) 2006-11-13

Family

ID=4177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183U KR200430385Y1 (ko) 2006-08-29 2006-08-29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3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5329B2 (ja) 沈下量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US4715966A (en) Septic tank sludge level indicator
JP5473760B2 (ja)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RU2619808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условий для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лавающей крыши резервуара
KR101350414B1 (ko)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누설감지 장치
JP4969587B2 (ja) 液体のレベルおよび密度を測定する装置
CN205591195U (zh) 超软吹填土分层沉降仪
US20160047225A1 (en) Method for slender tube, multi-level, subsurface borehole sampling system
TWI364531B (en) Apparatus for testing a liquid storage tank for leaks
KR200430385Y1 (ko) 탱크박스 수위 계측장치
KR101710499B1 (ko) 연약지반의 침하량 자동계측장치
KR100792400B1 (ko) 반도체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약지반 침하 계측장치
JP2011058996A (ja) マンホール内水位測定装置
KR102118587B1 (ko)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CN112326073B (zh) 用于模型试验的土压力测量装置及其标定方法
JP3798860B2 (ja) 地下水の最高水位検知装置
KR102338915B1 (ko) 토양 및 지하수 오염탐지 시스템
KR20100131072A (ko) 지표면 침하량 측정장치
CN114048625A (zh) 煤矿地下水库储水系数计算方法和系统
JP6281148B2 (ja) 透水試験装置及び透水試験方法
JP2004083244A (ja) 高圧気体貯蔵施設
CN110439044A (zh) 一种混凝土-水泥浆界面探测器
CN210572290U (zh) 一种用于砂土饱和度检测的外筒装置
CN212963789U (zh) 用于模型试验的土压力测量装置
Acworth Measurement of vertical environmental-head profiles in unconfined sand aquifers using a multi-channel manometer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