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211Y1 -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211Y1
KR200430211Y1 KR2020060020937U KR20060020937U KR200430211Y1 KR 200430211 Y1 KR200430211 Y1 KR 200430211Y1 KR 2020060020937 U KR2020060020937 U KR 2020060020937U KR 20060020937 U KR20060020937 U KR 20060020937U KR 200430211 Y1 KR200430211 Y1 KR 200430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instrument
mounting member
coupled
holding member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은성
Original Assignee
홍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성 filed Critical 홍은성
Priority to KR202006002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3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a windway for leading the air to the labium, e.g. recor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악기(管樂器)를 거치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가 관악기를 파지 가능하도록 거치부재와 결합된 파지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이 타단은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거치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형성된다.
따라서, 관악기의 연주시 연주자의 체력적인 소모를 적게 하면서도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보조하여 연주자의 장시간 리코더 연주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Performance Accessorily Holder For Wind Instru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홀더 10 : 거치부재
11 : 고정암나사 12 : 수용부
13 : 내측면 20 : 파지부재
21 : 고정나사 22 : 고정너트
30 : 받침부재 31 : 제1지주
31a : 조정나사 32 : 제2지주
32a : 조정암나사 33 : 지지대
본 고안은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주자가 관악기(管樂器)를 장시간에 걸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는 금속, 나무, 대 등의 관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취구(吹口)를 입으로 불어서 관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취주악기(吹奏樂器)이다.
본 고안에서는 관악기 중 리코더(recorder)를 활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 하는바 이는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른 관악기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리코더를 이용하여 연주할 때 연주자는 자신의 어깨와 손목 사이의 부분을 형성하는 팔과 손의 힘이 소진되는 시점에서 팔과 손에 전해지는 통증으로 인해 리코더의 연주를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체력적인 문제로 연주를 중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악기의 악기 무게가 연주자의 팔과 손 이외의 신체에 전가되도록 관악기와 연주자의 신체 사이에 구성하여 연주자의 리코더 연주를 장시간 가능하게 개선 시킬 수 있는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관악기(管樂器)를 거치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가 관악기를 파지 가능하도록 거치부재와 결합된 파지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이 타단은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거치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된 "C"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상부에 관통형성된 고정암나사에 결합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거치부재의 내측에서 고정나사와 결합되어 거치부재에 거치된 관악기를 파지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이 타단에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주자와 관악기의 간격에 따라 거치부재와 받침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제1,제2지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된 "C"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개방된 내측 수용부(12)에 관악기를 부분적으로 수용 거치하는 거치부재(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재(1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고정암나사(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재(10)의 상부에는 관악기를 파지 가능하도록 거치부재(10)와 결합된 파지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재(20)는 상기 고정암나사(11)와 결합되는 고정나사(21)와 상기 거치부재(10)의 내측에서 고정나사(21)와 결합되어 거치부재(10)의 수용부(12) 내측면(13)에 거치된 관악기를 파지하는 고정너트(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너트(22)는 관악기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관악기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바, 이때, 관악기의 외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너트(22)의 재질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과 관악기와 접촉되는 고정너트(22)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10) 및 파지부재(20)의 구성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목적에 따라 공지의 형상 및 수단으로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거치부재(10)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이 타단은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거치부재(1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30)는 거치부재(10)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된 제1지주(31)와,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제2지주(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주(31)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조정나사(3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주(32)의 상부에는 내측 길이방향으로 상기 조정나사(31a)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조정암나사(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주(32)의 하부에는 제2지주(32)의 축선과 직각으로 교차 되는 "V" 형상의 지지대(33)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주(32)의 구성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목적에 따라 공지의 형상으로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2지주(31,32) 및 지지대(33)가 본 고안에서는 연주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되었으나 사용 목적에 따라 연주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 타입(미 도시)으로 가변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자는 거치부재(10)의 수용부(12) 내측면(13)에 리코더(200)를 부분적으로 수용 거치하게 된다. 이때, 연주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10)의 고정암나사(11) 나사결합된 고정나사(21)의 나사머리 부분을 손으로 돌려서 거치부재(10)에 리코더(2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자는 편안한 연주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리코더와 연주자의 가슴과의 위치 간격을 제1지주(31)와 나사결합된 제2지주(32)를 손으로 돌려 조정한다. 이때, 제2지주(32)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대(33)가 연주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리코더의 밀착력을 높이고 리코더(200)의 무게를 분산시킨다.
이렇게, 연주자가 편안한 자세를 갖추고 되고 난 뒤에는 연주자는 양손 손가락으로 리코더(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으로는 리코더(200)의 취구의 불어 악보에 따라 손가락을 운지 하면서 리코더(200) 연주를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코더와 연주자의 가슴 사이에 본 고안을 구 성하여 리코더의 악기 무게가 연주자의 팔과 손 이외의 신체인 가슴에 전가되게 함으로써, 리코더의 연주시 연주자의 체력적인 소모를 적게 하면서도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보조하여 연주자의 장시간 리코더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관악기(管樂器)를 거치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가 관악기를 파지 가능하도록 거치부재와 결합된 파지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이 타단은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거치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된 "C"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상부에 관통형성된 고정암나사에 결합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거치부재의 내측에서 고정나사와 결합되어 거치부재에 거치된 관악기를 파지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저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이 타단에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주자와 관악기의 간격에 따라 거치부재와 받침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제1,제2지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KR2020060020937U 2006-08-04 2006-08-04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KR200430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37U KR200430211Y1 (ko) 2006-08-04 2006-08-04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37U KR200430211Y1 (ko) 2006-08-04 2006-08-04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211Y1 true KR200430211Y1 (ko) 2006-11-13

Family

ID=4177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937U KR200430211Y1 (ko) 2006-08-04 2006-08-04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2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6933A1 (fr) * 2020-11-27 2022-06-03 François NOUVEL Dispositif de support pour clarinette-basse et procédé de mont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6933A1 (fr) * 2020-11-27 2022-06-03 François NOUVEL Dispositif de support pour clarinette-basse et procédé de mont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649B (zh) 适配器
US7786362B1 (en) Pi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KR20100125323A (ko) 현악기용 어깨 받침대
EP1878006B1 (en) Shoulder rest for a violin and a viola
US3988958A (en) Thumb rest for a musical wind instrument
US10540948B2 (en) Ergonomic head joint for a transverse flute
KR101214895B1 (ko)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KR200430211Y1 (ko) 관악기용 연주 보조 홀더
CA3060272C (en) Device for supporting a saxophone
US6777600B2 (en)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US10049649B2 (en) Bowed string instrument
US8314316B1 (en) Finger controlled bow for violin
US8686267B2 (en) Brass instrument practice device
CA2409008A1 (en) Bagpipe reed system
TWI762061B (zh) 用於橫笛之頭部件及該橫笛
US10510326B1 (en) Bow grip aid for string instruments
US7238871B1 (en) Guitar slide pouch
GB2493384A (en) Finger mounted plectrum
US8969691B1 (en) Extension block for a stringed instrument
CN108172201B (zh) 一种小提琴腮托
CN208752936U (zh) 一种便于携带的10孔专业演奏口琴
JP2002126158A (ja) ビリヤード練習用キュー
JP4706993B2 (ja) 楽器を支持するためのハンドレスト
JP6651170B2 (ja) 弦楽器用肩当て
JP3036625U (ja) スポーツ用応援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