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851Y1 - 목재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851Y1
KR200429851Y1 KR2020060021338U KR20060021338U KR200429851Y1 KR 200429851 Y1 KR200429851 Y1 KR 200429851Y1 KR 2020060021338 U KR2020060021338 U KR 2020060021338U KR 20060021338 U KR20060021338 U KR 20060021338U KR 200429851 Y1 KR200429851 Y1 KR 200429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asing
grinding
support membe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강열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filed Critical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Priority to KR2020060021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로 파쇄처리된 목재를 목재 칩 또는 목재 분체 형태로 분쇄처리하는 목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목재 분쇄장치는,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투입되는 목재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유닛은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이 샤프트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회전체, 각 회전체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분쇄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은 목재의 분쇄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팁의 교체 및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쇄, 목재, 칩, 분체, 분쇄팁, 지지부재

Description

목재 분쇄장치{APPARATUS FOR GRINDING WOOD}
도 1은 본 고안의 목재 분쇄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싱을 일부 절개한 부분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쇄유닛 및 스크린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크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프레임 20 : 케이싱
30 : 분쇄유닛 40 : 스크린
50 : 구동장치
본 고안은 목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로 파쇄처리된 목재를 목재 칩 또는 목재 분체 형태로 분쇄처리하는 목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라 함은, 여러 가지 이용 목적으로 벌채한 수목으로, 학술적으로는 수목이 생장함에 따라 형성층(形成層)세포의 분열증식에 의해 형성층 내측에 형성되는 목질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리그닌화(化)한 무수한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목재는 수목의 뿌리·줄기·가지 등 나무 전체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목재로 이용되는 부분은 수간(樹幹)이다.
이러한 목재는 침엽수재·활엽수재로 크게 구별한다. 침엽수재를 연재(軟材), 활엽수재를 경재(硬材)라 하기도 한다. 한대·온대산재는 나이테[年輪]가 형성되어 있고, 수간의 중심부는 심재(心材), 그 외부는 변재(邊材)로 구성되어 있다. 침엽수재는 헛물관[假導管]·유세포(柔細胞)·수지구(樹脂溝)·방사조직(放射組織)으로, 활엽수재는 물관[導管]·목섬유(木纖維)·유세포·방사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조직은 수간의 종축에 직각방향으로, 기타 조직은 종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침엽수에서는 조직의 대부분을 헛물관이 차지하고, 활엽수에서는 물관이 10∼20%, 목섬유가 40∼70%를 차지한다.
목재는 건축·가구·포장상자·선박·차량·갱목(坑木)·침목(枕木)·전주·악기·운동구·합판·펄프·숯·연료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건류(乾溜)하여 목(木)가스·목타르·아세트산(酸)·메탄올·크레오소트 등 화학약품의 원료를 생산한다.
한편, 이러한 목재는 1차로 사용되고 난 후에는 상품 가치가 없는 폐목으로 분리되고, 이러한 폐목들은 목재 분체이나 톱밥 또는 목재 칩의 형태로 재처리 가공되어 재활용된다. 목재 칩으로 가공된 것은 파티클보드의 주원료로 목재 가공공 장에 이용되고, 톱밥 또는 목재 분체는 농토의 토질을 높이는 유기질 비료, 우사/돈사/계사 등에 이용된다.
목재칩은 10~20㎣의 크기로 목재가공 공장 등에서 무늬 합판 및 파렛트 제조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톱밥 또는 목재 분체는 1~3㎣ 크기의 미립자로 가공하여 퇴비 및 사료의 첨가물로 사용되며 주요 사용처는 유기질 재료공장, 비료회사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목재 분체 또는 목재 칩은 목재 분쇄장치에 의해 가공되고, 이 목재 분쇄장치는 1차로 파쇄처리된 목재를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종래의 목재 분쇄장치는 그 분쇄효율의 실효성이 매우 낮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목재 분쇄장치는 파쇄된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팁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목재의 분쇄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목재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팁의 교체 및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재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투입되는 목재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유닛은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이 샤프트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회전체, 각 회전체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분쇄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팁은 지지부재 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회전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는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분쇄유닛 및 케이싱의 배출구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배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재 분쇄장치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 부면(10)에 설치된 케이싱(20), 및 케이싱(20) 내에 구비된 분쇄유닛(3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다수의 수평 및 수직지주(11, 12)가 조합된 형태이고, 그 상부면에 케이싱(20)을 설치되며, 케이싱(20)은 프레임(1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케이싱(20)은 그 상부면에 1차로 파쇄된 목재가 투입되는 투입구(21)를 구비하고, 그 하부면에 배출구(22)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투입되는 목재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배출구(22)의 하부측에는 분쇄된 목재를 다음의 가공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등과 같이 이송유닛(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분쇄유닛(30)은 케이싱(20)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구(21)를 통해 투입된 목재를 소정 크기로 분쇄한다.
이러한 분쇄유닛(30)은 케이싱(20) 내에 회전지지되는 샤프트(31), 이 샤프트(31)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회전체(32), 각 회전체(32)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33), 및 이 지지부재(33)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분쇄팁(34)을 포함한다.
샤프트(31)는 그 양단부가 베어링 등을 통해 케이싱(20) 내에 회전지지되고, 그 일측단부가 케이싱(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단부 측에 구동장치(50)가 연결된다. 구동장치(50)는 구동모터(51) 및 구동모터(51)의 구동력을 샤프트(31)으로 전달하는 전동유닛(52)으로 이루어지며, 이 전동유닛(52)은 도 1에서 벨트 전동유닛이 적용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외에 로프 전동유 닛, 체인 전동유닛 등과 같은 다양한 전동유닛이 적용가능할 것이다.
다수의 회전체(32)는 샤프트(31)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부재(33)가 체결구(33a)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수의 지지부재(33)는 회전체(32)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소강 등과 같은 강재질로 이루어진다.
분쇄팁(34)은 열처리강, 하이스강, 초경합금 등과 같이 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지지부재(33)의 단부 측에 힌지핀(34a) 등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지지부재(33)에 대해 피벗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샤프트(31)가 구동장치(50)에 의해 회전구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지지부재(33)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분쇄팁(34)은 지지부재(33)의 회전작동에 대한 반반력 또는 관성력 등에 의해 피벗작동함으로써 케이싱(20) 내로 투입된 파쇄목재를 소정 크기로 분쇄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회전체(32)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분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쇄유닛(30) 및 케이싱(20)의 배출구(22) 사이에 원호단면의 스크린(40)이 배치되고, 이 스크린(40)은 분쇄유닛(30)에 의해 분쇄된 목재 분체 또는 목재 칩을 소정 크기 이하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진 다수의 통공(41)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싱(20)의 투입구(21)로 1차 파쇄된 목재를 투입하고, 구동장치(50)를 구동시키면, 분쇄유닛(30)의 샤프트(31) 및 지지부재(32)가 회전하고, 분쇄팁(34)은 지지부재(32)의 회전방향으로 따라 회전함과 더불어 지지부재(32)의 단부에서 피벗함에 따라 케이싱(20)내의 공간에 수용된 목재를 소정크기로 분쇄한다.
분쇄된 목재는 스크린(40)에 의해 특정크기의 목재 분체 또는 목재 칩들만이 하부로 통과하고, 그외 나머지는 케이싱(20) 내의 공간에 머물려 분쇄칩(34)에 의해 계속 분쇄처리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목재의 분쇄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팁의 교체 및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투입되는 목재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유닛은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이 샤프트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회전체, 각 회전체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분쇄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팁은 지지부재 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분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는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분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 및 케이싱의 배출구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분쇄장치.
KR2020060021338U 2006-08-09 2006-08-09 목재 분쇄장치 KR200429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338U KR200429851Y1 (ko) 2006-08-09 2006-08-09 목재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338U KR200429851Y1 (ko) 2006-08-09 2006-08-09 목재 분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66A Division KR100810737B1 (ko) 2006-08-09 2006-08-09 목재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851Y1 true KR200429851Y1 (ko) 2006-10-27

Family

ID=4177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338U KR200429851Y1 (ko) 2006-08-09 2006-08-09 목재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8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33B1 (ko) * 2008-02-13 2010-06-08 세하주식회사 제지용 원료 제조방법과, 판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판지
CN110369266A (zh) * 2019-06-27 2019-10-25 杨清利 一种木材加工用木屑筛选处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33B1 (ko) * 2008-02-13 2010-06-08 세하주식회사 제지용 원료 제조방법과, 판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판지
CN110369266A (zh) * 2019-06-27 2019-10-25 杨清利 一种木材加工用木屑筛选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69793A (en) Machine for punching and cutting of wood
CN100369660C (zh) 混合粉碎装置、混合熔融方法及浸含粘合剂的纤维素类材料成形方法
JP3621390B2 (ja) 破砕機
EP1872921B1 (en) Chip spiral, method for producing chips and chipping machine
KR100810737B1 (ko) 목재 분쇄장치
KR200429851Y1 (ko) 목재 분쇄장치
KR101812141B1 (ko) 퇴비화를 위한 톱밥 파쇄장치
US11407961B2 (en) Method and plant for separation of wax and fibers from plants
Hoque et al. Review and analysis of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size reduction equipment for fibrous materials
US115978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cellulose based fuel pellets
Brown Forest products, their manufacture and use: embracing the principal commercial features in the production,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the most important forest products other than lumber, in the United States
JP2008173605A (ja) 有機質改質装置
EP1008389B1 (en) Improvements in wood chipping machines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Zyryanov et al. Improving logging process efficiency in the context of rational natural resource management
CN205199647U (zh) 一种碎枝机碎枝机构
Watson et al. Review of chain flail delimbing-debarking
KR100499012B1 (ko) 폐목·나무뿌리 및 건설폐재류 분쇄장치
JP2009137194A (ja) 植物質材料の処理方法と装置
RU2376132C1 (ru) Реторта для размола древесины и сушки древесной муки дл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0124818A (zh) 一种树枝粉碎机
Brännvall Wood handling
US20020008170A1 (en) Shredder
CN212468380U (zh) 一种微片微粒联合机组
CN108554572A (zh) 一种环保的林业工程用木材加工锯末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