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452Y1 -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452Y1
KR200429452Y1 KR2020060015815U KR20060015815U KR200429452Y1 KR 200429452 Y1 KR200429452 Y1 KR 200429452Y1 KR 2020060015815 U KR2020060015815 U KR 2020060015815U KR 20060015815 U KR20060015815 U KR 20060015815U KR 200429452 Y1 KR200429452 Y1 KR 200429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fire
light
emergency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주
Original Assignee
(주)인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아이 filed Critical (주)인텔아이
Priority to KR2020060015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4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다중이용시설(복합건축물, 대형주차장,백화점,영화관 또는 터널 등)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는 어두운 곳이나 빛이 유입되더라도 비상로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공장이나 멀티플렉스건물 등에서 화재, 지진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조난자들이 보다 수월하게 시야를 확보하여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어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개념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Description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Phone-Led Emergency Escape Guide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시스템구조도(構造圖),
[도 2] 는 비상유도유닛의 대피안내수단의 분해도(分解圖),
[도 2-1] 대피안내수단의 종단면도(縱斷面圖),
[도 2-2] 대피안내수단의 횡단면도(橫斷面圖),
[도 3],[도3-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의해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지대로 대피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說明圖)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는 어두운 곳이나 빛이 유입되더라도 재해 시 탈출로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공장이나 멀티플렉스건물 등에 화재 또는 지진,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전화기를 이용, 가장 안전하고 가까운 탈출로 쪽으로 시야를 확보하여 보다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례의 재난으로 인한 참사에서도 보아왔듯이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시설물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시설물 사용자들이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비상구 및 안전지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대형 인사사고가 빈번히 발생했다. 그와 더불어 상시나 비상시 또한 획일화된 방향 표시로 보다 안전한 탈출로를 확보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이나 다중이용시설(복합건축물, 대형주차장, 백화점, 영화관 또는 터널)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는 어두운 곳이나 빛이 유입되더라도 재난시 비상탈출로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는 공장이나 멀티플렉스건물 등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가장 안전한 통로 쪽으로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는 전화기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LED-비상 탈출 유도장치의 시공 및 작동에 대하 여 설명한다.
먼저, [도 2-1] [도 2-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물의 통행로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된 대피안내수단(17)의 하부커버(c)를 고정설치한 후 다층기판(b)을 장착링에 앵커볼트로 조이고, 상부커버(a)를 하부커버의 양쪽 홈에 끼워서 설치한다. 이렇듯 조립과 시공절차를 단순화하여 신축, 기존 시설물 모두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비상유도유닛(15)의 대피안내수단(17)을 통행로 바닥이나 벽면을 따라서 설치하는 동시에 시설물 내에 다수개의 화재감지수단(12) 및 정전감지수단(13)을 각각 설치한다.
예를 들어 시설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를 보자 [도 1참조]. 먼저, 화재감지수단(12)에 의해서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제어기(9)에 출력한다. 제어기는 다시 중앙통제실로 화재검출신호를 송신한다. 이어 중앙방재시스템(1)에서는 유/무선을 통해서 시설물 내의 특정위치에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화재검출신호를 받은 후에, 중앙방재시스템(1)의 MASTER-1(2)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전화기(3)로 송신하며, 전화기(3)는 MASTER-2(4)로 전달하여 MASTER-2(4)가 송·수신유닛(8)을 통해 제어기(9)로 유/무선으로 송신한다. 제어기(9)에서는 비상유도 제어신호를 받아 EEPROM(6)에 기억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상기 RAM(5)에 메모리한다.
이어, 제어기(9)에서 스피이커(10)에 경보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재발생위치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경보함과 동시에, 점멸신호를 출력하여 경광등(14)을 점 멸시켜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경보한다. (또는 중앙 통제실(20)이 화재 또는 재난으로 소실되어 방재 책임자가 직접 통제할 경우나 건물 외부에서 방향 통제를 하고자 할 경우 전화기(3)를 이용해 MASTER-2(4)에 비상유도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 송수신 map은 위와 동일하다.)
동시에 제어기(9)에서 송·수신유닛(8)에 화재발생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비상유도유닛(15)에 송신하면 CONTROLLER(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대피안내수단(17)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에 인가하여 화살표A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발광되게 하여 화재발생위치의 반대방향을 향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한다 [도 3, 3-1참조]. 상시에는 교류전원으로, 재난으로 인한 정전 시에는 축전지 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다음은 본 시스템의 방향전환map을 설명하고 있다 [도 3참조] . 예를 들어 1번출구 쪽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발광하는 방향을 따라 1번출구로부터 2번출구 또는 3번출구로 대피하도록 유도한다. 마찬가지로 6번출구쪽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는 4번출구와 5번출구의 안전지대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도 3-1]과 같이 다른 구역에서 추가로 화재가 발생했을 시 에는 3번 구역 화살표가 2번 출구방향을 지시하고 4번 출구의 화재로 화살표 방향이 5번 출구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지속적인 감시 및 유도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하지않은 안전한 비상구가 있는 방향으로 조난자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평상시에는 제어기(10)에서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어레이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점멸시키는 제어신호를 비상유도 유닛(으로 송신한다.
한편, 화재 및 정전감지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해 동작되었을 경우에는 중앙방재시스템(1)에서 안테나(7)를 통하여 송·수신유닛(8)에 화재 및 정전감지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해 동작하였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안테나(7)를 통해 송·수신유닛(8)에서 제어신호를 받아 복조하여 제어기(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9)에서는 이들 신호를 EEPROM(6)에 기억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데이터를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화재감지수단(12) 또는 정전감지수단(13)의 오동작에 의해 작동하였다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이커(10)에서 음향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경광등(14)의 점등제어신호를 차단하여 경광등(14)을 소등시킨다.
참고로 대피안내수단(17)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어레이의 방향지시색상은 눈에 잘 띄는 녹색이나 빨강은 물론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고, 표시형태 또한 화살표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지시 문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나타낼 수 있다 [도 2참조] .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유도등과 달리 지속적인 감시와 신호체계로 재난의 진행상황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여 지시함으로써 조난자를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방재책임자가 중앙통제실에서 직접 또는 중앙방재시스템의 소실로 중앙통제실이 외부로 옮겨 갔을 경우 외부에서도 화재 상황에 따라 전화기를 통해서 피난 탈출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화재나 정전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전화기로 피난탈출방향표시부의 신호를 변환하여 조난자가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있어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9)와, 제어기(9)의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EEPROM(6; Electically Erasable Programable Read Only Memory)과,
    교류전원부(13)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일정레벨의 직류 또는 교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전파정류수단(18)과, 상기 전파정류수단(18)에서 전파정류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9)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1 배터리(11)와, 비상유도유닛(15)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2배터리, 시설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기(9)에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화재감지수단(12)과, 시설물 내에 정전되었을 경우, 정전을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제어기(9)에 출력하는 정전감지수단(13)과, 대피방향 지시 수단인 비상유도유닛(15)는 제어기(9)로부터 받은 신호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CONTROLLER(16)과, 상기 CONTROLLER(16)에서 출력되는 통제신호를 받아서 방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어레이를 순차적으로 또한 다양한 컬러로 반복적으로 발광시켜서 대피할 통로를 표시하는 대피안내수단(17)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피안내수단(17)은 길이가 길다란 다층기판과 화재발생시 또는 정전시에 다양한 컬러로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화재발생지역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발광하여 대피방향을 표시하도록 배열된 삼각형 또는 화살표, 방향 지시 문자의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어레이와, 다수개의 다층기판을 접속시키도록 연결핀이 배설되며, 상기 다층기판 양측에 고정 설치된 연결블록과,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연결블록의 내측에 각 형성된 장착공 및 장착링에 관통구멍을 통해 결합됨과 동시에, 통행로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커버(c)와, 상기 하부커버(c)의 길이방향 양측 오목홈(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며,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어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판으로 된 상부덮개(a)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통제 시스템의 화재발생신호를 전화기에 송신하는 MASTER-1(2)와 중앙통제실의 신호를 수신 받아 MASTER-2(4)로 송출하는 전화기(3)과 유/무선 전화기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기로 송출하는 MASTER-2(4)와 MASTER-2(4)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유닛(8)과, MASTER-2(4)에서 출력되는 통제신호를 송·수신유닛(8)의 안테나(7) 또는 유선을 통해 받아서 제어기(9)의 제어하에 대피할 방향을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발광시켜서 표시하는 비상유도유닛(30)과, 제어기(9)에서 출력되는 경보신호를 일정시간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이커(10)과, 제어기(9)에서 출력되는 경광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발광하여 표시하는 경광등(14)와, 상기 비상유도유닛(30)의 대피안내수단(17)을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컬러 및 주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AM(5; Random Access Memory) [도 1 참조]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060015815U 2006-06-09 2006-06-09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KR200429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15U KR200429452Y1 (ko) 2006-06-09 2006-06-09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15U KR200429452Y1 (ko) 2006-06-09 2006-06-09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452Y1 true KR200429452Y1 (ko) 2006-10-23

Family

ID=4177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15U KR200429452Y1 (ko) 2006-06-09 2006-06-09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4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US7619538B1 (en) Programmable, directing evacu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CN101925934B (zh) 撤离系统及其逃生线路指示器
US69989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an escape route
US7199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ide in emergency egress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KR100547919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20170079160A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20170079166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40075119A (ko) 화재 감지수단이 탑재된 led 조명 통합 관리시스템
KR200429452Y1 (ko) 전화기를 이용한 led-비상탈출 유도장치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KR101668014B1 (ko) 비상통로 방향 안내장치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2486530B1 (ko) 지능형 대피방향표시판넬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