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10Y1 - 전자계산기 - Google Patents

전자계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10Y1
KR200429110Y1 KR2020060020851U KR20060020851U KR200429110Y1 KR 200429110 Y1 KR200429110 Y1 KR 200429110Y1 KR 2020060020851 U KR2020060020851 U KR 2020060020851U KR 20060020851 U KR20060020851 U KR 20060020851U KR 200429110 Y1 KR200429110 Y1 KR 200429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integer
electronic calcul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길
Original Assignee
김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길 filed Critical 김재길
Priority to KR2020060020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표시부에 정수 단위의 자릿수를 보다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고 연산식을 입력하여 결과가 소수점이 나와도 자릿수가 밀리지 않도록 소수점 표시부를 제공하는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숫자 및 연산식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정수 표시부와 소수점 표시부가 각각 분리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계산기, 키패드, 표시부, 정수 표시부, 단위 표시부, 소수점 표시부

Description

전자계산기{Electric Calculator}
도 1은 본 고안의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계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1 : 전자계산기 2 : 키패드
21 : 숫자키 22 : 연산키
3 : 표시부 31 : 정수 표시부
311 : 단위 표시부 32 : 소수점 표시부
본 고안은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표시부에 나타난 정수 단위의 자릿수를 보다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고 연산식을 입력하여 결과가 소수점이 나와도 자릿수가 밀리지 않도록 소수점 표시부를 제공하는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계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계산기(100)는 숫자 및 연산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는 숫자키(101)와 연산키(102), 상기 숫자키(101)와 연산키(102)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출력하는 표시부(10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자계산기(100)는 세븐 세그먼트(7-Segment)를 이용하여 하나의 숫자를 형성하며, 이러한 세븐 세그먼트(7-Segment)를 다수개 나열하여 천단위, 만단위, 억단위 이상의 숫자를 표시한다. 또한, 숫자가 높아질수록 일의 자리부터 세 자리 단위로 쉼표(,)를 찍어서 자릿수를 짐작한다.
이러한 방식은 슈퍼마켓의 카운터,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계부, 회계 및 금융분야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단순한 수의 가감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계산되는 금액은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억단위까지 표시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의 자리부터 세 자리 단위로 쉼표(,)를 찍어 자릿수를 짐작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쉼표(,)의 크기가 너무 작아 표시부에 표시된 숫자의 정확한 식별이 곤란하고, 단위가 커질수록 그 숫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식별이 더욱 어렵다.
상기의 예를 들면 표시부에 나타난 숫자가 '6,458,625,453'인 경우 좌측부터 우측으로 '일, 십, 백, 천, 만, 십만.....'등과 같이 자릿수를 맞춰본 후 다시 우측에서 좌측으로 '육십사억오천팔백육십이만오천사백오십삼' 으로 읽어야 하며, 한국에서는 4자리숫자를 기본단위로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한 단위가 넘어가면 '만', '억', '조'라는 단위를 추가하여 구별하고있어 '6'과 '4'사이의 쉼표때문에 '육억' 으로 판독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이에 대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42966에는 자릿수를 구별하는 전자계산기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연산자에 따라 입력된 숫자들의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가 정수인 경우 연산 수치 및 이에 따른 자릿수의 정보를 문자로 표시하나, 그 결과가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소수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연산결과에 따라 매번 자릿수가 변경되므로, 자릿수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도 매번 바뀌게 되어 여전히 앞서 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산결과 중 정수를 표시하는 정수 표시부와는 별개로 소수점이하 자릿수를 표시하는 소수점 표시부와 상기 정수 표시부에는 단위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연산결과가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포함하는 경우, 정수 표시부의 정수는 소수점에 의해 밀리지 아니하므로, 용이하게 정수 표시부의 숫자를 판독할 수 있는 전자계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 표시부를 전자계산기의 표면에 코팅처리 함으로써, 기계적 오류없이 정수의 단위를 일관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전자계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계산기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전자계산기는 숫자 및 연산식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연산 결과 중에 정수부분을 표시하는 정수 표시부와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표시하는 소수점 표시부가 각각 분리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전자계산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 표시부는 자릿수를 식별할 수 있는 단위 표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전자계산기에 있어서, 상기 단위 표시부는 상기 정수 표시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정수 표시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자릿수별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표시되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전자계산기에 있어서, 단위 표시부는 상기 전자계산기의 표면에 코팅처리 되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자계산기는(1) 키패드(2)와 상기 키패드(2)에 입력한 연산 결과물을 출력하는 표시부(3)를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2)는 0내지 9의 숫자가 새겨진 숫자키(21)와 가산, 감산, 승산, 제산이 가능한 연산키(22)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키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되, 이는 일반적인 전자계산기에 적용되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세부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3)는 상기 숫자키(21)와 연산키(22)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함에 따라 원하는 계산을 행하여 연산결과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연산결과 중 정수만을 표시하는 정수 표시부(31)와, 연산 결과의 소수점 뒷자리를 표시하는 소수점 표시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 표시부(31)는 상기 키패드(2)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나타난 결과물이 표시될 때 해당 숫자의 자릿수 정보를 알려주는 단위 표시부(311)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 표시부(3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정수 표시부(31)의 단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정수 표시부(3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정수 표시부(31)에 표시되는 각 단위에 부합되도록 '만', '억'등의 형태로 도시된다. 또한, 상기 단위 표시부(311)의 형태는 '만', '억'외에 '십, 백, 천, 만, 십만, 백만....'등 여러 단위도 표시될 수 있고, 국문외에 'Million', 'Billion'과 같이 영문으로 도시되거나, 압축된 약자로 'M', 'B'으로 도시될 수 있고, 국문, 영문외에 다른 나라의 다양한 언어로도 도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계산기(1)의 표면에 코팅처리 되어,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 함으로써 상기 단위 표시부(311)가 마찰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마찰에 의해 단위를 나타내는 라벨부분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단위 표시부(311)가 오랜 시간동안 제거되지 않고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 표시부(311)는 코팅 이 외의 방법, 예컨데 스티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전자계산기의 작용설명은 하기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 표시부(31)에 정수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키패드(2)에 구성된 상기 숫자키(21)와 연산키(22)의 조합으로 연산되어 그 결과물이 상기 표시부(3)에 구성된 상기 정수 표시부(31)에 '9,876,543,210'으로 출력되고, 상기 소수점 표시부(32)에는 '0'으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정수 표시부(31)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표시부(311)에 의해 각 숫자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십팔억칠천육백오십사만삼천이백십'으로 쉽게 읽혀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키패드(2)에 구성된 상기 숫자키(21)와 연산키(22)의 조합으로 연산되어 그 결과물이 소수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3)에 구성된 상기 정수 표시부(31)에 '9,876,543,210'으로 출력되고, 상기 소수점 표시부(32)에 '.0724'로 출력되는 경우, 정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표시부(311)에 의해 각 숫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구십팔억칠천육백오십사만삼천이백십'으로 읽고, 상기 소수는 소수점 표시부(32)에 나타난 대로 '점영칠이사'로 읽을수 있다.
앞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에 따른 전자계산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과 작용설명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자자계산기의 연산결과 중 정수를 표시하는 정수 표시부와는 별개로 소수점이하 자릿수를 표시하는 소수점 표시부와 상기 정수 표시부에는 단위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연산결과가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포함하는 경우, 정수 표시부의 정수는 소수점에 의해 밀리지 아니하므로, 용이하게 정수 표시부의 숫자를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단위 표시부를 전자계산기의 표면에 코팅처리 함으로써, 기계적 오류없이 정수의 단위를 일관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은 단위 표시부에 표시되는 언어를 국문, 영문등 다양한 국가의 언어를 표시함으로써, 내,외국인들의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숫자 및 연산식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연산 결과 중에 정수부분을 표시하는 정수 표시부와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표시하는 소수점 표시부가 각각 분리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표시부는
    자릿수를 식별할 수 있는 단위 표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표시부는
    상기 정수 표시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정수 표시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자릿수별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표시되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표시부는
    상기 전자계산기의 표면에 코팅처리 되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KR2020060020851U 2006-08-03 2006-08-03 전자계산기 KR200429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51U KR200429110Y1 (ko) 2006-08-03 2006-08-03 전자계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51U KR200429110Y1 (ko) 2006-08-03 2006-08-03 전자계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10Y1 true KR200429110Y1 (ko) 2006-10-17

Family

ID=4177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851U KR200429110Y1 (ko) 2006-08-03 2006-08-03 전자계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34A (ko) 2018-06-30 2020-01-08 김영환 음성지원 계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34A (ko) 2018-06-30 2020-01-08 김영환 음성지원 계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07499A3 (en) Relaxed currency constraints
CN104571707A (zh) 用于移动设备的动态边框
JP2010061480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WO2005101177A1 (en)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200429110Y1 (ko) 전자계산기
JP5364740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35665B2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ales data processing method
CA2646155A1 (en)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rst input component and second touch sensitive input component
CN112149402B (zh) 文档对比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S2088288T3 (es) Balanza de comercio que calcula electronicamente el precio.
US20140122549A1 (en) Intermediate Steps Display for a Calculator
JPS5912670Y2 (ja) ショッピング計算機
AU2007201244A1 (en) Mobile handheld data processing appliance
KR200342966Y1 (ko) 전자계산기
JP2004348695A (ja) 小型携帯端末の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方法
TW201606710A (zh) 收銀機及隨機數產生器
Wang et al. Using the calculator
JP2014162101A (ja) ラベル発行装置
KR20140004727U (ko) 문자가 표시된 전자계산기
KR200214789Y1 (ko) 주민등록번호 조회기
JP3175885U (ja) 「坪換算」係数ボタンを設置取組んだ電卓
KR860002005B1 (ko) 구매자용 쿠폰 계산기
JP2011186771A (ja) 演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194246A (zh) 符号和数值的同时呈现
JP3071528U (ja) 電 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