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970Y1 -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 Google Patents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970Y1
KR200428970Y1 KR2020060020590U KR20060020590U KR200428970Y1 KR 200428970 Y1 KR200428970 Y1 KR 200428970Y1 KR 2020060020590 U KR2020060020590 U KR 2020060020590U KR 20060020590 U KR20060020590 U KR 20060020590U KR 200428970 Y1 KR200428970 Y1 KR 200428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extruded
skin layer
protrusion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테이 슈
Original Assignee
밍-테이 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테이 슈 filed Critical 밍-테이 슈
Priority to KR2020060020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9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6Air-filled or inflat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된 탄성 표피층의 압축에 의해 오목부가 돌출되게 구성하여 오목부에 부착된 돌출체가 돌출되게 구성하여 과장된 재미를 유발하는 압출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출완구의 표피층은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를 포함한 상태로 밀봉이 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출완구는 외력이 가해지면 표피층은 내부로 수축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오목부가 외부로 돌출하게 되어, 이 오목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지주부에 연결된 돌출체가 외부로 돌출하고, 표피층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표피층은 원래의 형상을 되찾게 되어 본래의 압출완구의 형상으로 회복된다.
압출완구, 돌출, 돌출체, 탄성 표피층

Description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ELASTIC TOY WITH PROJECTIONAL BODY}
도 1은 종래의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 형태인 탄성 압출완구의 작동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 고안의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돌출체의 돌출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 형태인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의 오목부와 돌출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오목부와 돌출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 형태인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의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1: 모형 장난감 인형
2: 받침대a
3: 탄성 압출완구
4: 받침대
5: 공기 또는 유체
11: 탄성 표피층a
12: 연질고무
13: 구멍
14: 돌출체a
30: 탄성 표피층
31: 오목부
32: 지주부
33: 돌출체
34: 구체
본 고안은 밀폐된 탄성 표피층의 압축에 의해 오목부가 돌출되게 구성하여 오목부에 부착된 돌출체가 돌출되게 구성하여 과장된 재미를 유발하는 압출완구에 관한 것이다.
압출완구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모형 장난감 인형(1)은 탄성 표피층a(11) 및 이 탄성 표피층a(11) 안에 채워 넣은 연성(延性)과 전성(展性)을 갖춘 연질(軟質)고무(12)로 구성된다. 표피층a(11)의 원하는 위치에 최소 1개 이상의 구멍(13)을 형성하여, 압출완구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질고무(12)가 압축되어 이 구멍(13)을 통해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체a(14)를 형성한다. 이 돌출체a(14)는 모형 장난감 인형의 안구나 대소변이 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돌출체의 돌출로 인하여 압출완구의 변형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돌출체a(14)는 본래의 탄성과 수축능력에 의해 자동으로 구멍(13)을 통해 표피층a(11) 속으로 수축되어 들어가고, 표피층a(11)도 자신의 탄성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래 형태로 회복됨으로써 환원효과를 달성하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체가 환원되면서 압출완구는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a(2)은 연필 깎기나 압착식 도장 등과 같이 임의의 유희용 발 광기구나 문구용품 종류로 압출완구의 하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기구(도 1 및 도 2에서 점선 표시)는 압력을 받으면 상단의 발광소자(예를 들면 LED)가 빛을 만들어, 모형 장난감 인형(1)으로 하여금 변형과 동시에 발광 효과를 내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재미있고 신기함을 느끼도록 하였다. 이러한 압출완구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중화민국(中華民國)공고 제497445호 「발광효과 구비 압출완구」를 통하여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압출완구의 사용자가 탄성 표피층을 허용되는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압축했을 때, 내부의 연질고무가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표피층a의 구멍을 통해 돌출의 범위를 넘어선 이탈을 할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이탈한 후의 연질고무는 재질 자체의 한계 탄성을 초과하게 됨에 따라, 압력이 제거된 다음에도 연질고무는 표피층a 내부로 자동으로 수축되어 되돌아 갈 수가 없게 되어, 모형 장난감 인형은 더 이상 탄성을 갖는 압출완구로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는, 압출완구의 주된 사용자는 어린이라는 점을 고려할 경우, 압출완구로부터 돌출한 이탈된 부분의 연질고무는 어린이들이 입이나 호흠기관을 통하여 체내로 흡입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러한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연질고무 자체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아주 어린 아이들은 습관적으로 손에 쥐는 물건을 입에 넣는 습성이 있으므로, 연질고무를 힘껏 빨거나 이로 물어뜯게 되면 잘못 먹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에 문제가 있다.
세 번째로, 전술한 종래의 압출완구는 오직 표피층a의 구멍을 통해서 연질고 무(12)가 돌출하는 것이며, 이 돌출의 효과는 오직 연질고무가 구멍 밖으로 볼록하게 부풀려지는 것뿐이고, 돌출에 의한 과장된 돌출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네 번째로, 연질고무는 반드시 탄성 표피층에 주형을 떠서 모양을 만든 후에 내부에 충전재 형식으로 연질고무를 채워 넣어야 하고, 충전재를 다 넣은 다음에는 해당 구멍을 봉해야하므로, 제조 과정도 비교적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원가도 높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압출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즉 압출완구의 돌출체의 돌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존의 탄성을 갖는 연질고무를 직접 외부로 돌출하는 방식이 아닌 공기 또는 유체를 내장하고 밀폐된 탄성을 갖는 표피층의 일부분인 오목부의 돌출을 통하여 오목부에 부착된 돌출체가 함께 돌출하는 구성으로 기존의 고안과 동일하거나 더 큰 재미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안은 종래의 압출완구에 비하여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이 용이하고, 연질고무가 인체에 직접 접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성된 돌출체의 돌출에 의하여 압출완구로서의 재미가 배가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완구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를 밀폐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표피층(11); 상기 표피층(11)에 존 재하며, 외부 힘에 의해 내부 기압 또는 유압으로 밖으로 돌출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31); 상기 오목부(31)의 외면에 연결된 지주부(32); 및 상기 지주부(32)의 타단에 연결되어 오목부(31)의 돌출과 동시에 돌출되는 돌출체(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31)의 두께가 상기 표피층(11)의 다른 어떤 부위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31)는 반원형태의 오목한 형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부(32)의 일단은 상기 오목부(31)의 중앙에서 오목부(31)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체(33)의 강도는 상기 표피층(11)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체(33)는 에이비에스(ABS)수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피층(11)은 피브이씨(PVC)수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체(33) 내부에 구체(34)가 요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피층(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4)는 필기구, 발광기구, 형광막대, 전기 지시기, 인장 및 연필깎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의 단면도이며 , 도 2는 종래의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단면도이다. 압출완구는 탄성 표피층a(11) 및 이 탄성 표피층a(11) 안에 채워 넣은 연성(延性)과 전성(展性)을 갖춘 연질(軟質)고무(12)로 구성되며, 표피층a(11)의 원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13)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 구멍(13)을 통해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체a(14)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한 압출완구는 가해진 외부의 압력이 제거되면 연성 고무가 복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고안의 돌출체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체와 달리 연질고무의 일부일뿐이며 돌출효과도 크지 않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 형태인 탄성 압출완구의 작동상태의 정면도이다. 탄성을 갖는 표피층(30)은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를 내장하며, 밀봉되어 구성된다. 탄성을 갖는 표피층(30)은 의도적으로 형성된 오목부가 존재한다. 오목부(31)은 돌출을 원하는 부분을 의도적으로 얇게 형성하거나 강도가 약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돌출체를 오목부의 외면에 부착하여 안착시키려는 목적에 있다.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돌출체는 표피층(30)의 오목한 오목부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압출완구(3)의 사용자가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압축되는 부분만큼 오목부에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표피층(30)이나 오목부(31)는 모두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탄성이 요구되는 이유는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다시 복귀되어 야 하므로 탄성 재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 탄성 표피층(30)은 주형을 떠서 PVC나 PVC와 유사한 재질인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형에서 떼어내면 기공이 남게 되는 바, 후속되는 가공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내부가 비어 있고, 밀폐된 형태의 연질고무 재질의 고무공 형상의 표피층(30)이 형성되도록 했다. 오목부(31)는 탄성 표피층(30)을 주형에서 형성할 때 동시에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 고안의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탄성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의 돌출체의 돌출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표피층(30)과 오목부(31)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31)는 표피층(30)과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표피층(30)의 일부분을 오목하게 구성하여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오목부(30)가 먼저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돌출체(33)가 직접 오목부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지주부(32)에 연결되어 부착되는 이유는 돌출효과를 극대화하고 표피층(30)과 돌출체(33)가 서로 돌출 뒤에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그 재미를 극대화 하려는데 있다. 지주부(32) 역시 탄성을 갖는다면, 돌출 순간에 돌출체(33)와 함께 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압출완구로서의 흥미는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돌출체(33) 내부에는 구체(34)가 요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도 압출완구의 돌출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에 도움이 된다. 구체(34)를 요동가능하게 삽입하면 돌출체(33)가 돌출함과 동시에 내부의 구체(34)는 요동이 가능하여 오목부(31)에 연결된 돌출체(33)의 돌출시 의 움직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돌출체(33)가 돌출하는 것 이외에도 돌출체 내에서 구체(34)가 요동한다면 돌출체(33)의 돌출효과 이외에도 동시에 진동하는 효과까지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돌출체(33)는 탄성 표피층(30)과 동일한 재료를 써서 일체형으로 사출할 수 있으나, 돌출체(330가 작동할 때 요동하는 효과도 내기 위해서는 해당 돌출체(33)의 강도는 탄성 표피층(30)의 합성수지 보다 강도가 더 강한 재질, 예를 들면 ABS수지와 같은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수지의 질량이 PVC수지보다 크기 때문에 돌출체(33)는 외부로 돌출하는 과정에서 요동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압출완구(3)는 받침대(4) 위에다 결합할 수 있다. 이 받침대(4)는 즉, 필기구, 발광기구, 형광막대, 전기가 통하는 표시장치, 인장, 연필깎기(도 3에 도시) 등이 된다. 따라서, 탄성 압출완구는 완구로서만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른 실용적인 제품에 부가적으로 부착되거나 장착될 수도 있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 형태인 탄성 압출완구의 돌출 전후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다. 압출완구의 캐릭터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오목부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서, 돌출체는 안구 또는 설(舌,혀) , 귀 또는 대변 등으로 재미있는 연출효과를 볼 수 있는 다양한 신체의 일부 또는 배설물 등이 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돌출체(33)를 구성하면 오목부(31)는 눈, 입, 항문 등의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돌출체와 오목부는 단지 예시이며, 다양한 캐틱터 인형 등의 구성의 일부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완구의 캐릭터는 표피층(30)의 형상을 원하는 캐릭터의 모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특이점은 돌출체(33)가 요동 가능한 구체(34)를 둘러싸고 있다 는 점인데, 해당 구체(34)는 안구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이 둥근 형태의 안구 하나가 액체로 채워진 투명 돌출체(33) 속에 있기 때문에, 안구는 돌출체(33) 속에서 흔들리거나 회전할 수 있어, 완구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 형태인 압출완구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기 전과 후의 측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표피층(30) 내부에는 공기 또는 유체(5)로 채워질 수 있으며 받침대(4)가 결합할 수 있다. 공기가 아닌 유체로 탄성 표피층(30)을 밀봉하는 것은, 탄성 표피층(30) 내부의 공간이 너무 커서, 압력을 받은 후 오목부(31) 속의 돌출체(33)가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작용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압출완구(3)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은 후 내부의 액체나 유동체의 압력이 오목부(31) 및 돌출체(33)를 압박하여 밖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과 도 11에 오목부의 변화모습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오목부(31)는 돌출체(33)을 안착시킨 상태로 유지되며, 외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표피층(30) 중 오목부(31)만이 돌출하게 된다. 즉 표피층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줄어든 공간을 오목부의 돌출에 의하여 상쇄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출완구에 의하면, 종래의 압출완구가 갖는 문제점, 허용 돌출 허용범위를 벗어나서 돌출하는 경우, 돌출체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지 제자리로 복귀하는 장점뿐만 아니라, 돌출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제조상의 비용절감효과까지 크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완구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를 밀폐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표피층(11);
    상기 표피층(11)에 존재하며, 외부 힘에 의해 내부 기압 또는 유압으로 밖으로 돌출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31);
    상기 오목부(31)의 외면에 연결된 지주부(32); 및
    상기 지주부(32)의 타단에 연결되어 오목부(31)의 돌출과 동시에 돌출되는 돌출체(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2. 제1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1)의 두께가 상기 표피층(11)의 다른 어떤 부위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3. 제2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1)는 반원형태의 오목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4. 제3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32)의 일단은 상기 오목부(31)의 중앙에서 오목부(31)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5. 제1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33)의 강도는 상기 표피층(11)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6. 제5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33)는 에이비에스(ABS)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7. 제6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11)은 피브이씨(PVC)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8. 제1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33) 내부에 구체(34)가 요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9. 제1항의 압출완구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필기구, 발광기구, 형광막대, 전기 지시기, 인장 및 연필깎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완구.
KR2020060020590U 2006-07-31 2006-07-31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KR200428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90U KR200428970Y1 (ko) 2006-07-31 2006-07-31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90U KR200428970Y1 (ko) 2006-07-31 2006-07-31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970Y1 true KR200428970Y1 (ko) 2006-10-16

Family

ID=4177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90U KR200428970Y1 (ko) 2006-07-31 2006-07-31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9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473A (en) Toy with slow movement recovery
CH687517A5 (it) Contenitore, ad esempio per prodotti alimentari quali prodotti dolciari, realizzato sotto forma di dispositivo di gioco snodabile.
US7189137B2 (en) Tearing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able eyes
US6109998A (en) Squeezable plaything resembling animal-like or humanoid figure
US6048591A (en) Christmas tree ornament
US3956850A (en) Kissing doll having squeezable arm and sounder located substantially midway between arm and mouth
US20140047738A1 (en) Animated Slipper
KR200428970Y1 (ko) 돌출체를 갖는 탄성 압출완구
US6537131B1 (en) Realistic doll head mounting assembly
US5846116A (en) Squeezable plaything simulating dinosaur figure
KR102005678B1 (ko) 헤드의 분리가 가능한 항균 방향성 봉제인형
US7686670B2 (en) Doll
US20070015434A1 (en) Appendage Puppets
TWM326431U (en) Internal rocking structure applicable in eyes for doll
US20070259597A1 (en) Soft toy or doll
CA3062804C (en) Toy made of plush material and plastic parts
GB2199761A (en) Growing toys, eg dolls
EP1224961A1 (en) Eye assembly for toys
CN205649846U (zh) 一种裙装公仔玩具
JP2006158495A (ja) シリコンゴム製人形用眼球部品
CN217794488U (zh) 一种适用于挂件中主体和部件拼接的接口结构
KR200443106Y1 (ko) 풍선형 장난감
KR200489170Y1 (ko) 완구용 봉제인형
WO2017095244A2 (en) A poseable figure
JP3222811U (ja) 柔らか人形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