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71Y1 - 직물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71Y1
KR200428871Y1 KR20060020609U KR20060020609U KR200428871Y1 KR 200428871 Y1 KR200428871 Y1 KR 200428871Y1 KR 20060020609 U KR20060020609 U KR 20060020609U KR 20060020609 U KR20060020609 U KR 20060020609U KR 200428871 Y1 KR200428871 Y1 KR 200428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cutter
gantry
belt
pulle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20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승
Original Assignee
이윤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승 filed Critical 이윤승
Priority to KR20060020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46Cutting members therefor rotating continuous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지를 자동으로 절단하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테이블(10)과; 상기 절단 대상물의 절단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10) 상단에 형성되는 이송가이드(20)와; 상기 이송가이드(20)를 따라 상기 절단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겐트리(30)와; 상기 이송겐트리(3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가이드(20)와 기계적 결합을 통해 회전하여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회전커터(40); 그리고 상기 이송겐트리(30)를 상기 이송가이드(20)를 따라 이송시키는 겐트리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커터를 회전시키면 절단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커터, 피니언, 랙, 벨트, 풀리

Description

직물지 절단 장치{ Cutting apparatus for textile }
도 1은 종래의 직물지 절단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사시도.
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가이드 및 이송 겐트리를 고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12 : 커팅홈
14 : 지지프레임 20 : 이송가이드
22 : 가이드홈 30 : 이송겐트리
40 : 회전커터 50 : 하부랙
52, 62 : 피니언 60 : 상부랙
64, 86 : 보조기어 70, 80 : 벨트
72 : 풀리 74 : 회전롤러
90 : 브이자형 풀리 92 : 와이어 벨트
본 고안은 직물지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지를 절단하는 회전커터가 겐트리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직물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직물지 절단장치는 빠른시간에 많은 절단을 할 수 있으면서도, 그 절단력이 높아 다양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또한, 절단면이 깔끔해야 하는 것은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다.
따라서, 종래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절단작업은 자동화되어 빠른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물지 절단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직물지 절단장치는 절단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테이블(1)과, 상기 테이블(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1)에는 후술할 커터(7)가 이동하는 커터(7)홈(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은, 가이드레일(5)의 양단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커터(7)를 포함하는 커터뭉치(9)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커터뭉치(9)는 상기 가이드레일(5) 내부에 구비된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부분으로, 하단에는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7)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커터(7)가 일 방향으로 고정되어 절단력이 강하지 못하다. 따라서 절단이 용이한 종이류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비교적 절단이 어려운 필름지나 가죽류는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커터(7)의 절단 방향이 한 방향이므로, 절단방향이 고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절단이 이루어진다. 그 이후 다시 절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커터뭉치(9)가 다시 좌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신속하고 연속적인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커터로 회전 날을 채용하고, 상기 커터를 별도의 모터로 구동시키 는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절단방향이 달라질 때마다 상기 커터의 회전방향을 모터를 제어하여 바꾸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빠르고 연속적인 절단 작업시에는 상기 커터의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원활히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 대상물을 절단함에 있어 커터가 회전하는 직물지의 절단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커터의 회전이 이송 가이드와 기계적인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물지의 절단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절단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테이블과; 상기 절단 대상물의 절단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 상단에 형성되는 이송 가이드와;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절단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 겐트리와; 상기 이송 겐트리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 겐트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 가이드와 기계적 결합을 통해 회전하여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회전 커터; 그리고 상기 이송 겐트리를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겐트리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와 이송가이드는 상기 이송가이드에 구비된 랙과 상기 회전커터에 구비되는 피니언이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가 횡 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의 하단면과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한다.
또한,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 사이에는 상기 회전커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어들로 조합된 조절기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의 상단면과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랙과 피니언 사이에는 상기 회전커터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홀수개의 기어들로 조합된 보조기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이송가이드에는 양 단이 고정된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커터에는 상기 벨트와 마찰 되도록 풀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가 횡 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벨트는 상기 풀리의 하단에 마찰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한다.
한편, 본 고안은 양 단이 고정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에 구비되는 벨트와; 일 면에는 상단이 상기 벨트에 마찰 되도록 구비되는 풀리가 형성되고, 타 면에는 상 기 회전 커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치와 기어결합 하는 연결기어가 형성된 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가 횡 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벨트는 치형벨트이고, 상기 풀리는 치형풀리로 구성되어, 상기 벨트와 풀리는 기어 결합에 의해 연동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회전커터에는 브이자형 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가이드에는 양 단이 고정되고, 상기 브이자형 풀리를 감도록 와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의 횡 방향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 벨트와 브이자형 풀리의 마찰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벨트는 상기 브이자형 풀리를 하단면으로부터 감아 들어가, 하단면으로 감아 나오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의 회전 방향은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 접선 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도, 회전날을 이용하여 절단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장치를 다양한 실시예 별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가이드 및 이송 겐트리를 고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겐트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단하고자 하는 직물지(종이, 필름류 등 연성을 지닌 다양한 재료를 포함한다)가 놓여 지는 테이블(10)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10)에는 후술할 회전커터(40)가 이동하며 상기 직물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커팅홈(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은 지지프레임(1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4)은 상기 테이블(10)을 지지하는 형태이기만 하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장 단순화된 지지프레임(14)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에는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이송가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가이드(20)는 후술할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하면서 상기 직물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가이드(20)에는 상기 이송겐트리(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가이드(20) 내부에는 상기 이송겐트리(30)를 이동시키는 겐 트리 구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겐트리 구동부는 상기 겐트리를 상기 가이드홈(22)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테핑 모터가 이용된다.
상기 이송겐트리(30) 하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커터(4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커터(40)는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겐트리(3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상기 이송겐트리(30)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커터(40)의 회전 방식에 따라 세분화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송겐트리(30)의 내부구성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핀다.
먼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2) 내측 하단에는 기어치가 형성된 하부랙(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겐트리(30) 내부에 회전커터(40)가 상기 이송겐트리(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40)는 상기 하부랙(50)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축부분에 상기 하부랙(50)과 맞물리는 피니언(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40)의 피니언(52)과 하부랙(50) 사이에는 다수개의 기어들로 구성된 조절기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기어부는 구성 기어의 피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켄트리의 구동속도대비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조절기어부를 구성하는 기어의 개수를 짝수개로 하여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방향이 상기 이송겐트리(3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즉, 상기 회전커터(40)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과 반대가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2) 내측의 상단에 상부랙(6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40)는 회전축 상에 피니언(62)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겐트리(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62)과 상기 상부랙(60)은 보조기어(7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보조기어(74)는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방향이 상기 이송겐트리(3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즉, 상기 회전커터(40)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과 반대가 되도록)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보조기어(64)의 크기를 조절하므로 해서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기어(64)는 다양한 크기와 피치를 갖는 다수개의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홀수개의 기어들로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커터는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회전커터가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2) 내부에 벨트(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커터(40)는 이송겐트리(3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커터(40)의 중심축에는 상기 벨트(70)와 마찰되는 풀리(7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벨트(70)는 상기 풀리(72)의 하단부와 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70)와 풀리(72)의 마찰을 위해 상기 풀리(72)의 양측에 회전롤러(74)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72)와 벨트(70)는 마찰력에 의존하여 회전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70)로 기어치가 형성된 치형벨트(70)가 구비되고, 상기 풀리(72)로 상기 치형벨트(70)의 치형에 맞물리는 치형풀리(7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치형풀리(72)와 치형벨트(70)는 마찰력 이외에 기계적 맞물림에 의해 연동된다.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치형풀리(72)와 치형벨트(70) 사이에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조절기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기어부는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속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80)가 풀리(82)의 상단과 마찰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회전롤러(84)는 상기 벨트(80)를 하방으로 눌러주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커터(40)의 풀리(82)와 벨트(80) 사이에 보조기어(86)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기어(86)는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회전커터(40)는 와이어 벨트에 의한 마찰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커터가 와이어벨 트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서는, 회전커터(40)의 회전축에 풀리가 형성된다. 상기 풀리는 마찰면에 브이(V)자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브이자형 풀리(9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홈(22)에는 상기 가이드홈(22)을 따라 양단이 고정된 와이어 벨트(92)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벨트(92)는 상기 브이자형 풀리(90)의 브이자 홈에 감겨진다.
상기 와이어 벨트(92)와 상기 브이자형 풀리(9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이자 홈을 나선형태(도시되지 않음)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브이자형 풀리(90)를 나선형으로 형성시킨 이후에 상기 와이어 벨트(92)를 다중으로 감아 구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직물지 절단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지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테이블(10) 위에 절단 대상물을 위치시킨다. 상기 절단 대상물은 종이류, 필름류, 가죽류 등 연성을 지닌 다양한 물품이 그 대상이 된다.
상기 절단 대상물을 테이블(10) 위에 위치시킨 이후에,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장치를 가동시킨다.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 장치가 구동되면, 이송가이드(20)와 상기 이송가이드(20)에 구비된 이송겐트리(30)가 함께 하강한다.
이후, 회전커터(40)의 하단면이 커팅홈(12)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커터(40) 의 하단면이 커팅홈(12)에 위치하면, 겐트리 구동부는 이송겐트리(30)를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커터(40)는 상기 이송가이드(20)와의 기계적 맞물림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커터(40)가 회전하면서 절단 대상물을 커팅한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40)가 회전하는 원리를 각각의 실시예 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겐트리(30)의 회전축에 형성된 피니언(52)이 하부랙(50)과 맞물려 회전커터(40)를 회전시킨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절기어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조절기어부를 구성하는 기어들이 상기 하부랙(50)과 맞물려 연동하고, 상기 조절기어부의 기어가 상기 회전커터(40)를 회전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랙(60)과 보조기어(64) 그리고 피니언(62)이 연동하여 회전커터(4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피니언(62)이 이송가이드(20) 상부에 구비된 상부랙(60)과 보조기어(64)를 사이에 두고 맞물려 회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와 풀리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커터(40)가 회전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벨트(70)는 상기 풀리(72)의 하단에 마찰되어 회전하는데, 이때 회전롤러(74)는 상기 벨트(70)와 풀리(72)를 밀착시켜 상기 벨트(70)와 풀리(72)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벨트와 치형풀리가 사용된 경우에는 이들 의 기어결합에 의해 회전커터(40)가 회전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80)는 풀리(82)의 상단에 마찰되어 회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치형벨트와 치형풀리가 사용되어 이들의 기어결합에 의해 회전커터(40)가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회전커터(40)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보조기어(86)가 상기 벨트(80)와 풀리(82)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회전커터(40)는 와이어 벨트와 브이자형 풀리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이 고정되고, 브이자형 홈이 형성된 회전커터(40)의 브이자형 풀리(90)에 상기 와이어 벨트(92)가 감겨, 상기 와이어 벨트(92)와 브이자형 풀리(9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회전커터(40)가 회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브이자형 홈은 상기 풀리(90)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어(도시되지 않음) 상기 브이자형 홈과 와이어 벨트(9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커터(40)는 회전하게 된다.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커터(40)의 회전 방식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지만, 그 회전 방향은 상기 회전커터(40)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가이드(20)가 하강하여 절단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이송겐트리(30)가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커터(40)가 회전하면서 절단대상물을 절단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직물지 절단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송겐트리가 절단 대상물 위를 이동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시에 회전커터가 회전한다. 따라서, 커터의 절단력이 증대되어 종이류 뿐만 아니라 필름지, 가죽류 등 연성을 가진 다양한 물체를 절단할 수 있어 적용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커터의 구동방향이 이송겐트리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즉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매끄러운 절단면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회전커터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회전한다. 즉, 상기 회전커터가 이송가이드와의 기계적 맞물림에 의해 회전하므로, 이송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따라 정확하게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고, 따라서 과부하로 인하여 작업이 중단되는 일 없이, 빠르고 연속적인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절단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테이블과;
    상기 절단 대상물의 절단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 상단에 형성되는 이송 가이드와;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절단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 겐트리와;
    상기 이송 겐트리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 겐트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 가이드와 기계적 결합을 통해 회전하여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회전 커터; 그리고
    상기 이송 겐트리를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겐트리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와 이송가이드는,
    상기 이송가이드에 구비된 랙과 상기 회전커터에 구비되는 피니언이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가 횡 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의 하단면과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 사이에는 상기 회전커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어들로 조합된 조절기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의 상단면과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랙과 피니언 사이에는 상기 회전커터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홀수개의 기어들로 조합된 보조기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에는 양 단이 고정된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커터에는 상기 벨트와 마찰 되도록 풀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가 횡 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풀리의 하단에 마찰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터는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양 단이 고정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에 구비되는 벨트와;
    일 면에는 상단이 상기 벨트에 마찰 되도록 구비되는 풀리가 형성되고, 타 면에는 상기 회전 커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치와 기어결합 하는 연결기어가 형성된 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가 횡 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의 접선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치형벨트이고, 상기 풀리는 치형풀리로 구성되어,
    상기 벨트와 풀리는 기어 결합에 의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에는 브이자형 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가이드에는 양 단이 고정되고, 상기 브이자형 풀리를 감도록 와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는 상기 이송 겐트리의 횡 방향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 벨트와 브이자형 풀리의 마찰에 의해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벨트는 상기 브이자형 풀리를 하단면으로부터 감아 들어가, 하단면으로 감아 나오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 커터의 회전 방향은 상기 회전 커터의 하단면 접선 속도의 방향이 상기 겐트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절단장치.
KR20060020609U 2006-07-31 2006-07-31 직물지 절단 장치 KR200428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0609U KR200428871Y1 (ko) 2006-07-31 2006-07-31 직물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0609U KR200428871Y1 (ko) 2006-07-31 2006-07-31 직물지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71Y1 true KR200428871Y1 (ko) 2006-10-16

Family

ID=4049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20609U KR200428871Y1 (ko) 2006-07-31 2006-07-31 직물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3121A1 (en) * 2007-06-26 2008-12-31 Acme United Corporation Rotary trimmer
KR100998110B1 (ko) 2009-01-08 2010-12-02 한창우 영수증 절단용 자동 절단기
KR102180938B1 (ko) * 2020-07-08 2020-11-19 최윤원 직접 공급용 필름 세절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3121A1 (en) * 2007-06-26 2008-12-31 Acme United Corporation Rotary trimmer
US8132490B2 (en) 2007-06-26 2012-03-13 Acme United Corporation Rotary trimmer
KR100998110B1 (ko) 2009-01-08 2010-12-02 한창우 영수증 절단용 자동 절단기
KR102180938B1 (ko) * 2020-07-08 2020-11-19 최윤원 직접 공급용 필름 세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22073A (zh) 一种用于导轨生产线的导轨切割装置
GB2238738A (en) Wire saw
US20120031737A1 (en) Device for conveying objects in packaging machines
EP2599566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il spring
KR200428871Y1 (ko) 직물지 절단 장치
JP5559137B2 (ja) 合成材料のフィルムを横方向に延伸させるシステム用の駆動装置
KR100609075B1 (ko) 금속 로드 사면 가공장치
ITMI20100498A1 (it) Macchina inchiodatrice per l¿assemblaggio di pallet in legno o simili, con traini per gruppi di tasselli a distanza variabile.
KR20120025868A (ko) 판금가공기계의 백 게이지 장치
CN114407124A (zh) 一种尼龙扎带的切分运输一体化设备
CN107672069A (zh) 一种可实现柱状曲面加工的多线切割机
JP6178124B2 (ja) 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
JP2008100297A (ja) 紙葉束断裁方法及び紙葉類断裁装置
CN211333338U (zh) 一种可调节的魔术贴裁切机
CN112549126A (zh) 一种工业皮带分切机
JP2000326283A (ja) 裁断ベルトの製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1186504A (en) Fabric-trimming machine.
JP2007111823A (ja) ワイヤ式切断装置
KR101421193B1 (ko) 롤 테이프 자동 커터기
US870767A (en) Spooling-machine.
JPH04228956A (ja) スピンドル同時回転装置
KR200317988Y1 (ko) 만두 자동 이송장치
KR100977990B1 (ko) 삼차원 절단장치
KR200229047Y1 (ko) 절단기
JP3167717B2 (ja) 多刃鋸盤における丸鋸移動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