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30Y1 - 도어용 옷걸이 - Google Patents

도어용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30Y1
KR200428730Y1 KR2020060018798U KR20060018798U KR200428730Y1 KR 200428730 Y1 KR200428730 Y1 KR 200428730Y1 KR 2020060018798 U KR2020060018798 U KR 2020060018798U KR 20060018798 U KR20060018798 U KR 20060018798U KR 200428730 Y1 KR200428730 Y1 KR 200428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ger
hook
curved portion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2020060018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47G25/0614Clothes hooks for mounting to a door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47G25/065Clothes hooks preventing knocking against, e.g. comprising a collapsible or retractable hook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8Portable pocket clothes-holders attachable to trees, walls, 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실내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의 배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용 옷걸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옷걸이는 수직한 지지부의 일측에 도어의 상단과 부합하도록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지지부의 타측에는 다수의 옷을 걸 수 있도록 지지부에 대하여 수평한 걸이부가 형성된다. 걸이부의 끝단에는 완충을 제공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는 만곡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용 옷걸이는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걸림편이 도어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설치하고 도어의 배면에 위치된 걸이부에 다수의 옷을 걸어 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도어의 과도한 개방시 벽면과의 충돌을 완충하여 도어와 벽면의 손상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어, 옷걸이

Description

도어용 옷걸이{HANGER FOR DO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용 옷걸이의 측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옷걸이 20 : 지지부
22 : 걸림편 30 : 걸이부
32 : 이동방지돌기 34 : 만곡부
34 : 결합공 40 : 보강부
50 : 완충부재 52 : 결합돌기
54 : 걸림턱 56 : 접착제
본 고안은 도어용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식당 및 사무실 등의 실내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의 배면 상단에 옷걸이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다수의 옷을 걸어 놓을 수 있고, 도어의 과도한 개방시 벽면과의 충돌을 완충하여 도어와 벽면의 손상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옷을 걸어두기 위한 보조도구로서, 옷걸이를 이용하여 옷을 걸어두기 위해서는 장롱형 옷장이 사용된다. 또한, 실내의 벽면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일정간격으로 걸이구가 구비된 옷걸이가 사용되거나, 실내의 구석진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워 다수의 옷을 여러 방향에서 걸어 둘 수 있는 기둥형 옷걸이가 사용된다. 이러한 옷걸이는 옷을 보관하거나 외출시 편리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옷걸이는 실내의 벽면이나 모퉁이에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적지 않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공간차지에 따라 보는 이로 하여금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옷걸이의 경우, 이사 또는 옷걸이를 벽면으로부터 옮겨 설치하고자 할 때는 옷걸이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를 벽면에서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옷걸이가 설치되었던 위치는 주변의 퇴색된 벽면과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임은 물론 고정나사에 의해 구멍이 발생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내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는 외력에 의한 과도한 개방시 벽면과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와 벽면이 손상됨은 물론 충돌에 따른 강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가정, 식당 및 사무실 등의 실내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에 다수의 옷을 편리하게 걸어 놓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과도한 개방시 벽면과의 충돌을 완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수직한 지지부의 일측에는 여닫이 도어의 배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는 다수의 옷을 걸 수 있는 걸이부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의 중간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걸이부에 걸쳐지는 보조옷걸이는 상기 이동방지돌기에 간섭되어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도어의 과도한 개방시 상기 만곡부에 의해 벽면의 손상이 방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만곡부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걸이부 사이에는 상기 걸이부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에는 상기 벽면과의 충돌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만곡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만곡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상기 완충부재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내로 끼워져서 걸림되도록 돌출된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만곡부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용 옷걸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10)는, 여닫이 도어(D)의 배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측에 절곡되는 걸림편(22)이 형성되는 지지부(20), 및 지지부(20)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수 의 옷을 걸 수 있는 걸이부(30)를 구비한다.
지지부(20)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D)의 배면과 접하도록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다. 지지부(20)의 일측에는 도어(D)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절곡되는 걸림편(22)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편(22)은 도어(D)의 상단과 부합하도록 절곡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지지부(20)와 걸림편(22)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지지부(20)와 걸림편(22)의 두께는 1.5㎜로 형성된다.
즉, 도어(D)가 닫힌 경우 도어(D)의 상단과 도어틀(도면에 미도시) 사이의 간격이 통상적으로 대략 2㎜로 형성되므로 도어(D)를 개폐하는 데 있어, 걸림편(22)에 의한 간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걸이부(30)는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부(20)의 타측에 일정한 길이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걸이부(30)의 중간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방지돌기(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방지돌기(32)는 걸이부(30)에 걸린 보조옷걸이(60)의 좌,우 이동을 간섭하기 위한 것이다.
걸이부(30)의 끝단에는 도어(D)의 과도한 개방시 충돌에 의한 벽면(W)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만곡부(34)가 형성된다. 이러한 만곡부(34)는 벽면(W)과의 충돌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진다.
지지부(20)와 걸이부(30) 사이에는 지지부(20)와 걸이부(30)의 대응되는 면에 양단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수직한 지지부(20)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걸이부(30)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40)가 형성된다. 이러 한 보강부(40)는 옷이 걸려진 다수의 보조옷걸이(60)가 걸이부(30)에 걸리는 경우, 수평상태의 걸이부(30)가 옷의 무게에 의해 하방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따른 옷걸이(10)를 도어(D)의 배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려는 경우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걸림편(22)이 도어(D)의 배면 상단에 걸리도록 옷걸이(10)를 설치한다. 그러면, 지지부(20)는 도어(D)의 배면에 밀착되어 지지부(20)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걸이부(3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20) 및 걸림편(22)의 두께는 대략 1.5㎜로 형성되고, 도어(D)의 상단과 도어틀 사이의 간격은 통상적으로 대략 2㎜로 형성되므로 도어(D)의 개폐시 걸림편(22)에 의한 간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수의 옷이 걸린 보조옷걸이(60)를 이동방지돌기(32)가 형성된 걸이부(30)의 중간부에 걸어 사용하게 되며, 걸이부(30)에 걸린 보조옷걸이(60)는 이동방지돌기(32)에 간섭되어 좌,우로 이동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조옷걸이(60)가 이동방지돌기(32)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걸이부(30)에 걸리게 되므로 옷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옷걸이(10)의 지지부(20)와 걸이부(30) 사이에는 걸이부(30)의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40)를 형성함으로써, 걸이부(30)에 걸린 옷의 무게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는 걸이부(30)가 하방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도어용 옷걸이(10)는 도어(D)의 배면 상단에 옷을 걸어둘 수 있게 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옷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도어(D)의 상단에 걸어두거나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 의해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해서 다른 도어에 설치할 수 있는 이동의 용이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D)가 과도한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도어틀과 힌지로 연결된 도어(D)는 급속 회전되어 과도하게 개방되는데, 이때 걸이부(30)의 끝단에 형성되는 만곡부(34)가 벽면(W)과 충돌함으로써, 벽면(W)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만곡부(34)는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도어(D)의 과도한 개방시 만곡부(34)의 만곡진 면과 벽면(W)이 충돌하게 된다.
또한, 만곡부(34)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므로 벽면(W)과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여 도어(D)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옷걸이(10)의 걸이부(30) 끝단에 형성되는 만곡부(34)에는 도어(D)의 과도한 개방에 의한 벽면(W)과의 충돌시 완충을 제공하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완충부재(50)가 구비된다.
이때, 완충부재(50)는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서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만곡부(34)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36), 및 결합공(36)과 대응되는 완충부재(50)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결합공(36) 내로 끼워져서 걸림되도록 돌출된 중간부에 걸림턱(54)이 형성되는 결합돌기(5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10)는 만곡부(34)의 결합공(36) 내로 완충부재(50)의 결합돌기(52)를 끼움하여 걸림턱(54)에 의해 걸림되도록 만곡부(34)와 완충부재(50)를 결합한 것으로, 도어(D)의 과도한 개방에 의해 벽면(W)과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부재(50)로 흡수하여 완충함으로써, 도어(D) 및 벽면(W)의 손상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결합공(36)과 결합돌기(52)를 통해 만곡부(34)와 완충부재(5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에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옷걸이(10)의 걸이부(30) 끝단에 형성되는 만곡부(34)에는 도어(D)의 과도한 개방에 의한 벽면(W)과의 충돌시 완충을 제공하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완충부재(50)가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의 결합수단은 만곡부(34)와 완충부재(50)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5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옷걸이(10)는 만곡부(34)와 완충부재(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접착제(56)를 도포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만곡부(34)와 완충부재(50)를 더욱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옷걸이는 실내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의 배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다수의 옷을 걸어 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옷을 걸어 보관하는 데 있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도어에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과도한 개방시 벽면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도어와 벽면의 손상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 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수직한 지지부의 일측에는 여닫이 도어의 배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는 다수의 옷을 걸 수 있는 걸이부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중간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걸이부에 걸쳐지는 보조옷걸이는 상기 이동방지돌기에 간섭되어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도어의 과도한 개방시 상기 만곡부에 의해 벽면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걸이부 사이에는 상기 걸이부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는 상기 벽면과의 충돌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만곡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만곡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상기 완충부재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내로 끼워져서 걸림되도록 돌출된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만곡부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옷걸이.
KR2020060018798U 2006-07-11 2006-07-11 도어용 옷걸이 KR200428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98U KR200428730Y1 (ko) 2006-07-11 2006-07-11 도어용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98U KR200428730Y1 (ko) 2006-07-11 2006-07-11 도어용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30Y1 true KR200428730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798U KR200428730Y1 (ko) 2006-07-11 2006-07-11 도어용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05B1 (ko) 2015-04-09 2015-09-08 존 중원 김 도어용 옷걸이
KR20200000492U (ko) 2018-08-24 2020-03-04 이광희 도어용 옷걸이
KR20220002637U (ko) 2021-04-27 2022-11-03 (주)엘엑스하우시스 패널 매립형 행거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05B1 (ko) 2015-04-09 2015-09-08 존 중원 김 도어용 옷걸이
KR20200000492U (ko) 2018-08-24 2020-03-04 이광희 도어용 옷걸이
KR20220002637U (ko) 2021-04-27 2022-11-03 (주)엘엑스하우시스 패널 매립형 행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129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KR200428730Y1 (ko) 도어용 옷걸이
KR102203361B1 (ko) 가구용 옷걸이봉
KR200419186Y1 (ko) 붙박이장용 가이드레일 및 롤러의 구조
KR200460854Y1 (ko) 주방가구의 도어 고정구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ITBO20000505A0 (it) Cerniera controbilanciata con spostamento verticale e frontale di un portello particolarmente per lavastoviglie .
US20060186306A1 (en) Mounting device with support plate
KR101431393B1 (ko) 미닫이식 도어장치의 제동시스템
KR101919225B1 (ko)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JP6270806B2 (ja) 戸袋構造
KR200476654Y1 (ko) 욕실용 거울
JP4931524B2 (ja) キャビネット付きカウンター
KR200419187Y1 (ko) 붙박이장의 도어 구조
JP5691888B2 (ja) タオル掛け具
KR200376869Y1 (ko) 파티션용 물품수납 구조물
CN213487670U (zh) 一种便于内部空间调节的消毒保洁柜
KR102561426B1 (ko) 욕실 상부장
TWI476319B (zh) 鉸鍊的緩衝裝置
CN219460984U (zh) 浴室柜
KR100851299B1 (ko) 천정용 수납함
CN210611494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嵌入式衣柜的柜门
KR200339906Y1 (ko) 화장실문 개폐용 다기능스토퍼장치
KR101822533B1 (ko) 미닫이문용 홀딩댐퍼장치
JP2023141106A (ja) 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