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22Y1 -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 Google Patents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22Y1
KR200428022Y1 KR2020060018764U KR20060018764U KR200428022Y1 KR 200428022 Y1 KR200428022 Y1 KR 200428022Y1 KR 2020060018764 U KR2020060018764 U KR 2020060018764U KR 20060018764 U KR20060018764 U KR 20060018764U KR 200428022 Y1 KR200428022 Y1 KR 200428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tension
concrete girder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인용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2020060018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를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긴장재가 거더의 상단부에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긴장재의 재긴장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재긴장용 긴장재(3)가 배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로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의 상면에는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0)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중앙 방향으로는 수직면(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면(11)에는 긴장재(3)의 단부를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장치(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가 제공된다.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PSC, 재긴장, 연속

Description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Top-anchoring and Continuous Structure of the Girder}
도 1a는 특허출원 제2000-41123호의 첨부도면 1로서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b는 특허출원 제2000-41123호의 첨부도면 5a로서,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에서 측면에 형성된 정착구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일실시예로서 복수개의 경간에 대해 연속구조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중에서 외측 경간에 해당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화살표A 방향에서 바라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단부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선 B-B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2경간 연속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3경간 연속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3 긴장재
10 오목부
본 고안은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 이하 "PSC거더"라고 약칭함)를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긴장재가 거더의 상단부에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긴장재의 재긴장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 노출된 교량용 강선 시스템"이라는 고안의 명칭을 가진 특허출원 제2000-41123호에는 연속교를 이루는 전체 거더에 배치된 강선을 거더의 측면에서 고 정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상기한 특허출원 제2000-41123호의 첨부도면 1과 첨부도면 5a인데, 종래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연속하게 배치된 전체 거더(1)에 걸쳐 긴장재(3)를 연속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3)를 재긴장하여 정착함에 있어서 긴장재의 정착구를 거더(1)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웨지(22)와 웨지콘(23)을 이용하여 긴장재(3)를 재긴장할 수 있도록 상기 거더(1) 측면의 정착구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거더(1) 측면의 정착구에 긴장재를 정착하는 구성에서는, 바닥판 하면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긴장재(3)를 재긴장해야 하므로 재긴장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긴장장비를 이동시키는 것도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더(1)의 측면에서 긴장재를 긴장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별도의 긴장작업용 작업대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별도의 작업대 설치로 인한 시공상의 번거로움 발생, 시공기간 증가 및 시공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긴장재의 긴장 작업을 안전하고 여유 있는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하고, 긴장재의 긴장장비 등의 이동이 더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별도의 긴장작업용 작업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긴장재 긴장작업에서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며, 긴장재 긴장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거더 및 교량 시공이 가능하게 새로운 구조의 PSC거더 및 그 연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재긴장용 긴장재가 배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로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중앙 방향으로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면에는 긴장재의 단부를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의 경간에 대해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가 연속되어 있는 연속 구조로서, 상기 양측 외측 경간에 배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외측 단부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중앙 방향으로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속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전체에 연속되게 배치된 긴장재가 상기 수직면에서 긴장재 정착장치에 의하여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연속구조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거더 및 그 연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내측 단부 상면에는 상기 재긴장용 긴장재가 관통 배치되는 돌출부가 상기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지점부에서 긴장재는 상기 돌 출부 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거더(1)의 구성과 효과, 그리고 그 연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는 본 고안에 따른 PSC거더(1)의 일실시예로서 복수개의 경간에 대해 연속구조를 가지는 PSC거더(1) 중에서 외측 경간에 해당하는 PSC거더(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 PSC거더(1)는 길이방향으로 중간이 생략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는 도 2a에 도시된 PSC거더(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2b의 선 A-A 방향에서 바라본 PSC거더(1)의 단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2b의 선 B-B에 따른 PSC거더(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PSC거더(1)는 그 외측 단부의 상면에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0)에 긴장재가 정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PSC거더(1)의 외측 단부의 상면에는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0)에서 상기 PSC거더(1)의 중앙 방향으로는 수직면(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면(11)에는 긴장재의 단부가 정착되는 긴장재 정착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PSC거더(1)에 연속 배치된 긴장재의 단부는 상기 오목부(10)에서 상기 정착장치(12)에 의하여 상기 수직면(11)에 재긴장이 가능한 상태로 정착된다. 상기 긴장재 정착장치(12)는 긴장재를 재긴장할 수 있으며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재긴장 가능 정착장치로서, 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재긴장이 필요가 없는 긴장재의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PSC거더(1)의 외 측 단부 측면에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정착된다.
도 4a에는 위와 같은 PSC거더(1)의 2경간 연속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3경간 연속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재긴장을 위한 긴장재(3)만을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기타 PSC거더(1)의 외측 단부 측면에 정착되는 긴장재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재긴장을 위한 긴장재(3)는 연속된 PSC거더(1)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는데, 중앙의 지점부에서는 PSC거더(1)의 상부를 지나게 되고 각 경간의 중앙부에서는 PSC거더(1)의 하부를 지나서 위에서 설명한 양측 PSC거더(1)의 외측 단부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10)에서 긴장재 정착장치(12)에 의하여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정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재긴장을 위한 긴장재(3)가 PSC거더(1)의 상부에서 정착되므로, 작업자는 PSC거더(1)의 상부에 올라가서 긴장재의 긴장 및 재긴장 작업을 안전하고 여유 있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자는 PSC거더(1) 위에서 올라가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긴장작업용 작업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따라서 작업대 설치에 따른 추가 작업의 수행, 추가 비용 발생 및 공기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PSC거더(1) 상부를 따라 긴장재의 긴장장비 등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비의 이동작업을 더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긴장재(3)를 연속배치함에 있어서, 중앙 지점부에서는 긴장재(3)가 가능한 PSC거더(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PSC거더(1)의 내측 단부 상면에 돌출부(20)를 형성하여, 상기 긴장재(3)가 상기 돌출부(2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긴장재(3)에 의한 긴장력이 작용하는 편심거리가 커지게 되어 중앙 지점부에서의 부모멘트에 대한 보강효과가 더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는 복수개의 경간이 연속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PSC거더(1)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단경간 PSC거더(1)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오목부(10)는 PSC거더(1)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기타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서는 PSC거더(1)의 단부 상면에 오목부(10)를 형성하고 재긴장용 긴장재(3)를 상기 오목부(10) 내에서 재긴장 가능하게 정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긴장재의 긴장 작업을 안전하고 여유 있는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긴장재의 긴장장비 등의 이동이 더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긴장작업용 작업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긴장재 긴장작업에서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긴장재 긴장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어 경제적인 거더 및 교량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PSC거더(1)의 내측 단부 상면에 돌출부(20)를 형성하여, 상기 긴장재(3)가 상기 돌출부(2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긴장재(3)에 의한 긴장력이 작용하는 편심거리가 커지게 되어 중앙 지점부에서의 부모멘트에 대한 보강효과가 더 증가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재긴장용 긴장재(3)가 배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로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의 상면에는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0)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중앙 방향으로는 수직면(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면(11)에는 긴장재(3)의 단부를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장치(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내측 단부 상면에는 상기 재긴장용 긴장재(3)가 관통 배치되는 돌출부(20)가 상기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3. 복수개의 경간에 대해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가 연속되어 있는 연속 구조로서,
    상기 양측 외측 경간에 배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외측 단부의 상면에는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0)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중앙 방향으로는 수직면(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속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 전체에 연속되게 배치된 긴장재(3)가 상기 수직면(11)에서 긴장재 정착장치(12)에 의하여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연속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지점부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의 상면에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점부에서 긴장재(3)는 상기 돌출부(20) 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연속구조.
KR2020060018764U 2006-07-11 2006-07-11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KR200428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64U KR200428022Y1 (ko) 2006-07-11 2006-07-11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64U KR200428022Y1 (ko) 2006-07-11 2006-07-11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22Y1 true KR200428022Y1 (ko) 2006-10-04

Family

ID=4177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764U KR200428022Y1 (ko) 2006-07-11 2006-07-11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26B1 (ko) 2008-06-11 2009-03-16 노윤근 교량 유지관리용 정착부 시공방법
KR101088791B1 (ko) 2011-02-21 2011-12-01 이호형 개량형 포스트텐션 pc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단계적 텐션 완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26B1 (ko) 2008-06-11 2009-03-16 노윤근 교량 유지관리용 정착부 시공방법
KR101088791B1 (ko) 2011-02-21 2011-12-01 이호형 개량형 포스트텐션 pc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단계적 텐션 완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959B1 (ko)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US20130205518A1 (en) Upper Structure for Bridge
RU2213187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илой натяжения
KR20150025031A (ko)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200428022Y1 (ko) 긴장재의 거더 상부정착 구조를 통하여 재긴장이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연속 구조
RU2001115699A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илой натяжения
KR20090046323A (ko)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연결구조와 연결공법 및 슬래브일체형 거더의 수평 이동공법
KR102139132B1 (ko)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6359136B2 (ja) 移動制限装置
KR100505999B1 (ko) 아이 빔을 이용한 교량 상판 거치공법
KR2002681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외부강선 정착장치
JP7206060B2 (ja) 合成パネル構造
KR101989007B1 (ko) 비부착 듀얼 텐던을 이용한 단부 절취형 거더
KR2012005312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101109449B1 (ko)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제작용 인장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의 설치방법
RU98118493A (ru) Стенд форм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0394381Y1 (ko) 상단돌출형 플랜지를 갖는 피시 거더 구조
JP2005324871A (ja) エレベータの揚重梁固定装置
KR100819451B1 (ko) 정착장치가 구비된 계단식 단부 프리스트레스 합성형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970043607A (ko) 교량 및 육교의 강재 상자형 거더의 시공방법과 그 거더의 구조(Method of costructing the steel box girder in the bridge)
KR20040033238A (ko) 탄소판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
KR101167152B1 (ko) 장경간 교량용 거더
KR100542046B1 (ko) 외부 강선의 연속긴장을 통한 콘크리트 빔의 보강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연결지지장치
KR100703133B1 (ko) 상단돌출형 플랜지를 갖는 피시 거더 구조
KR101213402B1 (ko) 피씨빔 교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