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681Y1 - 건장처리기 - Google Patents

건장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681Y1
KR200427681Y1 KR2020060009441U KR20060009441U KR200427681Y1 KR 200427681 Y1 KR200427681 Y1 KR 200427681Y1 KR 2020060009441 U KR2020060009441 U KR 2020060009441U KR 20060009441 U KR20060009441 U KR 20060009441U KR 200427681 Y1 KR200427681 Y1 KR 200427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treatment
health
ashes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용호
Original Assignee
나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용호 filed Critical 나용호
Priority to KR2020060009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屍身)의 장의처리방법(葬儀處理方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風力)과 열(熱)을 이용하여 시신의 수분을 완전 증발(蒸發)배출 시키는 건장처리방법(乾葬處理方法)과 차량에 의한 이동중 건장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시신안장실(屍身安葬室 )과 흡기관(吸氣管), 배기관(排氣管)의 3 주요부분 으로 구성된 구조체로 하였다.
시신안장실의 시신대 위에 시신을 안장하고 정화포를 덮고,흡기관에 내장된 전열코일(coil)을 자동온도조정기로 내부온도를 섭씨60도 내외의 일정온도로 조정작동 시켜, 70%에 이르는 시신의 수분을 완전증발 시킨다.
증발된 수증기는 흡기관에 내장된 프러펠러(propeller)의 풍력에 의해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프러펠러의 풍력은 3단계로 풍력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증발수증기의 배출량을 조절한다.
건장처리과정은 유족의 요청에 따라 달리 처리 되며,즉 유골매장을 원하는 경우는 피(皮),육(肉),내장붕위(內臟部位)만 완전건조 분말 처리되면 나머지 유골은90% 정도의 건조유골을 성형(成形) 그대로 소형 목관(木棺)에 안장제공 되며,납골당 이나 사원 등에 안치를 원하는 경우도 피,육,내장부위 만 완전건조분말로 처리하고 뼈부분은 그대로 두되,유골함에 넣을수 있도록 적의(適宜) 절단안장하여 제공 하는 경우와, 전 시신을 화장시와 마찬가지로 완전건조분말로 유분함(遺粉函)에 안장제공을 원하는 경우등 3가지 형태로 분류 제공된다.
건장처리기는 차량에 적재 장치 되어 운행 이동중 건장처리 되므로,화장장처럼 고정시설이 불필요 하며,그러므로 지역주민의 반발을 염려할 필요도 없다.

Description

건장처리기{Dry funeral machine}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건장처리기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건장처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횡 단면도
도 3 :
(가) : 유분함의 단면도
(나) : 유골함의 단면도
(다) : 매장용 소형 유골관의 단면도
도 4 는 이동중처리를 위해 차량에 적재장치된 본 고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신 안장실 2 : 흡기관
3 : 배기관 4 : 개폐문
5 : 온열자동조정기 6 : 습도계
7 : 배기조정기 8,8′ : 유분수집함
9 : 배기관 지붕 10 : 하부망판
11 : 다리 12 : 개폐문 손잡이
13 : 개폐문 받침끈 14 : 시신
15 : 시신대 16 : 프로펠러
17 : 전열코일 18 : 레일
19 : 경사판 20 : 정화포
21 : 롤러 22 : 낙분유도장치
23 : 유분함 24 : 유골함
25 : 유골관 26 : 시신분말
27 : 절단유골 28 : 원형유골
29 : 적재함 30 : 운전실
31 : 보닛
본 고안은 시신의 장의처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과 열을 이용하여 시신의 수분을 증발, 배출시켜 분말화 하는 건장처리방법과 이를 차량으로 이동중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신 장의처리는 고래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적으로 전래되어온 매장방식에 따랐다.
그러나 불교국가의 신자들은 화장을 하여 유골함을 사원에 안치하고 있으며,일본 이나 한국 같은 협소국토에 다인구국은 최근 매장으로 인한 산야 및 농토의잠식으로 매장 보다 화장을 장려 하고 있고, 상당한 호응을 얻고있다.
최근 한국은 화장인구가 급증하여 매장과 화장의 비율이 동율에 이르고 있어 기존 화장시설의 협소로 줄을 서야하는 기현상을 볼수있다.
그로 인하여 5일장,10일장,15일장으로 연장하며 화장순위를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부는 지역주민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쳐 더 이상 화장장의 증설과 신설을 못하고 있어 사회문제가 되고있으며, 이에대한 신속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화장은 아직 사람들의 혐오와 공포감으로 더 이상의 권장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을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화장시 발생되는 매연공해로 인하여 이에대한 보다 더 나운 해결책이 요망 되고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신안장실에 시신을 입신(入身)하고,전열코일과 프로펠러에 의한 풍열을 일으켜, 70%에 이르는 시신의 수분을 완전 증발 배출시켜 분말화 시킨다.
증발배출시 혹시나 시신에 따라 냄새와 오염이 염려되어 시신 위에는 정화포를 덮어 증발수증기가 이를 통과 살균,냄새제거,정화처리 되도록 하였다.
전열코일은 온열자동조정기에 의해 일정온도를 유지 하도록 조정되며, 프로펠러는 배기조정기에 의해 3단계로, 즉 “약” “중” “강”으로 풍력이 조정되어 증발수증기의 배출속도를 조절한다.
시신건장은 유족의 요구에 따라 유분함,유골함,유골관의 3가지 분류로 처리 되며, 즉 유분함은 화장시와 같이 완전분말화로 제공되며, 유골함은 시신의 육,피,내장부위는 분말로 기타 뼈는 완전건조전 성형을 유지시킨채 유골함에 맞추어 큰 유골만 적의(適宜) 절단하여 유골함에 안장 제공되며,유골관은 종래의 목관 보다 1/5의 부피에 1/3중량의 소형화로 운구의 편리 및 매장면적을 극소화 하였을 뿐만아니라 화장에 대한 혐오,공포로 인한 혐오의식을 완전히 없애고, 또한 매연,냄새,오염등 환경오염의 일소로 인하여 건장처리를 선호케 하였다.
또한 화장장처럼 일정한 고정시설이 필요하다면 아무리 청결 무공해라 해도,시신처리에 대한 혐오감으로 지역주민의 거센 반발이 예상 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차량에 본 고안을 적재장치하여 한가한 시골도로를 운행 이동하면서 이동중 건장처리토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시신안장실(1)을 중심으로 좌우에 배기관(3)과 흡기관(2)이 부착 구성된 건장처리기의 정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횡 단면도이고, 도3은 건장처리된, (가) 유분함(23)과, (나) 유골함(24), (다) 유골관(25)의 내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이 추럭에 적재장착된 평면도이다.
시신안장실(1)은 도1에서와 같이 정면에 개폐문이 부착되어 있고, 이를 열면 도2에서와 같이 시신안장실(1) 내부에 시신(14)을 안장하기 위한 시신대(15)가 내장되어 있으며,이는 하부망판 위 2개의 레일(18) 위에 놓여 시신대(15)의 입출을 원활케한 다.
이 레일(18)은 개폐문(4) 내면에 부착된 레일(18)과 수평으로 이어져 시신대(15)가 개폐문(4) 위까지 레일(18) 위를 미끄러져 출입할수있다.
시신(14)을 시신대(15) 위에 올려놓고 시신안장실(1) 안으로 밀어넣어지면,시신(14) 위에는 도2와 같이 정화포(20)가 덮히며, 정화포(20)는 참숯,향나무분말,소금이 혼합된 것으로 살균,냄새제거,공기정화 역할을 담당한다.
개폐문 받침끈(13)은 개폐문(4)이 열리면 수평을 유지 시켜 시신안장실(1)의 레일(18)과 개폐문내면의 레일(18)을 수평으로 이어준다.
개폐문(4)을 닫고 흡기관(2) 내부에 도2와 같이 내장된 전열코일(17)을 온열자동조정기(5)로 작동 점화시켜 시신안장실(1) 내부온도를 섭씨60도로 정치시키고, 흡기관(2) 내부의 도2와 같이 내장된 프로펠러(16)를 배기조정기(7)로 작동시켜 내부의 증발수증기를 배기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 시킨다.
배기조정은 “약” “중” “강”의 3단계로 조정할수 있으며 처음에는 증발수증기의 양이 적으므로 “약”으로 조정하고, 점점 증발수증기의 양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중으로, 다시 ”중”에서 “강”으로 조정되어 배출 시킴에 있어서 다시 수증기의 양이 감소되면 다시”중“으로, 거의 완전건조에 이르면 ”약“으로하여 배출풍력으로 혹시 시체분말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코저 도2와 같이 배기관(3)내부에 부설된 경사판(19)에의거 혹 비산배출 되던 분말은 하부 유분수집함(8‘)으로 낙하수집 되도록 하였다.
배기관(3)의 상단부에는 지붕(9)이 설치되어 우천시 우수의 배기관(3)내 유 입을 방지하였다.
시신(14)은 먼저 피,육,내장부위등이 건조분말화 되고, 뼈는 다소 지연 건조되며, 완전건조 후에도 약하게 성형을 유지하고 자연분말화가 잘 안되므로 롤러(Roller)(21)의 압착으로 분말화 시킨다.
시신분말은 시신대(15)와 하부망판(10)이 모두 망판으로 되어있어 분말이 자연낙하 하부의 낙분유도장치(22)의 유도에 따라 유분수집함(8)으로 수집된다.
유족의 선호에 따라 시신을 완전분말화 하여 납골당이나 사원등에 안치를 원할 시는 도3의 (가)와 같이 유분함(23)으로 처리해 드리고, 피,육,내장부위는 분말화 하되 뼈는 성형 그대로 넣되 유골함(24)에 도3의 (나)와 같이 맞추어 적의 절단 안장하여 납골당이나 사원등에 안치를 원할 시에는 유골함(24)으로 처리해 제공하나, 매장을 위하여 도3의 (다)와 같이 피,육,내장부위 만 분말화 하고,유골은 원형 그대로를 원할 시에는 소형유골관(25)으로 처리 제공된다.
즉 유족의 요청에 따라 유분함(23), 유골함(24), 유골관(25)의 3가지 분류로 처리 제공된다.소형유골관(25)은 종래의 목관 보다 1/5의 부피와 1/3중량의 소형관이다.
본 고안은 도4와 같이 소형추럭에 2대를 적재함에 장착하여 운행이동 중 건장처리를 할수있게 하였으므로 화장장과 같은 고정시설이 불필요하다.
처리차량을 지역단위로 분산 주차 배치하고, 건장처리 신청을 받으면 핸드폰으로 최근거리의 처리차량에 지시연락하여 현장에 직접 찾아가 시신을 인수, 한적한 시골도로를 운행 주행하면서 이동중처리를 하여 약속된 인수장소로 직접 찾아가 인계한다.
그러므로 본부사무실 외에 일체 고정시설물이 필요없어 지역주민과의 마찰의 소지가 전혀없다.
이상에서 상술 한바와같이 본 고안은 매장과 화장에서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즉 매장으로 인한 산림과 농지 잠식의 극소화효과와 화장으로 인한 매연오염을 말끔이 없앴다.
그리고 매장묘지와 화장장에 대한 인접주민들의 혐오의식과 사유재산의 가격하락을 염려해 결사적인 반발로 더 이상의 묘지확장 이나 신설과 화장장의 증설과 신설이 거의 불가능한 현실에 이르렀다.
이를 해결코저 본 고안은 도4와 같이 소형차량에 본고안을 적재장치하여 차량운행 이동중처리를 함으로 건장처리로 인한 무공해 효과와 함께 고정시설 없이 이동중처리를 함으로 민원발생 소지가 없어 건장처리 수요가 아무리 급증해도 증설은 물론 신설도 무한대로 가능해져 그야말로 장의문화의 일대혁신으로 지대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시신을 풍열에 의한 건장처리를 위해 안장실 좌우에 흡기관과 배기관을 연결하고 차량에 건장처리기를 장착 이동중처리를 함에 있어서
    상기 안장실 상부에 온열자동조정기와 배기조정기를,내부에 레일위에 시신대를 설치하고 하부에 낙분유도장치,하부망판,유분수거함이 장착된 안장실부분;
    상기 흡기관 내부에 전열코일과 프로펠러를 장착한 흡기관부분;
    상기 배기관 내부에 유분배출을 방지키 위한 경사판과 우수침입 방지 지붕이장착된 배기관부분;
    상기 이동중처리를 위한 건장처리기가 장착된 건장처리차;
    상기 건장처리장치와 이동중처리를 특징으로 하는 건장처리기.
KR2020060009441U 2006-04-10 2006-04-10 건장처리기 KR200427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441U KR200427681Y1 (ko) 2006-04-10 2006-04-10 건장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441U KR200427681Y1 (ko) 2006-04-10 2006-04-10 건장처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199A Division KR20060036431A (ko) 2006-04-10 2006-04-10 건장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681Y1 true KR200427681Y1 (ko) 2006-09-29

Family

ID=4177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441U KR200427681Y1 (ko) 2006-04-10 2006-04-10 건장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6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932B1 (ko) 2007-05-08 2008-05-07 변강익 동물사체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932B1 (ko) 2007-05-08 2008-05-07 변강익 동물사체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72B1 (ko)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KR20140146298A (ko) 공간절약형 3차원 동애등에 연속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27681Y1 (ko) 건장처리기
KR20060036431A (ko) 건장처리기
EP1972195A1 (en) Method for processing of a dead human or animal body or part of a body
Eassie Cremation of the dead
CN113102470A (zh) 一种移动式病死畜禽动物尸体无害化处理设备
KR101849886B1 (ko)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Mosley Fresh air and foul: the role of the open fireplace in ventilating the British home, 1837–1910
US4600557A (en) System for deodorizing and decontaminating autopsy rooms
US20200197991A1 (en) Resource recovery/recycling facility using superheated steam
KR101849881B1 (ko)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KR20180130833A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GB255895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osal of a Cadaver or Carcass
KR100419297B1 (ko) 이동식 화장장치
KR102147640B1 (ko) 이동형 동물 사체 화장장치
KR102089059B1 (ko) 동결수분승화 방식을 적용한 시신처리 및 화장 시스템
Mattogno The Bunkers of Auschwitz
JP3066044U (ja) 炭焼窯
US285034A (en) Isaac w
KR200244006Y1 (ko) 이동식 화장장치
CN106524167B (zh) 用于病死禽的回收加工工艺
JP3044864U (ja) 炭焼き窯装置
JP2003220882A (ja) 動物用葬霊車
Leeds Lectures on ventilation: being a course delivered in the Franklin Institute, of Philadelphia, during the winter of 1866-6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