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214Y1 - 마이크로스피커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214Y1
KR200427214Y1 KR2020060018947U KR20060018947U KR200427214Y1 KR 200427214 Y1 KR200427214 Y1 KR 200427214Y1 KR 2020060018947 U KR2020060018947 U KR 2020060018947U KR 20060018947 U KR20060018947 U KR 20060018947U KR 200427214 Y1 KR200427214 Y1 KR 200427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field
voice coil
yok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8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2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7Electrical or mechanical reduction of yoke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모아주는 플레이트;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자석이 발생시키는 자기장과 간섭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한 각 구성을 수용 및 지지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홀이 적어도 둘 이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상에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다시 절곡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음성코일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배선작업이 수월해지며, 음튜닝을 더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공기부하의 조절이 더욱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 에어홀, 납볼, 음튜닝

Description

마이크로스피커{MICRO SPEAKER}
도1은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도.
도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에서 음튜닝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자석
22:플레이트
23:음성코일
24:진동판
25:요크
25a:수용부 25b:연장부
25c:지지부 25d:에어홀
26:인쇄회로기판
본 고안은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크에 형성되는 에어홀에 관한 기술이다.
스피커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신호로 전환시키는 장치로, 다양한 음향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이어폰을 비롯한 휴대폰, MP3플레이어 등의 크기가 작은 음향기기에 탑재되는, 즉, 크기를 최소화한 스피커를 마이크로스피커라 한다.
도1은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피커는, 자석(11), 플레이트(12), 음성코일(13), 진동판(14) 및 요크(15)를 포함한다.
자석(11)은 요크(15)의 저면에 부착 수용되며, 자석(11)의 상부에는 플레이트(12)가 위치한다. 따라서, 자석(1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요크(15) 및 플레이트(12)에 의해 모아지며, 이러한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음성코일(13)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한 자기장이 간섭하여, 음성코일(13)이 진동한다. 진동판(14)은 내측의 일정 부분이 음성코일(13)의 상단에 고정되고, 외주면은 요크(15)에 고정되어서,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킨다.
이때, 요크(15)에는, 다수의 에어홀(15a)이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의 요크(15)에 형성된 에어홀(15a)은, 직경이 대략 1mm로, 진동판(14)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의 요크(15)에 형성된 에어홀(15a)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음성코일(13)에 전기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6)에 배선작업을 실시할 시, 납땜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납땜작업시 발생하는 '납볼'이 요크(15)의 에어홀(15a)을 통해 들어갈 우려가 있다. 납볼이 요크(15)의 에어홀(15a)을 통해 들어가 진동판(14)에 달라붙게 되면, 납볼의 무게로 인해 진동판(14)이 원활한 진동을 일으키지 못하게 되어 음질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직포 또는 망사천 등의 댐퍼를 이용하여 에어홀(15a)을 막아두고 배선작업을 실시할 수는 있겠으나,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요크(15)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15a)들 중 필요에 따라 소정의 에어홀(15a)을 막아 음질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이른바 '음튜닝' 작업시, 진동판(14)의 한정된 부분에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음튜닝을 실시할 수가 없다.
셋째,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 작업시, 진동판(14)이 눌리거나 찌그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에어홀(15a)을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찌그러진 부분을 펼 수 있다. 그러나, 진동판(14)에서 에어홀(15a)과 대응하는 지점이 찌그러졌을 경우에는 원활하게 복구를 시킬 수 있지만, 진동판(14)에서 에어홀(15a)과 대응하는 지점보다 내측(음성코일(13)과 연결된 측) 또는 외측의 지점이 찌그러졌을 경우에는, 약한 압력의 공기를 불어 넣어서는 제대로 펼 수가 없다. 그러한 지점을 복구하기 위해, 강한 압력의 공기를 에어홀(15a)을 통해 불어 넣어줄 수는 있으나, 이때에는, 공기의 압력 때문에 진동판(14)이 요크(15)로부터 튀어나갈 우려가 있다.
넷째, 음성코일(13)로부터 에어홀(15a)까지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음성코일(13)에서 발생하는 열이 바로 방출되지 못하여,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요크에 형성되는 에어홀의 위치 및 크기에 변형을 주어, 작업성을 좋게 하고, 음튜닝시 선택의 폭을 넓게 하며, 진동판이 찌그러졌을 시, 원활한 복구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음성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바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모아주는 플레이트;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자석이 발생시키는 자기장과 간섭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한 각 구성을 수용 및 지지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홀이 적어도 둘 이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상에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다시 절곡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에어홀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서 서로 동일한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모아주는 플레이트;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자석이 발생시키는 자기장과 간섭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한 각 구성을 수용 및 지지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다시 절곡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은, 상기 연장부상에서 상기 수용부에 가까운측이 상기 지지부에 가까운측보다 면적대비 더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에어홀의 지름은 0.2mm 내지 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자석(21), 플레이트(22), 음성코일(23), 진동판(24) 및 요크(25)를 포함한다.
자석(21)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이후 설명하게 되는 요크(25)의 수용부(25a)에 부착 수용된다.
플레이트(22)는 자석(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석(2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모아준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21)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2)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플레이트가 자석(21)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성코일(23)은 자석(21)의 외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자석(21)이 발생시키는 자기장과 간섭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한다.
진동판(24)은 얇은 박판형의 필름으로 구비되며, 내측으로 일정 부분이 음성코일(23)의 상단에 고정되고, 외측단은 요크(25)의 지지부(25c)에 고정되어, 음성코일(23)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킨다.
요크(25)는 상기한 각 구성들을 수용 및 지지하는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5a), 연장부(25b) 및 지지부(25c)를 포함한다.
수용부(25a)는 자석(2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연장부(25b)는 수용부(25a)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홀(25d)이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진동판(24)의 모든 지점에 대응하여 에어홀(25d)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진동판(24)의 진동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25)의 연장부(25b)에 에어홀(25d)이 형성되면, '음튜닝'시, 진동판(24)의 중심부측 또는 외주면측 등, 모든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음튜닝이 가능하다. 도4는 이러한 음튜닝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참조번호 25e는 음튜닝의 실시에 따라 에어홀(25e)을 막아 놓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는, 음색에 변화를 주기 위해, 해당 에어홀(25e)을 막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점에 홀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다. 즉, 요크(25)에 에어홀(25d)을 형성시키는 작업은, 에어홀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핀(미도시)을 이용하여 천공하는 것인데, 이때 25e에 대응하는 핀을 제거한 뒤 천공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음튜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지부(25c)는 연장부(25b)에서 다시 절곡되며 상기 진동판(24)의 외측단을 지지한다.
또한, 에어홀(25d)이 연장부(25b)의 내측(수용부측)으로부터 외측(지지부측)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스피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진동판(24)이 눌리거나 찌그러졌을 경우, 해당 위치의 에어홀(25d)에 공기를 불어 넣어 진동판(24)의 찌그러진 지점을 복구시킬 수 있다. 즉, 종래 마이크로스피커에서, 강한 압력의 공기 주입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진동판이 요크로부터 이탈될 수 있었던 우려를 없앨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연장부(25b)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25d)은, 상기 연장부(25b)상에서 수용부(25a)에 가까운측이 지지부(25c)에 가까운측보다 면적대비 더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서 서로 동일한 개수의 에어홀(25d)이 형성될 경우에도, 이를 만족할 수 있는데, 에어홀(25d)의 집중도가 연장부(25b)의 외측보다, 내측이 더 높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음성코일(23)에서 발생하는 열이 연장부(25b)의 내측에 형성된 에어 홀(25d)을 통해 수월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오작동의 우려를 없애기 위함이다.
또한, 요크(25)에 형성되는 각각의 에어홀(25d)은,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하여 적어도 지름이 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26)의 배선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납볼(직경이 대략 0.7mm)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해 지름은 0.5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6)의 배선 작업시, 부직포 또는 망사천 등의 댐퍼를 사용하여 에어홀을 막고 작업한 후, 다시 빼내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어서, 작업의 능률 또한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진동판의 전영역에 걸쳐 고르게 대응하도록 에어홀이 형성되었기 때문 에, 균형잡힌 공기부하의 조절이 가능하고, 진동판이 눌리거나 찌그러졌을 시, 해당 지점에 대응하는 에어홀에 공기를 주입하여 복구할 수 있어서, 강한 압력의 공기 주입에 의한 진동판의 이탈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둘째, 여러 지점에 형성된 에어홀들의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음색의 음튜닝 작업이 가능하다.
셋째, 인쇄회로기판의 배선 작업시, 납볼이 에어홀을 통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직포 또는 망사천 등의 댐퍼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성이 좋아진다.
넷째, 연장부의 수용부측으로 많은 에어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바로 방출될 수 있고, 오작동의 우려가 없다.

Claims (4)

  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모아주는 플레이트;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자석이 발생시키는 자기장과 간섭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한 각 구성을 수용 및 지지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홀이 적어도 둘 이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상에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다시 절곡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홀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주 상에서 서로 동일한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커.
  3.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모아주는 플레이트;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자석이 발생시키는 자기장과 간섭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한 각 구성을 수용 및 지지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다시 절곡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은, 상기 연장부상에서 상기 수용부에 가까운측이 상기 지지부에 가까운측보다 면적대비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커.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에어홀의 지름은 0.2mm 내지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2020060018947U 2006-07-13 2006-07-13 마이크로스피커 KR200427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47U KR200427214Y1 (ko) 2006-07-13 2006-07-13 마이크로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47U KR200427214Y1 (ko) 2006-07-13 2006-07-13 마이크로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214Y1 true KR200427214Y1 (ko) 2006-09-25

Family

ID=4177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947U KR200427214Y1 (ko) 2006-07-13 2006-07-13 마이크로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12Y1 (ko) 2008-06-30 2010-12-21 주성대학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피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12Y1 (ko) 2008-06-30 2010-12-21 주성대학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피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086B2 (en) Resonance damping for audio transducer systems
US9628903B2 (en) Microspeaker acoustical resistance assembly
JP4912922B2 (ja) スピーカ
CN101931845A (zh) 多功能微型喇叭
EP1487235A3 (en) Loudspeaker device
JP2017076962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200142048A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의 진동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2113344A (zh) 麦克风单元以及具有该麦克风单元的移动电话机
US20060254852A1 (en) Integral audio module
JP2780624B2 (ja) 送話口構造
KR200427214Y1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0645530B1 (ko) 저음특성 향상을 위한 어쿠스틱 필터를 가진 스테레오스피커 장치
JP5097603B2 (ja)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101281539B1 (ko)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KR200394963Y1 (ko) 음향특성의 변화를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1947094B1 (ko) 요철구조체 진동판을 갖는 멤스 마이크로폰
KR102518442B1 (ko) 광대역 고해상 전자기 스피커
KR100654819B1 (ko) 양방향 스피커장치
KR102306965B1 (ko) 평판 스피커
CN102711011A (zh) 双回路电声转换装置
KR200374933Y1 (ko) 방열구를 구비하는 플랫패널 스피커
CN201797596U (zh)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
CN206402442U (zh) 一种多功能微型喇叭
KR100545069B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