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069Y1 -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069Y1
KR200427069Y1 KR2020060016973U KR20060016973U KR200427069Y1 KR 200427069 Y1 KR200427069 Y1 KR 200427069Y1 KR 2020060016973 U KR2020060016973 U KR 2020060016973U KR 20060016973 U KR20060016973 U KR 20060016973U KR 200427069 Y1 KR200427069 Y1 KR 200427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water
water purifier
ba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정열
Original Assignee
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열 filed Critical 지정열
Priority to KR2020060016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물 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1)과, 이에 상하로 절첩케 연결 형성된 가동판(12)으로 구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고정되어 급수단(5)을 연결하되, 상기 가동판(12)의 절첩에 의한 꺽임 작동으로 원수 공급을 차단하는 작동튜브(20)와, 상기 베이스(10)의 가동판을 절첩 작동하는 탄발 스프링(30)과, 상기 베이스(10)의 가동판(12)이 탄발 스프링에 의해 절첩됨을 방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되, 누수된 물에 젖어짐에 따라 끊어져 지지해제 작동하는 종이재의 작동와이어(40)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정수기의 누수를 감지, 차단하게 되므로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 설치의 편리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누수 차단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사용상의 신뢰도가 우수하게 제공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정수기, 누수, 누수차단장치, 작동튜브, 종이재 와이어

Description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Water leakage blocking device for a waterpurifier}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정수기의 일 례를 보여주는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11: 고정판
12: 가동판 15: 걸림절곡부
16: 관통구 20: 작동튜브
21: 꺽임부 30: 탄발 스프링
31: 고리부 40: 작동와이어
42: 마감구 50: 체결피스
본 고안은 수도물 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내,외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하여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튜브를 자동 차단하되, 상기 작동을 위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설치의 편리성 및 제조원가 절감을 이룸은 물론 누수 차단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기는 수도전으로 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여과수단(필터) 내로 통과시켜 중금속, 기타 박테리아 등을 여과하여 정화된 상태로 공급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최근에 수질오염 등의 원인으로 각 가정은 물론 음식점, 공공장소 등지에서 대부분 설치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수단으로 공급하는 과정이나 여과수단을 거쳐 저장통에 저장 또는 급수되는 과정중에 누수될 우려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의 누수는 각종 전기, 전자적 부품이 내장된 정수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정수된 물이 계속 누수됨에 따른 기타 손실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수의 장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정수기 본체의 내부 저면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누수된 물이 본체 저면에 고임을 감지하여 급수관상에 기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자동 차단하면서 누수를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누수 차단을 위해 감지센서, 급수관 차단 밸브 등의 고가 부품을 요하므로 정수기의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그 조립 설치에 따른 작업이 숙련성을 요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 급수관 차단 밸브 등에 의해 제어작동은 상기 감지센서, 차단밸브 등이 누수 또는 기타의 요인으로 오작동할 경우에 누수 차단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튜브를 차단하는 장치의 구조가 기계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 설치의 편리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누수 차단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사용상의 신뢰도가 우수하게 제공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기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이에 상하로 절첩케 연결 형성된 가동판으로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어 급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가동판의 절첩에 의한 꺽임 작동으로 원수 공급을 차단하는 작동튜브와, 상기 베이스의 가동판을 절첩 작동하는 탄발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의 가동판이 탄발 스프링에 의해 절첩됨을 방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되, 누수된 물에 젖어짐에 따라 끊어져 지지해제 작동하는 종이재의 작동와이어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정수기 본체(1) 바닥면(2)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과 절첩선(13)을 경계로 상하로 절첩 가능케 연결 형성된 가동판(12)으로 구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 상부 중앙에 고정되어 양단에 급수단(5)을 연결하되, 상기 가동판(12)의 절첩에 의한 꺽임 작동으로 원수 공급을 차단하는 작동튜브(20)와,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 상부 양측방에서 가동판을 절첩 작동하도록 상호 탄발 연결하는 탄발 스프링(30)과,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 하부 양측방에서 상기 가동판(12)이 탄발 스프링에 의해 절첩됨을 방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되, 누수된 물에 젖어짐에 따라 끊어져 지지해제 작동하는 종이재의 작동와이어(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은 체결공(14)을 형성하여 체결피스(50)로 정수기 본체상의 체결공(55)에 체결 고정하도록 조립하게 구성한다.
물론 상기 고정판(11)을 본딩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절첩선(13)은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절 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튜브(20)는 딱딱한 플라스틱 튜브체로 그 중앙의 절첩선(13) 상부 위치의 부위를 미리 절첩한 꺽임부(21)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판(12)의 절첩작동에 따라 상기 꺽임부가 꺽여 원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튜브(20)는 고정판(11)과 가동판(12)상에 직접 접합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구(17)로 감싸 지지하도록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발스프링(30)은 양단으로 고리부(31)를 형성하여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양측으로 대향 형성된 걸림절곡부(15)에 걸어 연결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와이어(40)는 탄발 스프링(30)의 탄발력에 대응되게 유지될 수 있는 인장력을 갖도록 종이재를 와이어 형태로 말아서 형성하되, 그 양단에는 "T"형의 금속재를 압착한 마감구(4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양측방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16)로 삽입하여 상호 지지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6은 작동튜브(20)와 급수관(5)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누수차단장치는 통상의 정수기에서 누수로 인해 가장 빨리 누수된 물이 흐르는 위치로 설치된다.
즉, 정수기 본체(1)의 내부 바닥면(2)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에 형성된 체결공(14)으로 체결피스(50) 를 체결하여 정수기 본체상의 체결공(55)에 체결하여 조립설치하거나 기타 본딩 등의 의한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에는 상부 중앙으로 작동튜브(2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상부 양측에는 걸림절곡부(15)에 탄발스프링(30)의 양측 고리부(31)를 걸어 탄발 지지함과 동시에, 그 대향측에는 상기 탄발스프링(30)의 탄발력에 대해 가동판(12)이 절첩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서 종이재의 작동와이어(40) 양단을 연결지지하게 된다.
상기 작동와이어(40)는 양측단에 압착된 금속재의 "T"형 마감구(42)를 고정판(11)과 가동판(12)상의 관통구(16)로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조립 설치가 간단하게 제공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탄발스프링(30)과 종이와이어(40)는 각각 베이스(10)의 상하부에서 양단을 걸거나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 및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튜브(20)의 양측단으로 급수관(5)을 연결하되, 별도의 연결구(6)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급수관(5)과 이를 연결하는 작동튜브(20)를 통해 원수를 정수기내로 공급하여 여과수단(필터)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과정중에 일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누수된 물은 본체(1)의 바닥면(2)으로 흐르게 되고, 이 누수된 물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종이재의 작동와이어(40)가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누수된 물을 흡수한 작동와이어(40)는 인장력이 약화되면서 상부의 탄발스프링(30)의 탄발력을 더이상 지지하지 못하고 끊어져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와이어(40)의 단선으로 상기 베이스(10)의 가동판(12)은 탄발스프링(30)을 탄발력에 의해 고정판(11)과의 절첩선(13)을 지점으로 절첩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상부로 고정된 작동튜브(20)가 절첩에 의한 꺽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작동튜브(20)는 딱딱한 플라스틱 튜브체로 그 중앙의 절첩선(13) 상부 위치의 부위를 미리 절첩한 꺽임부(2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꺽임부(21)가 용이하게 절첩되면서 상기 작동튜브(20)로 통과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수기 내부로의 원수공급이 차단되므로 정수기내의 누수가 자동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장치는 이를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정수기내의 누수원인을 정비하고, 누수된 부분을 소제한 후 다시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으로 새로운 작동와이어(40)를 지지 장착하므로서 재 설치하여 계속적인 누수차단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수차단장치는 정수기 본체의 내부바닥으로 간단하게 설치하여 누수된 물이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을 지지하고 있던 종이재의 작동와이어로 흡수되어 끊어지는 작동에 의해 원수를 공급하는 작동튜브를 절곡하면 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 가 간단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설치의 간편성을 제공함은 물론 누수 차단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사용상의 신뢰도가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정수기 본체 바닥면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과 절첩선(13)을 경계로 상하로 절첩 가능케 연결 형성된 가동판(12)으로 구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 상부 중앙에 고정되어 양단에 급수단(5)을 연결하되, 상기 가동판(12)의 절첩에 의한 꺽임 작동으로 원수 공급을 차단하는 작동튜브(20)와,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 상부 양측방에서 가동판을 절첩 작동하도록 상호 탄발 연결하는 탄발 스프링(30)과,
    상기 베이스(10)의 고정판(11)과 가동판(12) 하부 양측방에서 상기 가동판(12)이 탄발 스프링에 의해 절첩됨을 방지하도록 연결 지지하되, 누수된 물에 젖어짐에 따라 끊어져 지지해제 작동하는 종이재의 작동와이어(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튜브(20)는 딱딱한 플라스틱 튜브체로 그 중앙의 절첩선(13) 상부 위치의 부위를 미리 절첩한 꺽임부(21)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판(12)의 절첩작동에 따라 상기 꺽임부가 꺽여 원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스프링(30)은 양단으로 고리부(31)를 형성하여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양측으로 대향 형성된 걸림절곡부(15)에 걸어 연결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와이어(40)는 탄발 스프링(30)의 탄발력에 대응되게 유지될 수 있는 인장력을 갖도록 종이재를 와이어 형태로 말아서 형성하되, 그 양단에는 "T"형의 금속재를 압착한 마감구(4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1)과 가동판(12)의 양측방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16)로 삽입하여 상호 지지하도록 설치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KR2020060016973U 2006-06-23 2006-06-23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KR200427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73U KR200427069Y1 (ko) 2006-06-23 2006-06-23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73U KR200427069Y1 (ko) 2006-06-23 2006-06-23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069Y1 true KR200427069Y1 (ko) 2006-09-20

Family

ID=4177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973U KR200427069Y1 (ko) 2006-06-23 2006-06-23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0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682A1 (en) * 2007-12-04 2009-06-11 Byoung Hwan Choi A leakage sensor using sponge paper and a cutoff valve using that
WO2010064779A1 (ko) * 2008-12-02 2010-06-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200451898Y1 (ko) 2008-12-02 2011-01-1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101071814B1 (ko) 2009-11-18 2011-10-11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정수기의 누수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682A1 (en) * 2007-12-04 2009-06-11 Byoung Hwan Choi A leakage sensor using sponge paper and a cutoff valve using that
WO2010064779A1 (ko) * 2008-12-02 2010-06-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200449544Y1 (ko) 2008-12-02 2010-07-2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200451898Y1 (ko) 2008-12-02 2011-01-1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101071814B1 (ko) 2009-11-18 2011-10-11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정수기의 누수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069Y1 (ko) 정수기용 누수차단장치
KR100873665B1 (ko) 정수필터용 커넥터
US8177970B2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KR101366830B1 (ko) 필터 및 이의 조립체 구조
KR101000511B1 (ko) 복합형 엘보우를 이용한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장치
KR200475977Y1 (ko) 정수기
JP5440971B2 (ja) 圧縮空気除湿システム
JP2019076846A (ja) ストレーナ
KR20120004019A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교체 구조
KR100877462B1 (ko) 정수기 누수방지장치
KR101514930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진공변기시스템용 자동배출장치
KR200430477Y1 (ko)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
KR101056866B1 (ko) 정수기용 무전원 누수차단장치
KR20060000138U (ko)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KR20090043015A (ko) 정수기용 누수차단 시스템
KR101281585B1 (ko) 필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어셈블리
KR100684690B1 (ko)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EP2436966B1 (en) Reinforcement device for containment tanks of a pressurized gas in industrial filter cleaning system
JP2003336581A (ja) 圧縮空気と圧縮空気より発生したドレン水の一体型処理装置
KR100821310B1 (ko) 정수기의 누수 방지장치
CN105521653A (zh) 净水设备
KR0137538Y1 (ko) 정수기
CN213965453U (zh) 一种便于更换滤芯的污水过滤装置
KR200369056Y1 (ko) 냉.온정수기의 여과부재 고정장치
KR200390811Y1 (ko)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