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811Y1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0811Y1 KR200390811Y1 KR20-2005-0011121U KR20050011121U KR200390811Y1 KR 200390811 Y1 KR200390811 Y1 KR 200390811Y1 KR 20050011121 U KR20050011121 U KR 20050011121U KR 200390811 Y1 KR200390811 Y1 KR 2003908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water
- permanent magnet
- water purifier
- flow path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POIUWJQBRNEFGX-XAMSXPGMSA-N cathelicid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NC(N)=N)C(=O)N[C@@H](CCCCN)C(=O)N[C@@H](CO)C(=O)N[C@@H](CCCCN)C(=O)N[C@@H](CCC(O)=O)C(=O)N[C@@H](CCCCN)C(=O)N[C@@H]([C@@H](C)CC)C(=O)NCC(=O)N[C@@H](CCCCN)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CCCN)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N)C(=O)N[C@@H](CC(O)=O)C(=O)N[C@@H](CC=1C=CC=CC=1)C(=O)N[C@@H](CC(C)C)C(=O)N[C@@H](CCCNC(N)=N)C(=O)N[C@@H](CC(N)=O)C(=O)N[C@@H](CC(C)C)C(=O)N[C@@H](C(C)C)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C(O)=O)C(=O)N[C@@H](CO)C(O)=O)NC(=O)[C@H](CC=1C=CC=CC=1)NC(=O)[C@H](CC(O)=O)NC(=O)CNC(=O)[C@H](CC(C)C)NC(=O)[C@@H](N)CC(C)C)C1=CC=CC=C1 POIUWJQBRNEFGX-XAMSXPGM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048246 Gallicrex cine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838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68 Lycium chin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4 Paeon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70916 Paeonia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3 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의 사용 중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전원의 공급 없이도 급수가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수돗물이 공급되는 유입공(13) 및 배출공(14)이 형성된 유로바디(15)와, 상기 유로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플런저(16)가 스프링(17)으로 탄력 설치된 캡(18)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폐쇄하는 덮개(2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측으로 플런저를 구동시키는 영구자석(22)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영구자석을 하방으로 편의하는 탄성부재(24)를 설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지지편(25)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 지지편의 하부로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흡습부재(26)를 설치하여 지지편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부직포(27)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의 사용 중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급수가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가정집이나, 직장에서 수돗물을 식수로 직접 이용하지 않고 보리, 옥수수, 오미자, 결명자, 작약, 구기자 등을 넣어 끓인 다음 이를 식혀 식수로 사용하거나,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수도 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켜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최근 들어 유흥업소(음식점)는 물론이고 가정에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이 여러 단계의 여과필터를 차례로 통과되도록 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질과, 세균, 중금속 등을 여과시키는 단순정수기능만을 갖는 일반 정수기와, 상기한 기능에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부가하여 수돗물을 정수함과 동시에 곧 바로 이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 온정수기로 대별된다.
상기 일반 정수기는 설치 방식에 따라 카운터 탑 타입 (counter top type), 데스크 탑 타입(desk top type), 언더 싱크 타입(under sink type) 등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설치상태 사시도로서, 싱크대(7)의 하부 공간부(8)에 설치되는 케이스(1)에 복수개의 필터(2)(3)(4)(5)가 다단계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에 내장된 필터 중 첫 번째 필터(2)에는 수도전과 연결된 공급호스(9)가 연결되어 있으며 최종 필터(5)에는 필터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호스(10)가 연결되어 있고 연결호스(10)의 다른 일단은 싱크대(7)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정수콕크(6)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도 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공급호스(9)를 통해 케이스(1)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2)(3)(4)(5)내부로 유입되면 세드먼트 필터(2), 선 카본필터(3), 중공사막 필터(4), 후 카본필터(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각종 불순물질, 중금속, 세균 등이 제거되어 깨끗한 정수된 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2)(3)(4)(5)를 통과하면서 정수가 이루어지고 나면 정수된 물은 최종 필터인 후 카본필터(5)와 연결된 연결호스(10) 및 정수콕크(6)를 통해 배출되므로 음용수로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을 정수하는 과정에서 많은 연결부위가 있어 장기간 사용 시 시효경화 등으로 인해 연결부위에 결함이 발생되므로 누수가 발생된다.
특히, 저지대인 경우에는 심야에 큰 압력(8-10kg/cm2이상)이 걸리게 되므로 누수의 위험이 큰데, 만약 심야에 누수가 발생되면 싱크대가 설치된 부엌이 물바다가 되므로 누수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수돗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11)가 도 2와 같이 싱크대의 바닥면(12)에 설치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전기식 급수 차단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유입공(13) 및 배출공(14)이 형성된 유로바디(15)의 상부에 플런저(16)가 스프링(17)으로 탄력 설치된 캡(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캡(18)의 외주면에는 통상(정상)의 상태에서는 플런저(16)를 상승시켜 유로를 개방하였다가 누수가 감지되면 스프링(17)의 복원력으로 플런저(16)를 하강시켜 유로를 차단하는 전자석(1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플런저(16)의 하부에는 고무(20)가 씌워져 있으며 유로바디(15) 및 전자석(19) 그리고 캡(18)은 케이스(21)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 즉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3a와 같이 전자석(19)에 의해 플런저(16)가 상사점까지 상승되어 있어 유입공(13)으로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공(14)을 통해 정수기의 내부로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유로계통의 이상으로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의 발생에 따라 감지장치(11)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석(19)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플런저(16)가 스프링(17)의 복원력으로 하강하여 유로를 폐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수기로 공급되던 급수가 중단되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치는 누수를 감지하여 전자석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누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 정수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정전이 발생되면 전자석에 인가되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플런저가 유로를 폐쇄하게 되므로 정수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원의 공급 없이도 누수 시 정수기 측으로 공급되던 수돗물의 공급을 신속하게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수돗물이 공급되는 유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된 유로바디와, 상기 유로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플런저가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캡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폐쇄하는 덮개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측으로 플런저를 구동시키는 영구자석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영구자석을 하방으로 편의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지지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 지지편의 하부로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흡습부재를 설치하여 지지편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은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일측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는 유입공(13) 및 배출공(14)이 형성된 유로바디(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바디(15)의 상측에 플런저(16)가 스프링(17)으로 탄력 설치된 캡(18)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캡의 외주면으로는 영구자석(22)이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21)의 내부는 덮개(23)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18)의 외주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영구자석(22)과 덮개(23)사이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4)가 설치되어 영구자석을 하방으로 편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는 지지편(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편(25)과 케이스(21)의 사이에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흡습부재(2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1)의 저면에는 부직포(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습부재(26)는 습기가 없는 상태에서는 일정 강도를 갖는 막대형태를 유지하여 영구자석(22)의 위치를 제한하고 있다가 습기를 머금으면 무너져 영구자석의 지지력을 상실하는 재질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흡습부재(26)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는 흙(26a)을 막대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는 부직포(26b)를 감싸거나, 일정 강도를 갖는 종이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케이스(21)의 일측면에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흡습부재(26)가 정상적인 상태(지지편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시창(28)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21)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흡습부재(26)가 설치되어 상부가 영구자석(22)에 고정된 지지편(25)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 즉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는 캡(18)의 외주면에 설치된 영구자석(22)에 의해 플런저(16)가 스프링(17)을 압축시키면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유로바디(15)의 유입공(13)으로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공(14)으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정수기측으로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유로계통의 이상으로 누수가 발생되어 싱크대 바닥에 물이 떨어지면 케이스(21)의 저면에 깔린 부직포(27)에 물이 스며들게 되므로 상기 케이스(21)의 하부로 노출된 흡습부재(26)에 물이 스며들게 되고, 이에 따라 흡습부재(26)가 무너지게 된다.
이와 같이 흡습부재(26)가 무너져 지지편(25)의 지지력을 상실하면 상기 영구자석(22)이 탄성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16)의 상방향 당김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플런저(16)가 스프링(17)의 복원력으로 하강하여 유로를 폐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수기로 공급되던 급수가 중단되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누수의 발생에 따라 흡습부재(26)가 이를 감지하므로 인해 유로바디(15)의 유로를 차단하여 정수기측으로 공급되던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나면 어느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여 누수를 보수함과 동시에 케이스(21)와 영구자석(22)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편(25)사이에 흡습부재(26)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영구자석(22)의 상측에 위치하는 캡(18)에 탄성부재(24)를 위치시키고 덮개(23)를 덮어주므로써, 누수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전원의 공급 없이도 누수가 발생되면 신속하게 이를 감지하여 정수기 측으로 공급되던 수돗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므로 부엌이 물바다가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누수의 발생 원인을 해소한 다음 흡습부재만을 교체하면 즉시 수돗물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일측에 누수감지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전기식 급수 차단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3a는 정수기의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도
도 3b는 누수의 감지에 따라 플런저가 급수 통로를 폐쇄한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정수기의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도
도 4b는 누수의 감지에 따라 플런저가 급수 통로를 폐쇄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유입공 14 : 배출공
15 : 유로바디 16 : 플런저
17 : 스프링 18 : 캡
21 : 케이스 22 : 영구자석
23 : 덮개 24 : 탄성부재
25 : 지지편 26 : 흡습부재
27 : 부직포
Claims (3)
-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수돗물이 공급되는 유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된 유로바디와, 상기 유로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플런저가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캡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폐쇄하는 덮개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측으로 플런저를 구동시키는 영구자석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영구자석을 하방으로 편의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지지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 지지편의 하부로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흡습부재를 설치하여 지지편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흡습부재를 막대형태의 흙으로 하고 외주면에는 얇은 부직포가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내부에 위치하는 흡습부재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1121U KR200390811Y1 (ko) | 2005-04-21 | 2005-04-21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1121U KR200390811Y1 (ko) | 2005-04-21 | 2005-04-21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2777A Division KR100684690B1 (ko) | 2005-04-20 | 2005-04-20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0811Y1 true KR200390811Y1 (ko) | 2005-07-29 |
Family
ID=4369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1121U KR200390811Y1 (ko) | 2005-04-21 | 2005-04-21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0811Y1 (ko) |
-
2005
- 2005-04-21 KR KR20-2005-0011121U patent/KR2003908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6086864A1 (zh) | 净水器 | |
KR101193629B1 (ko) | 정수기의 누수감지차단장치 | |
KR20110004087U (ko) | 누수감지 센서가 장착된 밸브 | |
KR100684690B1 (ko)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
KR200390811Y1 (ko)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
KR100927149B1 (ko) |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0416651Y1 (ko) |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 |
CN1170782C (zh) | 微电脑监控的管道式纯水机 | |
CN2698774Y (zh) | 压力式净水器 | |
KR200455286Y1 (ko) | 누수 검출장치 | |
CN205616612U (zh) | 一种具有自洁式净水功能的管线饮水机 | |
CN104787957A (zh) | 一种带可清洗式滤芯的免安装便携式即热纯水机 | |
KR100706869B1 (ko) | 정수기의 저주파 발진식 누수 감지장치 | |
CN107261613B (zh) | 净水器控流底座 | |
CN208234652U (zh) | 一种方便家用的节水型净水装置 | |
JP4001868B2 (ja) | 残留塩素濃度確保装置 | |
CN106082398A (zh) | 一种新型纯水机 | |
KR100813112B1 (ko) | 영구자석을 이용한 유로 개폐장치 | |
JP2007125534A (ja) | 浄水器用フィルタケース並びに該フィルタケースを利用したフィルタを備える浄水器 | |
KR101063982B1 (ko) | 절전형 음수기 | |
KR970020955A (ko) | 정수기용 정수물탱크의 자동수 교환 처리장치 | |
KR0137538Y1 (ko) | 정수기 | |
CN219755471U (zh) | 一种供热智能调节阀 | |
KR200292202Y1 (ko) | 정수장치용 누수 차단장치 | |
CN108176104A (zh) | 具有自动清洁和提示功能的前置过滤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